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이 논문의 목표는 사단칠정론이 철학이론이 아님을 보이고, 철학이론이 되기 위해서 어떤 것이 필요한지를 제시하려는 것이다. 나는 이러한 주장을 위해 철학이론은 철학문제의 해결을 지향해야 하며, 이를 위해서는 경험사실을 그 토대로 삼아야 한다고 주장한다. 내가 생각하는 경험사실은 당대의 과학이 제공하는 정보는 물론이고, 수양을 통해 얻은 체험 및 정치, 사회제도이다. 리기론에 기반한 기존의 사단칠정론은 이러한 경험사실들의 기반이 없기에 적절한 철학이론이 될 수 없다. 따라서 앞서 제시한 세 가지 경험사실 중의 하나를 이용하여 새롭게 사단칠정론을 구성한다면 우리는 철학이론으로서의 사단칠정론을 가질 수 있게 될 것이다.

키워드

사단칠정론, 철학이론, 과학이론, 리기론, 경험사실

참고문헌(24)open

  1. [기타] / 墨子

  2. [기타] / 朱子語類

  3. [기타] / 高峯集

  4. [단행본] 김영건 / 2009 / 동양철학에 관한 분석적 비판 / 라티오

  5. [단행본] 김영식 / 2005 / 주희의 자연철학 / 예문서원

  6. [단행본] 김재권 / 1986 / 한국에서 철학하는 자세들 / 집문당

  7. [단행본] 리처드 루빈스타인 / 2004 / 아리스토텔레스의 아이들 / 민음사

  8. [단행본] 모종삼 / 2012 / 심체와 성체 1 / 소명출판

  9. [단행본] 모종삼 / 2003 / 政道與治道 / 聯經出版

  10. [단행본] 이병덕 / 2017 / 현대 인식론 / 성균관대학교 출판부

  11. [단행본] 이황 / 2006 / 퇴계와 고봉, 편지를 쓰다 / 소나무

  12. [단행본] M. 존슨 / 2002 / 몸의 철학 / 박이정

  13. [단행본] 한정훈 / 2020 / 물질의 물리학 / 김영사

  14. [단행본] 한형조 / 2018 / 성학십도, 자기구원의 가이드맵 / 한국학중앙연구원출판부

  15. [단행본] Lloyd, G. E. R. / 2004 / Ancient Worlds, Modern Reflections: Philosophical Perspectives on Greek and Chinese Science and Culture / Oxford University Press

  16. [단행본] Meillassoux, Quentin / 2008 / After Finitude / Continuum International Publishing Group

  17. [단행본] Strawson, P. F. / 1966 / The Bounds of Sense / Routledge

  18. [단행본] Tiles, Mary / 1993 / An Introduction to Historical Epistemology / Blackwell Publishers

  19. [단행본] Varela, Francisco J / 2016 / The Embodied Mind / The MIT Press

  20. [단행본] Virág, Curie / 2017 / The Emotions in Early Chinese Philosophy / Oxford University Press

  21. [단행본] Williamson, Timothy / 2007 / The Philosophy of Philosophy / Blackwell Publishing

  22. [학술지] 홍성민 / 2014 / 中節의 문제로 고찰한 고봉 기대승의 도덕 감정론 / 한국학연구 (48) : 267 ~ 293

  23. [학술지] Ivanhoe, Philip J. / 2015 / The Historical Significance and Contemporary Relevance of the Four-Seven Debate / Philosophy East & West 65 (2)

  24. [단행본] Lee, Ming-Huei / 2017 / Confucianism: Its Roots and Global Significance / University of Hawaii Pres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