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홍대용의 『소학문의(小學問疑)』에는 홍대용의 사상을 압축적으로 보여주는 두 가지 주요한 관점이 드러나 있다. 하나는 가제치국(家齊治國)의 업(業)을 이루어야 자기 본성을 회복[復性]할 수 있다는 단계적 학습 의식을 비판하면서, 덕(德)과 업이 분리되지 않은 수신(修身)의 과정을 역설한다는 점이다. 다른 하나는 육예(六藝)를 소학의 공부로서 강조한다는 점이다. 성리학적 일원론의 틀 속에서 홍대용은 18세기가 마주한 다양한 사건과 사물들에 실리의 가치를 더하기 위해 『소학』에 대한 기존의 인식을 확장한다. 이 가운데 기존 『소학』 교육의 과정 속에서 간과되었던 개별 사·물(事·物)과 개인의 지식들이 더욱 구체적 의미를 가지고 회귀한다.

키워드

소학(小學), 소학문의(小學問疑), 홍대용, 덕(德)과 업(業), 육예(六藝)

참고문헌(21)open

  1. [인터넷자료] / 조선왕조실록

  2. [인터넷자료] / 한국고전종합DB

  3. [단행본] 朱熹 / 2004 / 小學集註 / 傳統文化硏究會

  4. [단행본] 洪大容 / 2000 / 湛軒書 韓國文集叢刊 248 / 民族文化推進會

  5. [단행본] 속경남 / 2003 / 朱子大传 / 商務印書館

  6. [단행본] 김태완 / 2015 / 주자평전 상,하 / 역사비평사

  7. [단행본] 이상돈 / 2013 / 주자의 수양론 문사철

  8. [단행본] 정호훈 / 2014 / 조선의 소학-주석과 번역 / 소명출판

  9. [단행본] 진원 / 2017 / 주자의 소학론과 한․중에서의 변용 / 민속원

  10. [단행본] 홍대용 / 1977 / 주해 을병연행록 / 태학사

  11. [단행본] 홍대용 / 2008 / 신편 국역 홍대용 담헌서 5冊 / 민족문화추진회

  12. [학술지] 김기현 / 1986 / 유가의 윤리구조 분석: 소학을 중심으로 / 민족문화연구 19

  13. [학위논문] 김정신 / 2008 / 조선전기 훈구·사림의 정치사상 비교

  14. [학술지] 김준석 / 1981 / 조선전기의 사회사상, 소학의 사회적 기능 분석을 중심으로 / 동방학지 29

  15. [학술지] 김훈식 / 2003 / 16세기 군신윤리의 변화와 출처론 / 역사와 현실 (50)

  16. [학위논문] 朴連鎬 / 1984 / 朱子學의 根本培養說과 朝鮮前期의 小學敎育

  17. [학술지] 이봉규 / 2010 / 涵養論과 교육과정으로 본 조선성리학의 개성 / 퇴계학보 (128) : 89 ~ 128

  18. [학술지] 윤인숙 / 2004 / 조선 초기 소학수용과 인식의 변화-사림파 등장이전 / 동양고전연구 20

  19. [학술지] 윤인숙 / 2012 / 16세기『小學』諺解의 사회 정치적 의미와 대중화 -『飜譯小學』과『小學諺解』를 중심으로- / 동악어문학 (58) : 189 ~ 216

  20. [학술지] 윤정 / 2004 / 숙종-영조 대의 세자교육과 소학 / 규장각 27

  21. [학술지] 진원 / 2012 / 소학 저술이전 시기 주자의 소학론 / 퇴계학보 (131) : 229 ~ 28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