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KCI 등재

기념물의 상징화를 통한 지역사회의 정체성 확립-황주성의 일기에 나타난 만세운동기념탑 건립 추진 활동을 중심으로-

Making a Symbol and Identity of Locality through the Establishment of Monument

지방사와 지방문화
약어 : -
2018 vol.21, no.1, pp.123 - 166
DOI : 10.23013/localh.2018.21.1.005
발행기관 : 역사문화학회
연구분야 : 역사학
Copyright © 역사문화학회
6 회 열람

본 연구는 남원지역에서 일어난 독립만세운동 기념물 제작 과정에 주목해서 그 의미를 분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지역사회가 기념물을 건립하는 과정에서부터 완공 후 이를 상징체계로 편입하여 정체성 확립에 활용하는 과정이 본 논문의 주요내용이다. 지역사회는 기념탑 건립 전 과정에 걸쳐 단단한 내부의 결속력을 바탕으로 다양한 이해집단과의 정치적 협상을 주도하면서 의미 있는 성과를 이룩했고 이를 지역사회의 자산으로 축적했다. 지원금 확보를 둘러싼 지역정치권과의 교환적 상호작용, 기념탑 설계와 시공에 관한 전문가 집단과의 갈등적 상호작용 및 기념탑에 새길 유공자 선정을 위한 독립운동가 후손과의 타협적 상호작용이 그것이다. 거시적으로 보면 개인이나 지역은 사회나 국가라는 상층부의 하부 단위로 규정되어 피동성과 예속성이 전부인 것처럼 보이지만 실은 그렇지 않다. 그 속에는 지역사회가 가지는 능동성과 주체성이 발휘되고 있다는 점을 본 논문에서 피력한다. 30년 가까이 지속되면서 산업화와 개방화라는 거대한 시대적 물결이 몰고 온 총체적 쇠락 현상을 반전시키기 위해 지역사회는 만세운동 기념탑 건립이라는 문화운동 체계를 만들었다. 이를 기반으로 독립만세운동의 터전이라는 정체성을 확립하기 위해 노력한 결과 만세운동 기념탑과 삼일절 기념행사 유치라는 상징물과 행사를 보유하게 되었고 이를 주체적으로 활용하여 지역 정체성을 재생산, 강화할 수 있게 되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significance of the process of making the monument of independence movement in Namwon area. The main content of this paper is the entire process of building the monument from the initial step to the final one incorporating it into the symbol system and establishing the identity. Throughout the process of building the monument, the local community has made meaningful achievements by leading political negotiations with diverse stakeholders based on solid internal cohesion and accumulating them as assets of the local community. Exchange interactions with local political circles around securing subsidies, conflictual interactions with specialist groups on the design and construction of the monument, and compromised interactions with descendants of the independent movement for the selection of patriots whose names would be inscribed in the monument. From a macro perspective, individuals and regions are frequently defined as subordinates of a society or state, which seem to be passive and subordinate, but in fact they are not. In this paper, it is shown that the activeness and subjectivity of the local community is exercised. In order to counter-act against the global decline that has been driven by the huge wave of industrialization and free-market policy that lasted for nearly 30 years, the local community has made a cultural movement for the building of the memorial tower of the March 1st independence movement and made efforts to establish its identity as the base of the independence memorial rituals in the region. It has become a major symbol of the anniversary of March 1st movement, and it is able to reproduce and strengthen local identity by using it as a subject.

지역공동체, 상징체계, 지역정체성, 기념물
local community, symbol system, local identity, monument

  • 1. [단행본] 곽차섭 / 2000 / 미시사란 무엇인가 / 푸른역사
  • 2. [학술지] 곽현근 / 2013 / 현대 지역공동체의 의의와 활성화 방안 / 사회과학논문집 / 23 (1) : 29 ~ 1
  • 3. [학술지] 김광억 / 1996 / ‘지방’의 생산과 그 정치적 이용 / 한국문화인류학 / 29 (1) : 3 ~ 1
  • 4. [단행본] 김광억 / 2012 / 문화의 정치와 지역사회의 권력구조 / 서울대학교출판문화원
  • 5. [단행본] 김영명 / 2013 / 대한민국 정치사 / 일조각
  • 6. [단행본] 김영미 / 2009 / 그들의 새마을운동 / 푸른역사
  • 7. [단행본] 나종석 / 2002 / 일상사란 무엇인가 / 청년사
  • 8. [단행본] 리햐르트 반 둴멘 / 2002 / 역사인류학이란 무엇인가 / 푸른역사
  • 9. [학술지] 박명규 / 2001 / 역사적 사건의 상징화와 집합적 정체성 / 한국사회과학 / 23 (2) : 12 ~ 2
  • 10. [단행본] 박성희 / 2004 / 생애사에 기초한 질적연구방법 / 원미사
  • 11. [학술대회] 박현수 / 1999 / 구술사와 우리시대의 인류학 / 제6차 워크샵 자료집 : 2 ~
  • 12. [학술대회] 백승종 / 1999 / 입에서 입으로 전해진 역사, ‘집단의 기억’으로서 민중의 역사 / 제6차 워크샵 자료집 : 34 ~
  • 13. [단행본] 백승종 / 2002 / 그 나라의 역사와 말 / 궁리출판
  • 14. [단행본] 삐에르 부르디 / 2006 / 구별짓기 문화와 취향의 사회학 / 새물결
  • 15. [단행본] 시드니 민츠 / 1998 / 설탕과 권력 / 지호출판사
  • 16. [학술지] 유영국 / 1993 / 정치민주화의 쟁점과 현행 지자제 평가 / 지역사회연구 / 1 : 10 ~
  • 17. [학술대회] 유철인 / 1999 / 생애사 연구방법: 자료의 수집과 텍스트의 해석 / 6차 워크샵 자료집 : 25 ~
  • 18. [단행본] 유철인 / 2004 / 인류학과 지방의 역사 / 아카넷
  • 19. [단행본] 윤영근 / 1999 / 남원 항일운동사 / 도서출판어화
  • 20. [단행본] 윤택림 / 2004 / 문화와 역사연구를 위한 질적연구방법론 / 아르케
  • 21. [학술지] 정호기 / 2007 / 박정희시대의 '동상건립운동'과 애국주의: '애국선열조상건립위원회'의 활동을 중심으로 / 한국학 / 30 (1) : 335 ~ 1 kci
  • 22. [학술지] 정호기 / 2012 / 시민사회의 사회운동 기념물 건립과 표상: ‘5·18’과 ‘5월운동’을 중심으로 / 경제와 사회 (94) : 308 ~ 94 kci
  • 23. [단행본] 카를로 진즈부르그 / 2002 / 치즈와 구더기 / 문학과지성사
  • 24. [단행본] 한병옥 / 2013 / 통한의 남원성 북문. 남원역 / 남원동학농민혁명기념사업회
  • 25. [학술지] 함한희 / 2000 / 구술사와 문화연구 / 한국문화인류학 / 33 (1) : 10 ~ 1
  • 26. [기타] / 1997 / 덕과면, 1997.4.24, 문서: 덕과 12110-, 3․1독립만세운동 성역화추진 실적통보
  • 27. [기타] / 1997 / 전라북도, 1997.5.30, 문서번호: 문예86700-611, 민원회신
  • 28. [기타] / 1997 / 남원시, 1997.11.25, 문서: 사회13060-2617, 도예산 보조금 내시 통보
  • 29. [기타] / 2013 / 94주년 3.1절 기념식 행사 시나리오, 2013. 3. 1
  • 30. [기타] / 2013 / ‘그날의 함성’공연 리플릿 / 한국무용협회 남원시지부
  • 31. [기타] / 김용래(남, 1969년생, 현 전북도청 공무원. 당시 덕과면 총무담당자)
  • 32. [기타] / 김재호(남, 1936년생, 당시 만세운동 기념탑 건립 추진위원회 재무)
  • 33. [기타] / 박세광(남, 1979년생, 한국무용협회 남원시지부장, ‘그날의 함성’연출자)
  • 34. [기타] / 소재춘(남, 1955년생, 전 덕과 면장. 당시 덕과면 산업계 근무)
  • 35. [기타] / 송재원(남, 1943년생, 당시 덕과 면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