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한국영화의 역사에서 ‘문예영화’는 문학적인 것과 영화적인 것이 조우하는 순간을 가장 분명하게 드러내는 형식으로 1960년대와 1970년대에 그 부흥기를 이루었다. 본 논문은 1960년대와 1970년대 문예영화들에서 문학과 영화의 절합이 만들어낸 새로운 비평담론의 의미를 살펴보고, 전후 도시근대화의 정치적 미학으로서 이 시기 문예영화들이 산포시킨 우화적 알레고리들을 조명하고자 한다. 특히, 문학과 영화의 이원론적 대립을 벗어나기 위한 비평적 프레임으로서 본 논문이 주목한 것은 다양한 감각을 실어 나르는 정치적 미학으로서 문학/영화의 결절점들이었다. 즉, 내용과 형식의 차원이 아니라 감각과 정치의 차원에서 두 매체가 서로 상호의존하고 교차되는 과정에 초점을 맞추고자 한 것이다. 특히 ‘영화 우화’라는 개념을 통해서 문예영화가 어떻게 가시성과 서사성의 두 시학이 엇갈리게 구성하며 형성되는가 질문하고, 1960-70년대 한국의 문예영화가 드러내는 비평적 지평을 이해하고자 한다. 이는 매체특정성의 차원이 아니라 정치적 미학의 차원에서 문학과 영화의 관계를 재형상화하고 기억, 풍경과 육체라는 우화적 형식들을 탐색하고자 함이다. 1960년대의 문예영화와 1970년대의 문예영화가 다른 기원, 다른 세대, 다른 담론장에서 출발했음에도 불구하고, 본 논문은 두 국면의 문예영화들을 예술적, 혹은 도덕적 기준에서 차별화하기보다는 ‘모랄 없는 우화들’로서 새롭게 재배치하고, 보이지 않는 연속성으로 형성된다고 본다. 20세기 한국 문화에서 정치적, 미학적 담론으로서 내면성과 육체가 출현하고 중첩되는 방식은 근대성의 경험(폭력)과 매우 밀접한 관계가 있다. 이는 마치 근대성의 경험이 사유와 형식을 요구한다고 했을 때, 시대적 국면마다 문학과 영화, 내면과 풍경, 이미지와 육체의 절합이 발생했던 것이라 할 수 있다. 특히, 김수용의 <안개>(1967)와 이만희의 <삼포로 가는 길>(1975), 김호선의 <영자의 전성시대>(1975)를 통해서, 내면적 풍경과 육체성의 알레고리들이 어떻게 한국전쟁의 트라우마적 기억에서 출발해 산업근대화 이데올로기의 음영으로 연결되는 우화적 형식으로 기능하는가를 살펴보고자 한다.

키워드

영화 우화, 1960~70년대 문예영화, 내면성, 기억, 풍경, 육체, 생명정치, 알레고리, 전후 도시근대화, 정치적 미학

참고문헌(29)open

  1. [단행본] 가라타니 고진 / 2010 / 일본근대문학의 기원 / 도서출판 b

  2. [단행본] 권명아 / 2009 / 식민지 이후를 사유하다 / 책세상

  3. [학술지] 김미현 / 2005 / 한국 와이드스크린의 기원 연구 / 문학과 영상 6 (2) : 79 ~ 106

  4. [학술지] 김병익 / 1969 / 60년대 문학의 위치 / 사상계

  5. [단행본] 김소영 / 2010 / 한국영화 최고의 10경 / 현실문화

  6. [단행본] 김수남 / 2003 / 한국영화감독론2: 해방 뒤부터 1970년대까지 한국영화작가 14인 / 지식산업사

  7. [단행본] 김수용 / 2005 / 나의 사랑 나의 씨네마 : 김수용 감독의 한국영화 이야기 / 씨네 21

  8. [단행본] 김윤식 / 1992 / 운명과 형식 / 솔

  9. [단행본] 김종원 / 1985 / 영상시대의 우화 / 제3기획

  10. [학술지] 김지미 / 2013 / 박정희 시대의 ‘민족’ 담론과 이만희 영화의 ‘민족’ 표상 / 한국현대문학연구 (41) : 533 ~ 568

  11. [학술지] 김지혜 / 2013 / 1970년대 대중소설의 영화적 변용 연구 / 한국문학이론과 비평 17 (1) : 357 ~ 381

  12. [단행본] 김현 / 2015 / 김수영 연구의 새로운 진화 / 보고사

  13. [단행본] 나병철 / 2009 / 영화와 소설의 시점과 이미지 / 소명출판

  14. [학술지] 박유희 / 2006 / 1960년대 문예영화에 나타난 매체 전환의 구조와 의미 / 현대소설연구 (32) : 167 ~ 192

  15. [단행본] 발터 벤야민 / 2008 / 발터 벤야민의 문예이론 / 길

  16. [단행본] 송희복 / 2009 / 문학과 영화의 만남 / 한국기호학회

  17. [단행본] 요모타 이누히코 / 2009 / 하길종 전집 3 / 한국영상자료원

  18. [학술지] 알랭 로브-그리예 / 1998 / 누보로망과 영화 / 외국문학연구 (4) : 403 ~ 410

  19. [학술지] 이길성 / 2010 / 문예영화에 나타난 전쟁의 기억 -1960년대 후반기를 중심으로- / 대중서사연구 (24) : 313 ~ 336

  20. [단행본] 이진경 / 2015 / 서비스 이코노미:한국의 군사주의․성노동․이주노동 / 소명출판

  21. [단행본] 이효인 / 2004 / 한국영화사 공부: 1960~1979 / 이채

  22. [단행본] 자크 랑시에르 / 2012 / 영화우화 / 인간사랑

  23. [단행본] 자크 랑시에르 / 2014 / 이미지의 운명 / 현실문화

  24. [학위논문] 조영정 / 2008 / 이만희의 작가적 위치에 대한 재고찰 : 장르작가적 관점을 중심으로

  25. [단행본] 토마스 앨새서 / 2012 / 영화 이론:영화는 육체와 어떤 관계인가? / 커뮤니케이션북스

  26. [단행본] 하길종 / 2009 / 사회적 영상과 반사회적 영상 / 한국영상자료원

  27. [학술지] 홍재범 / 2016 / 김승옥의 시나리오에 나타난 산업화 양상—<영자의 전성시대>와 <여자들만 사는 거리>를 중심으로— / 국어국문학 (176) : 725 ~ 748

  28. [단행본] Benjamin, Walter / 1977 / The Origin of German Tragic Drama / NLB

  29. [학술지] Conely, Tom / 2005 / Cinema and Its Discontents: Jacques Rancière and Film Theory / SubStance 34 (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