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최근 중원지역에서는 1994년 진천 석장리유적을 시작으로 다른 지역에 비해 철 생산과관련된 자료가 많이 발견된 까닭에 중원지역이 옛 부터 철 생산지로서의 중요한 지역이었음을 입증하고 있다. 이 글에서는 중원지역에서 조사된 제철유적 가운데 제철로를 중심으로 한국에서 조사된 제철로 자료와 비교하여 제철로의 입지와 구조에 따른 시대적 특징을 살펴보았다. 그 결과 제철로의 입지가 삼국시대에는 해발이 낮고 강안(江岸)을 접하고 있는 지역에 분포하는 것으로 보아 철 생산에 대한 국가적 통제에 초점을 두고 원료 및 연료를 이동하여 통제가 유리한 지점 및 재원의 확보를 감안한 지역에서 조업이 진행된 것으로 판단된다. 이후 고려시대 이후에는 원료 및 연료의 확보가 유리한 지역을 따라이동하였음을 나타낸다. 그리고 제철로의 구조는 평면형태가 삼국시대 원형, 고려시대원형 또는 방형, 조선시대에는 방형 및 장방형 형태로 바뀌었고, 노의 축조방법은 삼국시대에는 반지하식에서 고려시대 이후에는 점차 지상식으로, 노벽을 만드는 방법도 삼국시대는 짚 등의 초본류(草本類)를 섞은 점토를 사용하였으나, 삼국시대 2기(6세기 전반~후반) 이후에는 노벽 하부를 석축하고 점토로 보강하는 방법으로 전환되어 점진적으로 고로(高爐)를 만들게 됨으로써 노의 사용기간을 연장하고 생산량의 증대를 염두에 두었던 것으로 이해된다. 또한 중원지역으로 유입된 제철로의 기원문제에 대한 접근을 시도해 보았다. 중원지역의 제철로는 삼국시대에 유입된 이후 고려시대까지 점진적으로 발전하였으며, 구조적으로 큰 변화는 보이지 않았다. 그러나 보은 상판유적에서 조사된 조선시대 제철로는 규모의 대형화, 재사용이 가능한 구조, 토둑을 이용한 조업의 유리함 등 이전의 제철로 구조와는 전혀 다른 구조를 보이고 있다. 이러한 구조의 급변은 기술의 혁신을 바탕으로 하고 있으며, 그 원인을 외부로부터의 유입 또는 자체발생설을 설정할 수 있다. 최근 이를주제로 한 연구에서 이와 같은 노를 ‘석축형 제철로’로 설정을 시도 한 바 있는데, 이와관련하여 중국에서 조사된 제철자료와 비교하고, 구조를 검토하여 석축형 제철로의 기원문제에 대한 검토의 여지가 있음을 밝히고자 한다.

키워드

중원지역, 제철로, 시대적 특징, 석축형 제철로, 기원문제

참고문헌(52)open

  1. [기타] 國立慶州博物館 / 1999 / 慶州 皇城洞 524-9番地 溶解爐蹟

  2. [단행본] 國立慶州博物館 / 2000 / 慶州 皇城洞遺蹟Ⅰ

  3. [기타] 國立光州博物館 / 1993 / 金谷洞 - 朝鮮時代 鐵 및 鐵器生産遺蹟-

  4. [기타] 國立金海博物館 / 2001 / 密陽沙村製鐵遺蹟

  5. [기타] 國立淸州博物館 / 2004 / 鎭川 石帳里 鐵生産遺蹟

  6. [기타] 權五榮 / 2005 / Ⅵ- 慶堂地區 中層 101號 遺構에 대한 報告 / 국립문화재연구소ㆍ한신대학교 박물관

  7. [기타] 畿甸文化財硏究院 / 2003 / 華城 發安里 마을遺蹟 / 旗安里 製鐵遺蹟 發掘調査 現場說明會資料

  8. [학술대회] 金京鎬 / 2009 / 忠州 老鷄冶鐵址遺蹟에 대한 檢討 / 제4회 철문화연구회 학술 세미나 발표요지

  9. [기타] 金京鎬 / 2011 / 中原地域의 鐵 生産遺蹟-製鐵爐를 中心으로 / 중원의 생산유적

  10. [학위논문] 김권일 / 2003 / 남한지역 고대 제철로에 대한 일연구

  11. [학술지] 김권일 / 2009 / 영남지역 조선시대 製鐵文化의 기초적 연구 -石築型 製鐵爐의 설정- / 영남고고학 (50) : 45 ~ 79

  12. [학술지] 김무중 / 2006 / 마한지역 낙랑계 유물의 전개양상 / 낙랑문화연구

  13. [단행본] 김홍식 / 2008 / 中原(충북)지방 班家의 理氣論적 建築美學 연구 / 중원과 한강

  14. [기타] 대경문화재연구원 / 2007 / 尙州 好音里 遺蹟

  15. [기타] 東亞大學校博物館 / 2000 / 梁山勿禁遺蹟

  16. [단행본] 문명대 / 2008 / 중원지방 불교미술의 성격 / 중원과 한강

  17. [기타] 박장식 / 2008 / 청원 연제리 출토 철재(slag)에 관련된 기술과 발생시기에 관한 연구 / 淸原 五松 生命科學産業團地內 淸原 蓮提里遺蹟

  18. [단행본] 박중균 / 2009 / 중원문화재연구원의 조사현황과 그 성과, In 새로운 문화재Ⅱ

  19. [기타] 聖林文化財硏究院 / 2006 / 慶州 乾川 龍明里 製鐵遺蹟

  20. [학술지] 成正鏞 / 2006 / 中西部地域 原三國時代 土器 樣相 / 한국고고학보 (60) : 120 ~ 157

  21. [학위논문] 송윤정 / 2007 / 통일신라 철제 농·공구의 특성과 발전양상 : 생활유적을 중심으로

  22. [학술대회] 송윤정 / 2011 / 통일신라시대 철․철기의 생산과 유통에 관한 시론적 고찰 / 제7회 한국철문화연구회학술세미나자료집

  23. [기타] 신경환 / 2008 / 오송 연제리 제철유적 시료의 분석적 고찰 / 淸原 五松生命科 學産業團地內 淸原蓮提里遺蹟

  24. [기타] 신경환 / 2008 / 충주 칠금동 제철유적 시료의 분석적 고찰 / 충주 칠금동 제철유적

  25. [기타] 신경환 / 2010 / 충북 보은 상판지구 농업용수개발사업부지내 유적 출토 제철관련 유물의 금속학적 분석고찰 / 報恩 上板 製鐵遺蹟

  26. [기타] 이남규 / 2008 / 鐵器生産 프로세스의 이해, In 한국 매장문화재 조사연구방법론4 / 국립문화재연구소

  27. [기타] 장준식 / 2011 / 생산유적으로 본 중원 / 중원의 생산

  28. [학위논문] 조록주 / 2010 / 중부내륙지역 백제 철 생산 유적의 성격

  29. [기타] 中央文化財硏究院 / 2002 / 慶州 外東地區 農村用水開發 事業地區 內 遺蹟 發掘調査報告書

  30. [기타] 中央文化財硏究院 / 2008 / 淸原 五松生命科學産業團地內 淸原 蓮提里遺蹟

  31. [기타] 中央文化財硏究院 / 2009 / 忠州 本里․永平里․完五里遺蹟

  32. [기타] 中央文化財硏究院 / 2008 / 충주 칠금동 제철유적

  33. [기타] 中央文化財硏究院 / 2009 / 淸州 山南洞 33-7番地 遺蹟

  34. [기타] 中央文化財硏究院 / 2009 / 忠州 彈琴臺土城Ⅰ-2007年度 發掘調査報告

  35. [보고서] 中央文化財硏究院 / 2010 / 충주 KM그린CC(로얄포레CC)조성사업부지 내 유적 시․발굴조사 약보고서 -대화리유적-

  36. [기타] 中央文化財硏究院 / 2010 / 報恩 上板 製鐵遺蹟

  37. [기타] 中央文化財硏究院 / 2010 / 忠州 尖端産業團地 進入道路 開設事業敷地 內 遺蹟 發掘調査 報告書-老鷄마을 高麗時代冶鐵遺蹟-

  38. [기타] 忠北大學校 中原文化硏究所 / 1998 / 文化遺蹟分布地圖-忠州市

  39. [기타] 忠北大學校博物館 / 2007 / 忠州 金陵洞 遺蹟

  40. [기타] 충청북도문화재연구원 / 2010 / 진천 구산리 제철유적

  41. [기타] 忠州博物館 / 1996 / 忠州 利柳面 冶鐵遺蹟 地表調査報告書

  42. [기타] 忠州博物館․國立中央科學館 / 1998 / 忠州 完五里 冶鐵遺蹟

  43. [기타] 韓國文化財保護財團 / 2001 / 慶州市 皇城洞 537-2 賃貸아파트 新築敷地 發掘調査 報告書

  44. [기타] 韓國文化財保護財團 / 2002 / 蔚山圈 廣域上水道(大谷댐)事業編入敷地內 1次 發掘調査 報告書

  45. [기타] 한신大學校博物館 / 2007 / 龍仁 彦南里-統㊀新羅生活遺蹟

  46. [학술지] 盧本珊 / 1981 / 銅綠山春秋時期煉銅竪爐的復原硏究 / 文物 8

  47. [학술지] 劉雲彩 / 1978 / 中國古代高爐的起源和演變 / 文物 2

  48. [단행본] 白雲翔 / 2005 / 先秦兩漢鐵器的考古學硏究 / 科學出版社

  49. [기타] 李京華 / 2000 / 中國漢代大鐵官による職官管理體制の再硏究, In たたら硏究會創立40周年記念製鐵史論 文集 / たたら硏究會編

  50. [학술지] 河南省博物館 / 1978 / 河南漢代冶鐵技術初探 / 考古學報 1

  51. [학술지] 河南省文物考古硏究所等 / 1998 / 河南省西平縣酒店冶鐵遺址試掘簡報 / 華夏考古 4

  52. [학술지] 黃石市博物館 / 1981 / 湖北銅綠山春秋時期煉銅遺址發掘簡報 / 文物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