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본 논문은 주희의 未發之中論과 정제두의 未發之中論의 비교를 통해서 정제두의 공부론적 기초를 규명하고자 한 것이다. 주희가 中和新說에서 설정한 未發之中의 개념은 已發時 뿐만 아니라, 未發時도 공부의 범위에 포함시킴으로써 공부주체의 주재성을 확장하기 위해 고안된 것이다. 주희는 未發의 상태를 사려가 싹트지 않고 사물이 이르지 않은 의식의 순일한 상태로 규정하고 이 때의 기상을 잘 보존하는 것을 공부의 본령으로 삼았다. 이때의 기상이란 주관적인 의도가 전혀 없어서 어느 것에도 치우치거나 기울지 않는 中의 상태에 있는 것을 말한다. 그리고 中의 상태는 순일한 의식단계 속에 드러난 본체의 모습을 형용한 것이다. 주희는 未發之中을 곧 渾然在中이라 하였고, 이것을 時中, 致中과 구별했다. 주희의 논점은 인간이면 누구나 진정한 未發의 상태에 도달했을 때, 中의 상태를 경험할 수 있고 이때의 공부가 매우 중요하다는 데 있었다. 그러나 정제두는 未發時에 渾然在中 하게 되는 것은 사실상 불가능하고 가능하더라도 일시적이기 때문에 大本이 될 수 없다고 보았다. 정제두에 의하면 未發時의 渾然在中은 성립될 수 없고, 아울러 이를 보존하는 공부도 불가능하다. 정제두는 『中庸』』 나오는 ‘未發’ 개념은 주희가 말하는 것 처럼 의식의 한 단계를 말하는 것이 아니고, 천리 본체와 현존재의 본래성을 말하는 것이라고 한다. 정제두는 ‘未發’을 ‘不發’과 구분하면서 ‘發而未發’이라고 표현하였다. ‘發而未發’은 천리 본체가 寂然하면서도 感通하지 않는 것을 의미하고, 아울러 현존재에게 있어서는 喜怒哀樂의 감정이 발하되 사욕과 객기에 의해 움직인 사사로운 감정은 일어나지 않은 것을 의미한다. 정제두의 未發之中은 곧 大本之中이며, 이것은 본체의 본래성이면서 동시에 이러한 본래성이 현존재 안에서 도덕 주체로서 제대로 확립된 상태를 말한다.

키워드

朱熹, 鄭齊斗, 未發之中, 渾然在中, 時中, 致中, 大本之中, 工夫論

참고문헌(28)open

  1. [기타] / 四書大典

  2. [기타] / 二程遺書

  3. [기타] / 晦菴集

  4. [기타] / 朱子語類

  5. [기타] / 霞谷集

  6. [단행본] 진래 / 2002 / 朱熹의 철학 / 예문서원

  7. [단행본] 진래 / 2003 / 양명철학 / 예문서원

  8. [단행본] 이남인 / 2004 / 현상학과 해석학 / 서울대학교 출판부

  9. [단행본] 이상호 / 2008 / 양명우파와 鄭齊斗의 양명학 / 혜안

  10. [단행본] 박연수 / 2007 / 하곡鄭齊斗의 사상 / 한국학술정보

  11. [학술지] 이봉규 / 1999 / 성리학에서 未發의 철학적 문제와 17세기 기호학파의 견해 / 한국사상사학 (13)

  12. [학술지] 최정묵 / 2000 / 주자의 中和說에 대한 고찰 / 동서철학연구 (20)

  13. [학술지] 최진덕 / 2000 / 주자의 中和新說과 敬공부론 / 철학연구 (51)

  14. [학술지] 문석윤 / 2003 / 退溪의 ‘未發’論 / 퇴계학보 114 : 1 ~ 44

  15. [학술지] 김우형 / 2003 / 주희 知覺論의 형성과정과 철학적 구도 / 중국학보 48 : 645

  16. [학술지] 이승환 / 2004 / 退溪 未發說 釐淸 / 퇴계학보 (116) : 67 ~ 106

  17. [학술지] 이승환 / 2006 / 朱子 수양론에서 未發의 의미: / 퇴계학보 (119) : 1 ~ 34

  18. [학술지] 이승환 / 2008 / 주자(朱子)는 왜 미발체인(未發體認)에 실패하였는가 : ―도남학적 수양론의 특징과 전승과정을 중심으로― / 철학연구 (35) : 3 ~ 41

  19. [학술지] 전병욱 / 2007 / 朱子哲學에서 ‘日用工夫’의 의미 변화 - 中和論辨 시기의 工夫論을 중심으로 / 철학 (91) : 51 ~ 76

  20. [학술지] 홍성민 / 2007 / 朱子 哲學에서 未發 涵養의 문제 - 中和 論辯 시기를 중심으로 - / 철학연구 104 : 289 ~ 314

  21. [학술지] 이현선 / 2008 / 정이(程頤)의 ‘중(中)’과 ‘미발(未發)’개념 연구 - 여대림과의 논쟁을 중심으로 / 철학연구 (82) : 37 ~ 59

  22. [학술지] 한정길 / 2007 / 王守仁의 中和說 연구 / 양명학 (18) : 93 ~ 130

  23. [학술지] 최일범 / 2002 / 霞谷 鄭齊斗의 工夫論에 관한 연구 / 동양철학연구 30 : 53 ~ 75

  24. [학술지] 최일범 / 2005 / 霞谷의 退溪비판에 나타난 工夫論에 관한 연구 / 양명학 (13)

  25. [학위논문] 민혜진 / 2005 / 鄭齊斗의 誠사상에 관한 연구

  26. [학술지] 김용재 / 2005 / 하곡 鄭齊斗의 중용해설 / 한문고전연구 (11)

  27. [학술지] 임선영 / 2003 / 하곡 鄭齊斗의 양명학적 중용이해 / 한국철학논집 (13)

  28. [학술지] 박원재 / 2002 / 하곡 鄭齊斗의 「중용」해석의 특징 / 국학연구 (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