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본 연구는 서울교육종단연구(SELS)의 3차와 5차 자료를 활용하여 고교다양화정책이 학교효과성에 미치는 효과를 분석하였다. 고교다양화정책에 따른 학교유형은 특목고, 자사고, 자공고, 혁신고, 일반고로 구분하였으며, 학교효과성은 이중차이(Difference in Differences)분석으로 추정하였다. 이에 중학교 3학년에서 고등학교 2학년으로 진학하는 시간적 성숙효과는 배제되었다. 또한 본 연구대상은 고교진학 당시의 자사고 지원자격조건에 맞추어 중학교 3학년 내신석차가 50% 이내인 학생으로 한정하였다. 학교효과성은 교교다양화정책의 취지에 따라 기존의 학업성취도 뿐만 아니라 학생의 핵심역량도 포함하였다. 분석결과, 특목고와 자사고의 학업성취도는 다른 유형의 고교보다 높게 나타났다. 그러나 일반고는 다른 학교유형보다 학업성취 수준이 낮은 학생들이 진학하는 경향이 있었으며 그 교육과정을 통하여 학생들의 학업성취도는 유의미하게 낮아졌다. 한편, 고교유형별 핵심역량의 분석은 학업성취도 분석결과와는 다르게 나타났다. 구체적으로 자사고와 특목고는 고교진학 후 2년 간의 교육을 통하여 핵심역량 중에서 개인역량이 감소하였다. 특히 자사고는 사회역량도 다른 고교유형보다 유의하게 낮았다. 그리고 일반고는 인지역량과 개인역량이 다른 고교유형보다 높아지는 효과가 있었다. 혁신고는 다른 유형의 고교보다 개인역량이 높아져 학생들의 자존감 향상에 큰 도움이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마지막으로 자공고는 사회역량이 다른 고교유형보다 유의미하게 높았다. 이는 학업성취도 분석과 달리 핵심역량의 측면에서는 고교다양화정책에 따른 고교유형별 효과가 서로 상이한 긍정적 효과가 있음을 보여준다.

키워드

고교다양화정책, 학업성취도, 핵심역량, 학교효과성, 이중차이분석(DID)

참고문헌(48)open

  1. [기타] 강무섭 / 2008 / 고교체제 개편 및 고교교육 혁신 종합대책 : 고교 다양화 300 프로젝트 / 한국교육학회

  2. [기타] 강영혜 / 2011 / 일반계 고교 다양화 정책의 추진현황과 과제 : 자율형 공립고, 자율형 사립고, 기숙형 고교를 중심으로 / 한국교육개발원

  3. [학술지] 김만지 / 2002 / 청소년의 가족관련 스트레스와 사회적지지가 대처방식에 미치는 영향 / Family and Environment Research 40 (3) : 55 ~ 66

  4. [학술지] 김민조 / 2014 / 혁신학교 교육거버넌스의 특징과 과제 / 교육비평 33 (단일) : 74 ~ 97

  5. [보고서] 김성식 / 2011 / 고교 다양화 정책 평가 및 발전 방안 연구

  6. [학술지] 김성열 / 2015 / 고등학교 체제의 다양화: 양상과 성과, 그리고 과제 / 교육연구와 실천 81 (단일) : 27 ~ 55

  7. [학술지] 김수경 / 2011 / 혁신학교 운영의 실태와 성과 분석 / 교육행정학연구 29 (4) : 145 ~ 168

  8. [학술지] 김준엽 / 2013 / 고교유형에 따른 성취도 격차의 양상과 발생요인 / 교육평가연구 26 (3) : 555 ~ 577

  9. [학술지] 김태연 / 2013 / 자율형 공립고등학교 학교효과 분석 / 교육행정학연구 31 (3) : 131 ~ 152

  10. [보고서] 김희삼 / 2015 / 고교선택제와 고등학교의 균형적 발전방안: 자율형 고등학교 성과평가를 중심으로

  11. [기타] 대구광역시교육청 / 2014 / 대구행복교육과정 총론 / 대구광역시교육청

  12. [학술지] 박구웅 / 2013 / 학습능력의 분포가 학업성취도에 미치는 영향: 대학수학능력시험(CSAT)에서 과학고와 외고의 성과를 중심으로 / 아시아교육연구 14 (3) : 85 ~ 105

  13. [학술지] 박선환 / 2013 / 고교다양화와 고교선택제에 따른 학교 체제 변화 연구 : 서울시 일반고등학교 사례를 중심으로 / 교육정치학연구 20 (4) : 41 ~ 72

  14. [학술지] 백병부 / 2015 / 혁신학교가 교육격차 감소에 미치는 효과: 경기도 혁신학교를 중심으로 / 교육사회학연구 25 (1) : 105 ~ 128

  15. [학술지] 성기선 / 2005 / 학력 저하 관련 논의와 새로운 학력관에 대한 비판적 검토 / 인간연구 31 (9) : 32 ~ 55

  16. [학술지] 성기선 / 2014 / 혁신학교에 대한 비판적 성찰과 과제 / 교육비평 (33) : 121 ~ 143

  17. [보고서] 송순재 / 2011 / 혁신학교 운영과정 질적 연구

  18. [단행본] 윤정일 / 2002 / 한국 교육정책의 쟁점 / 교육과학사

  19. [보고서] 윤종혁 / 2004 / 고등학교 평준화 정책의 적합성 연구(II)

  20. [보고서] 윤현진 / 2007 / 미래 한국인의 핵심역량증진을 위한 초중등학교 교육과정비전연구(1)

  21. [보고서] 이광우 / 2008 / 미래 한국인의 핵심역량 증진을 위한 초・중등학교 교육과정 비전연구(Ⅱ)

  22. [기타] 이근호 / 2012 / 미래 사회 대비 핵심역량 함양을 위한 국가 교육과정 구상 / 한국교육과정평가원

  23. [기타] 이부영 / 2011 / 혁신학교, 무엇을 ‘혁신’하고 ‘경계’해야 하나? / 우리교육 : 116 ~ 127

  24. [학술지] 이차영 / 2014 / 고교체제 개편정책의 이념과 방향 / 교육문화연구 20 (2) : 5 ~ 30

  25. [학술지] 안형기 / 2004 / 국회사무처 핵심역량의 실태 및 역량강화방안 / 한국사회와 행정연구 15 (1) : 71 ~ 94

  26. [학술지] 장성화 / 2014 / 가족건강성과 학교적응 간의 관계에 대한 학업적 자기효능감의 매개효과 / 아동교육 23 (2) : 183 ~ 196

  27. [학술지] 정성휘 / 2004 / 비서의 핵심역량과 직무만족 및 조직몰입에 관한 연구 / 비서·사무경영연구 13 (1) : 23 ~ 44

  28. [학술지] 조금주 / 2012 / 학교다양화 정책 속에서 살펴본 혁신학교의 성과 및 과제 / 중등교육연구 60 (2) : 415 ~ 439

  29. [보고서] 한국교육개발원 / 2011 / 서울시 자율형 사립고등학교 선정 기준 및 공립고 활성화 방안 연구

  30. [보고서] 한국교육개발원 / 2011 / 자율형 사립고 운영 내실화 방안 연구

  31. [보고서] 한국교육개발원 / 2012 / 자율형 사립고 운영 현황 및 인식조사 분석

  32. [보고서] 한국교육개발원 / 2013 / 고교다양화 정책의 성과분석 및 개선방안 연구

  33. [보고서]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 2009 / 청소년 생애핵심역량 개발 및 추진방안연구 II

  34. [학술지] Abadie, A. / 2005 / Semiparametric difference-in-differences estimators / The Review of Economic Studies 72 (1) : 1 ~ 19

  35. [단행본] Angrist, J. D. / 2008 / Mostly harmless econometrics: An empiricist's companion / Princeton university press

  36. [보고서] Bertrand, M. / 2002 / How much should we trust differences-in-differences estimates?

  37. [단행본] Boyatzis, R. E. / 1982 / The Competent Manager: A Model for Effective Performance / Wiley

  38. [보고서] Card, D. / 1993 / Minimum wages and employment: A case study of the fast food industry in New Jersey and Pennsylvania

  39. [단행본] Dede, C. / 2010 / 21st century skills:Rethingking how student learn / Solution Tree Press : 51 ~ 76

  40. [학술지] Hanushek, E. A. / 2000 / Schooling, labor-force quality, and the growth of nations / American economic review : 1184 ~ 1208

  41. [학술지] McPherson, A. / 1993 / Measuring added value in schools / Education Economics 1 (1) : 43 ~ 51

  42. [기타] OECD / 2005 / The Definition and Selection of Key Competencies

  43. [학술지] Sammons, P. / 1999 / School effectiveness: Coming of age in the 21st century / Management in Education 13 (5) : 10 ~ 13

  44. [단행본] Scheerens, J. / 1992 / Effective schooling: Research, theory and practice / Cassell Academic

  45. [단행본] Spencer, L. M. / 1993 / Competence at Work: Model for Superior Performance / Wiley

  46. [단행본] Soland, J. / 2013 / Measuring 21st Century competencies:Guidance for educators / Global Cities Education Network

  47. [단행본] Weinert, F. E. / 2001 / Defining and selecting key competencies / Hogrefe &Huber Publishers : 45 ~ 65

  48. [단행본] Wooldridge, J. M. / 2010 / Econometric analysis of cross section and panel data / MIT pres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