초록

이 글에서는 삼연(三燕)과 고구려 고분에서 출토된 대장식구에 주목하였다. 기년명 자료를 참고로 삼연 대장식구의 제작 연대를, 기존의 고분 연대관을 참고로 고구려 대장식구의 존속 시기를 추정하고 각각의 특질에 대해 살펴보았다. 삼연의 대장식구는 현지로 이입된 중원식대장식구를 모델로 하여 모용선비가 자신들만의 독창적인 복식 세트를 만들어가는 과정에서 창출된 정치색 짙은기물이었다. 4세기 전엽~중엽, 전연(前燕)에서는 왕권의 의도 아래 장식마구와함께 제작된 ‘모방 제1유형’과 모용선비 고유의 전통적 문양과 모티브가 강하게반영된 ‘모방 제2유형’이 함께 제작되고 있었다. 삼연의 대장식구는 인접한 고구려에도 영향을 끼쳤다. 중원과 삼연에서 보이지 않는 다양한 형식의 고구려 대장식구는 현재까지 자료로 보아 대부분 고구려에서 창출되었을 가능성이 크다. 특히 요패를 사용하여 수하식을 아래로 길게연결하는 방식은 중원과 삼연에서 확인되지 않고 신라에서 성행하였으므로 고구려 대장식구가 중원과 한반도를 연결하는 가교 역할을 충실히 수행하였음을엿볼 수 있다. 4세기 전엽, 양진(兩晉)에서 제작된 중원식대장식구는 동아시아 전역으로 확산된다. 이를 계기로 5세기가 되면 백제와 신라, 바다 건너 왜(倭)에서 독자적양식의 대장식구가 제작된다. 동아시아의 동단까지 허리띠를 장식하는 대장식구 문화가 성행할 수 있었던 계기는 중원과 한반도 및 일본열도를 지리적으로이어준 삼연과 고구려의 대장식구에서 찾을 수 있다.

키워드

삼연, 고구려, 대장식구, 전개, 특질

참고문헌(51)open

  1. [학술지] 강현숙 / 2006 / 고구려 고분에서 보이는 중국 삼연요소의 전개과정에 대하여 / 한국상고사학보 51 (51) : 109 ~ 146

  2. [학술지] 강현숙 / 2010 / 帶金具 副葬 高句麗 古墳의 考古學的 含意 / 한국고대사연구 (59) : 95 ~ 128

  3. [학술지] 기경량 / 2017 / 평양 지역 고구려 왕릉의 위치와 피장자 / 한국고대사연구 (88) : 5 ~ 46

  4. [학술지] 김도영 / 2018 / 신라 대장식구의 전개와 의미 / 한국고고학보 (107) : 72 ~ 123

  5. [학술지] 김도영 / 2020 / 동아시아 중원식대장식구의 전개와 의의 / 한국고고학보 (117) : 35 ~ 70

  6. [학술지] 김지현 / 2012 / 古代 東亞細亞 出土 晉式帶金具의 成立과 展開 / 한국상고사학보 75 (75) : 221 ~ 251

  7. [단행본] 桃崎祐輔 / 2009 / 고구려 왕릉연구 / 동북아역사재단

  8. [학술지] 오진석 / 2019 / 삼연문화 연구의 현황과 과제 / 고구려발해연구 65 : 39 ~ 67

  9. [학술지] 尹善姬 / 1987 / 三國時代 銙帶의 起源과 變遷에 관한 硏究 / 三佛金元龍敎授 停年退任紀念論叢 Ⅱ

  10. [학술지] 李漢祥 / 1995 / 5~6世紀 新羅의 邊境支配方式-裝身具分析을 중심으로- / 韓國史論 33

  11. [학술지] 李漢祥 / 1997 / 裝飾大刀의 下賜에 반영된 5~6世紀 新羅의 地方支配 / 軍事 35

  12. [단행본] 李漢祥 / 2004 / 황금의 나라 신라 / 김영사

  13. [단행본] 李漢祥 / 2009 / 장신구 사여체제로 본 백제의 지방지배 / 서경문화사

  14. [학술지] 이한상 / 2011 / 허리띠 분배에 반영된 고대 동북아시아의 교류양상 / 동북아역사논총 (33) : 349 ~ 382

  15. [학술지] 李熙濬 / 1995 / 경주 皇南大塚의 연대 / 嶺南考古學 (17)

  16. [학술지] 張雪巖 / 2001 / 集眼市 發掘 高句麗 허리띠꾸미개(帶飾)硏究 / 高句麗硏究 12

  17. [학술지] 전호태 / 2011 / 고구려 평양권 벽화고분의 현황과 과제 / 蔚山史學 15

  18. [학술지] 조윤재 / 2015 / 考古資料를 통해 본 三燕과 高句麗의 문화적 교류 / 선사와 고대 (43) : 95 ~ 136

  19. [학술지] 김화동 / 2009 / 대동강유역 고구려봉토석실묘의 등급과 계층 -고구려 왕릉의 추정을 겸하여 / 고구려발해연구 35 : 153 ~ 181

  20. [단행본] 吉林省文物考古硏究所 / 2004 / 集安高句麗王陵-1990~2003年集安高句麗王陵調査報告- / 文物出版社

  21. [학술지] 万欣 / 2003 / 鮮卑墓葬, 三燕史迹與金步搖飾的發現與硏究 / 遼寧考古論集

  22. [학술지] 辛發 / 1995 / 錦州前燕李廆墓淸理簡報 / 文物 (6)

  23. [학술지] 王仁湘 / 1986 / 帶扣略論 / 考古 (1)

  24. [단행본] 遼寧省文物考古硏究所 / 2002 / 三燕文物精粹 / 遼寧人民出版社

  25. [단행본] 遼寧 省博物館 / 2015 / 北燕馮素弗墓 / 文物出版社

  26. [학술지] 張柏忠 / 1989 / 內蒙古科左中旗六家子鮮卑墓群 / 考古 (5)

  27. [학술지] 田立坤 / 1994 / 朝陽前燕奉車都尉墓 / 文物 (11)

  28. [학술지] 田立坤 / 1996 / 論帶扣的形式及演變 / 遼寧 文物學刊 (1)

  29. [단행본] 田立坤 / 1998 / 靑果集 吉林大學考古系建系10周年記念論集 / 知識出版社

  30. [단행본] 田立坤 / 2001 / 漢唐之間文化藝術的互動與交融 / 文物出版社

  31. [학술지] 田立坤 / 2002 / 袁台子壁畵墓的再認識 / 文物 (9)

  32. [학술지] 中國社會科學院考古硏究所技術室 / 1983 / 安陽晋墓馬具復元 / 考古 (6)

  33. [학술지] 陳大爲 / 1982 / 遼寧 朝陽後燕崔遹墓的發現 / 考古 (3)

  34. [학술지] 集安縣文物保管所 / 1979 / 集安縣兩座高句麗積石墓的淸理 / 考古 (1)

  35. [단행본] 諫早直人 / 2012 / 東北アジアにおける騎馬文化の考古學的硏究 / 雄山閣

  36. [기타] 國立歷史民俗博物館 / 2012 / 古墳關聯資料 / 國立歷史民俗博物館資料圖錄8

  37. [학술지] 桃崎祐輔 / 2005 / 七支刀の金象嵌技術にみる中國尙方の影響 / 文化財と技術 (4)

  38. [단행본] 桃崎祐輔 / 2006 / 日韓古墳時代の年代觀 / 國立歷史民俗博物館·釜山大學校博物館

  39. [학술지] 東潮 / 1993 / 朝鮮三國時時代における橫穴式石室墳の出現と展開 / 國立歷史民俗博物館硏究報告 47

  40. [단행본] 東潮 / 1997 / 高句麗考古學硏究 / 吉川弘文館

  41. [단행본] 東潮 / 1995 / 高句麗の歷史と遺跡 / 中央公論社

  42. [학술지] 藤井康隆 / 2003 / 三燕における帶金具の新例をめぐって / 立命館大學考古學論集 Ⅲ (2)

  43. [학술지] 藤井康隆 / 2006 / 晋式帶金具補考 / 古代 (119)

  44. [단행본] 飛鳥資料館 / 2009 / 北方騎馬民族のかがやき 三燕文化の考古新發見

  45. [단행본] 小池伸彦 / 2006 / 東アジア考古學論叢-日中共同硏究論文集- / 奈良文化財硏究所

  46. [단행본] 町田章 / 1987 / 東アジアの裝飾墓 / 同朋舍出版

  47. [단행본] 町田章 / 2006 / 東アジア考古學論叢-日中共同硏究論文集- / 奈良文化財硏究所

  48. [단행본] 町田章 / 2011 / 勝部明夫先生喜壽記念論文集 / 勝部明夫先生喜壽記念論文集刊行會

  49. [학술지] 千賀久 / 1984 / 日本出土帶金具の系譜 / 橿原考古學硏究所論集 6

  50. [단행본] 千賀久 / 2007 / 日中交流の考古學 / 同成社

  51. [단행본] 土屋隆史 / 2020 / 柳本照男さん古希紀年論集-忘年之交の考古學- / 柳本照男さん古希紀年論集刊行會