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대학』의 저자나 서술 시기에 대한 정확한 역사적 기록은 남아 있지 않고, 추측만이 남아 있다. 『대학』의 저자가 지은 『대학』의 본래 모습이 어떠했는지는 확인할 길이 없다. 이러한 상황에서는 누군가의 주장이나 사상이 옳고 그르다고 평가할 수 없다. 다만 그의 주장이나 사상이 논리적 정합성을 가진 통일된 체계인지는 따져볼 수 있다. 본 논문은 『대학장구』를 저본으로 하면서 체재를 개정한 이언적․고응척․최유지․박세당과, 『고본대학』을 저본으로 하면서 체재를 개정한 최유해․심대윤의 『대학』 체재에 대한 이해를 살펴보았다. 이들은 나름대로의 논리적 정합성을 가지고 『대학』 본래의 모습을 찾고자 노력하였다. 특히 주희의 격물치지보망장을 인정하지 않고 격물치지에 대한 독자적 이해를 통해서 격물치지전을 재구성하거나 보망장을 지었다. 물론 차서를 변경하고 그에 대한 정확한 근거나 이유를 밝히지 않은 곳도 많다. 또한 그들의 주장이 모두 논리적인 정합성을 지니고 있는지는 재고해 보아야 한다.

키워드

『고본대학』, 『대학장구』, 『대학』의 체재, 격물치지, 이언적, 고응척, 최유지, 박세당, 최유해, 심대윤

참고문헌(20)open

  1. [기타] / 大學章句, 大學或問, 禮記正義, 二程全書

  2. [단행본] 崔攸之 / 論大學格致章, in 艮湖集

  3. [기타] 崔有海 / 大學舊本考義․賓主問答(嘿守堂集[首陽世稿(海州崔氏文獻集) 中篇에 수록])

  4. [단행본] 高應陟 / 大學改正, in 杜谷集

  5. [기타] 沈大允 / 大學考正(韓國經學資料集成 大學8)

  6. [기타] 李彦迪 / 大學章句補遺․ 續大學或問(韓國經學資料集成 大學2)

  7. [기타] 朴世堂 / 思辨錄-大學(韓國經學資料集成 大學3)

  8. [단행본] 이영호 / 2004 / 조선중기 경학사상 연구(-16~7세기 『대학』 주석서에 대한 분석-) / 경인문화사

  9. [단행본] 안은수 / 2009 / 주희의 자연관 형성의 두 원천 / 문사철

  10. [학술지] 안재순 / 2006 / 17세기 韓?日 儒者의 反朱子學的 『大學』觀 - 白湖.西溪.仁齋.?徠의 『大學』解釋을 중심으로 / 동양철학연구 (48) : 45 ~ 78

  11. [학술지] 이동희 / 2008 / 李彦迪의 朱子 『大學章句』에 대한 비판적 연구 / 유교사상문화연구 (34) : 202 ~ 221

  12. [학술지] 장병한 / 2001 / 심대윤의 『대학고정』에 관한 연구 / 한국사상과 문화 14

  13. [학술지] 장병한 / 2007 / 霞谷 鄭齊斗와 白雲 沈大允의 經學 비고 / 양명학 (18) : 163 ~ 193

  14. [학술지] 조창열 / 2005 / 주자, 회재의 『대학』 주석 비교 연구 / 한문고전연구 11

  15. [학술지] 최석기 / 2002 / 艮湖 崔攸之의 ?大學章句? 改訂과 그 意味 / 南冥學硏究 12 : 5 ~ 146

  16. [학술지] 최석기 / 2001 / 두곡 고응척의 『대학장구』 개정과 그 의미 / 한문학보 4

  17. [학술지] 최석기 / 2004 / 묵守堂 崔有海의 [大學]解釋과 그 意味 / 南冥學硏究 (18) : 351 ~ 388

  18. [학술지] 최석기 / 2003 / 陽村 權近의 <大學>解釋과 그 意味 / 漢文學報 8 (1) : 81 ~ 115

  19. [학술지] 최석기 / 2005 / 退溪의 『大學』 解釋과 그 意味 / 퇴계학과 유교문화 (36) : 97 ~ 160

  20. [학술지] 최석기 / 1998 / 회재의 『대학장구』 개정과 후대의 논변 / 정신문화연구 (7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