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이제까지 논의되어 온 원형담론의 층위는 原形(originality), 元型(archetype), 原型(pattern) 등으로 나뉠 수 있다. 이들은 原本(archepattern) 등으로 심층화되어 이해되거나 논의되기도 하지만, 대개는 가변적일 뿐 아니라 중층적인 개념으로 사용되어 왔다. 무형문화재의 원형적 접근은 대개‘고유소‘ 혹은‘민속의 원형’등으로, 이들을 망라하거나 적어도 중첩적 개념으로 이해된다고 볼 수 있다. <문화원형사업>의 원형적 접근들은 개념 자체는 민속의 원형이라는 접근 맥락과 유사한 듯 보이지만 실제 적용되는 사례들은 문화콘텐츠 혹은 산업화에 소요되는 소재주의적 의미로 이해되고 있다. ‘原形性’보다‘典型性’, ‘類型性’에 초점이 있음을 말한다. 콘진에서 문화콘텐츠 개발 방안과 방향을 점검하는 프로토타입(Prototype)도 각각의 목적과 방향에 따라 문화원형의 개념을 取捨하고 있다고 볼 수 있다. 이 성격을 다시 세 가지의 목적과 의미에 따라 구분해보면, 첫째는 민족성 혹은 지역성이고 둘째는 원형성 혹은 목적성이며 셋째는 원본성 혹은 글로벌성이라고 나누어 볼 수 있다. 본문의 분석을 통하여 점검할 수 있는 것은 문화원형담론을 시대적 흐름속에서 조망하는 입장이 아닌가 생각한다. 곧, 심층적인 학술적 원형논의는 진행형으로 진단하는 것이 옳다는 뜻이다. 그러나 용어의 층위가 어떠했든 문화원형담론이 문화콘텐츠산업의 전제가 되어 있는 것이 불변의 현실이라는 점에서, 어떤 측면이든 문화원형에 대한 논의를 진전시킬 의무는 우리에게 주어져 있는 셈이다. 따라서 무형문화재제도가 민족문화원형이라는 국가적 이데올로기 창출을 기반으로 하였지만 일정한 보존과 보호의 기능을 해왔듯이, 근자의 문화원형담론 또한 문화경제주의라는 국가의 산업적 전략을 기반으로 창출되었지만 또 어떤 기능을 할지, 향후의 전개과정에 대해 주목할 필요가 있는 것이다. 즉, 향후의 원형담론은 멀티유즈를 전제한 원소스로서의 문화원형이라는 소재주의적 관점에 머무는 것이 아니라, 삶의 본질에 천착하는 원형으로서의 의미를 회복하는 절차들을 밟아나갈 필요가 있다고 본다.

키워드

원형담론, 고유소, 민속의 원형, 문화원형사업, 무형문화재제도, 이데올로기

참고문헌(37)open

  1. [학술지] 김교빈 / 2005 / 문화원형의 개념과 활용 / 인문콘텐츠 (6)

  2. [단행본] 김영만 / 2007 / 민족문화상징100 / 바른사

  3. [학술지] 김기덕 / 2005 / 문화원형 층위와 새로운 개념 / 인문콘텐츠 (6)

  4. [단행본] 김기덕 / 2007 / 한국전통문화와문화콘텐츠 / 북코리아

  5. [단행본] 김의숙 / 2003 / 민속학이란무엇인가 / 북스힐

  6. [단행본] 김태곤 / 1997 / 原本의개념 / 민속원

  7. [단행본] 김태곤 / 1997 / 한국문화의원본사고 / 민속원

  8. [단행본] 민경선 / 2007 / 일본의국가브랜드육성전략 / KOTRA

  9. [단행본] 민속학회 / 1994 / 한국민속학의이해 / 문학아카데미

  10. [단행본] 박동석 / 2005 / 문화재보호법 / 민속원

  11. [단행본] 박재우 / 2002 / 삼원의이해 / 오행출판사

  12. [단행본] 배영동 / 2005 / 문화콘텐츠화 사업에서‘문화원형’개념의 함의와 한계 / 인문콘텐츠

  13. [단행본] 우실하 / 1998 / 전통문화의구성원리 / 소나무

  14. [단행본] 우실하 / 2004 / 전통음악의 구조와 원리:‘ 삼태극의 춤‘ 동양음악 / 소나무

  15. [학술지] 우실하 / 2006 / 「천부경」, 「삼일신고」의 수리체계와 ‘3수 분화의 세계관(1-3-9-81)’ / 仙道文化 1 : 35 ~ 101

  16. [단행본] 임돈희 / 1997 / 중요무형문화재 보존 전승의 과제 / 문화재

  17. [단행본] 임동권 / 1983 / 한국민속문화론 / 집문당

  18. [단행본] 임재해 / 1991 / 한국민속과전통의세계 / 지식산업사

  19. [단행본] 앤드류 에드거 / 문화이론 사전 / 한나래

  20. [단행본] 이두현 / 1991 / 한국민속학개설 / 일조각

  21. [단행본] 이윤선 / 2006 / 소포만민속음악의생태적전통과변화 / 도서문화

  22. [단행본] 이윤선 / 2006 / 민속문화기반의문화콘텐츠기획론 / 민속원

  23. [단행본] 이윤선 / 2007 / 해양문화의 프랙탈, 부안 죽막동 수성당 포지셔닝 / 변산반도해양문화포럼

  24. [단행본] 임장혁 / 2006 / 중요무형문화재원형보존과재창조가이드라인 / 문화재청

  25. [학술대회] 임재해 / 2006 / 무형문화재의 문화적 가치 재인식과 창조적 계승 / 한국민속학회 173차 학술발표회

  26. [학술지] 정수진 / 2004 / 무형문화재 제도의 성립, 그 역사성의 재고 / 한국민속학

  27. [단행본] 최혜실 / 2005 / 문화원형 창작소재 개발 중 장기 로드맵 수립 / 한국문화콘텐츠진흥원

  28. [단행본] 홍석준 / 2007 / 총론:이론적 접근『」무안군의 문화원형 / 목포대학교도서문화연구소

  29. [기타] 문화관광부 / 2006 / 100대문화상징

  30. [기타] 문화관광부 / 2006 / 민족문화원형 발굴 및 문화정체성 정립 사업(안) 설명자료

  31. [기타] 문화관광부 / 2007 / 한스타일

  32. [기타] 문화재청 / 2002 / 문화재보존관리및활용에관한기본계획

  33. [기타] / 문화콘텐츠닷컴 홈페이지

  34. [기타] / 한국문화콘텐츠진흥원 홈페이지 http://kocca. or. kr/ctnews/kor/index. jsp

  35. [기타] / 한스타일 홈페이지 http://www. han-style. com

  36. [기타] / 국정홍보처 홈페이지 http://www. allim. go. kr

  37. [기타] KBS특집다큐 / 2006 / 문화의 질주>9편:문화강국의 조건-국가이미지를 디자인하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