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KCI 등재

『옥류산장시화(玉溜山莊詩話)』에 나타난허난설헌의 문학사적 위상 -『조선문학사(朝鮮文學史)』와의 관계를 중심으로-

The Literary and Historical Status of Heo Nanseolheon, Who Appears in Okryusanjangsihwa(玉溜山莊詩話), Centering on its Relation to The History of Joseon Literature(朝鮮文學史)

연민학지
약어 : 淵民學志
2021 vol.36, pp.61 - 90
DOI : 10.22996/yonmin.36..202108.61
발행기관 : 연민학회
연구분야 : 기타인문학
Copyright © 연민학회
25 회 열람

조선시대 허난설헌에 대한 제가의 평은 시에 대한 논평, 표절과 위작시비, 와전된 기록에 대한 수정으로 정리된다. 중국까지 널리 알려져 있던 만큼 허난설헌 시는 높은 평가를 받았으나 여성의 문학 창작 활동에 대한 부정적 인식을 기반으로 표절과 위작시비나 인품에 대한 폄하도 이루어져 왔다. 따라서 시 외적인 측면에서의 부당한 평가로 인해 문학적 성취에 준하는 평가를 받지 못하였다. 연민 이가원의 『옥류산장시화』는 저자 자신의 평가에 따른 산삭이 이루어진 전통적인 시화집으로 총 787칙으로 이루어져 있다. 이 가운데 허난설헌 관련 시화는 25칙에 이르러, 여타 문인보다 많은 주목도를 보인다. 그런데 『옥류산장시화』는 증명할 수 없는 부분은 채택하지 않는 산삭의 태도를 취하는 동시에 허난설헌에 대한 부정적인 평가는 전문을 실어, 폄훼에 가까울 수 있는 정보는 누락시키고 독자가 객관적으로 판단할 수 있도록 정확한 정보를 제공한다. 이후 이 시화들은 『조선문학사』에 대부분 수용되어, 허난설헌을 평가하는 기초자료로 활용되었다. 그와 동시에 기존 오류를 교정하고 잘못된 평가를 바로잡았으며, 외적인 평가를 제거한 상태에서 허난설헌의 시풍을 고찰하였다. 생애와 작품, 기존의 평을 정리하는 것에 그친 근대 초기의 연구를 뛰어넘어 허난설헌을 시인으로 재조명하고 문학사적 위치를 자리매김한 것이다. 『옥류산장시화』는 ‘서언-본론-결어’라는 근대의 논문형식을 차용하였으나 전통적인 시화의 형식을 따르는 저작이고, 『조선문학사』는 연민의 만년에 저술된 문학사 연구가 집대성된 학술서이다. 『옥류산장시화』을 분기점으로 허난설헌의 기존 시화가 다시 정리되었고 『조선문학사』에서 실증적인 평가가 이루어졌다. 연민에 이르러 허난설헌이 재발굴되어 조선을 대표하는 시인으로서 문학적 위상이 재정립된 것이다.

This paper examines Sir Yeonmin Lee Ga-won’s acceptance of poetry related to Heo Nanseolheon, who was cited in Okryusanjangsihwa(玉溜山莊詩話) and The History of Joseon Literature(朝鮮文學史), authored by Yeonmin, and looks at opinions regarding her literary and historical status. The content of Okryusanjangsihwa is consistent with that of a traditional poetry collection. However, its format of “preface-main body-conclusion” is known as the modern thesis form. On average, each literary person covers about 5 rules, whereas in the case of Heo Nanseolheon, 25 rules are included. This part gives us a glimpse at Yeonmin’s interest in Heo Nanseolheon, and this can be seen as a distinct aspect considering that not much significance was given to female poets in the preexisting poetic history. “The History of Joseon Literature” is a scholarly book in which the literary and historical research published by Yeonmin in his later years is compiled. It contains poems related to Heo Nanseolheon, which are included in the Okryusanjangsihwa, and a more direct assessment of the same is included. The poems related to Heo Nanseolheon quoted in Okryusanjangsihwa were all reviewed by Yeonmin with an empirical attitude, and he withheld or excluded judgments about them from the poetry in cases where there was no clear evidence. This empirical attitude was also seen in The History of Joseon Literature. Yeonmin reviewed Heo Nanseolheon’s poems as “Danpung’” (morale) by including his judgments in his previous work Okryusanjangsihwa, followed up by The History of Joseon Literature, and positioned her as an outstanding poet of Joseon, regardless of her gender. Modern evaluations of Heo Nanseolheon have the limitations of being restricted to her life and works and organizing the preexisting reviews. However, as a fundamental source of data, Yeonmin organized the poetry regarding Heo Nanseolheon and reestablished that she was a prominent poet of Joseon with important literary and historical status, regardless of her gender.

연민, 이가원, 난설헌, 허초희, 옥류산장시화, 조선문학사
Yeonmin, Lee Ga-won, Heo Nanseolheon, Heo Cho-hee, Okryusanjangsihwa, The History of Joseon Literature

  • 1. [기타] 남용익 / 호곡만필(壺谷漫筆) / 한국고전종합DB
  • 2. [기타] 박지원 / 열하일기(熱河日記) / 한국고전종합DB
  • 3. [기타] 신위 / 경수당전고(警修堂全藁) / 한국고전종합DB
  • 4. [기타] 유성룡 / 서애집(西厓集) / 한국고전종합DB
  • 5. [단행본] 劉暢 / 2012 / 韓國詩話人物批評集 / 보고사 : 418
  • 6. [단행본] 이가원 / 1972 / 옥류산장시화 / 을유문화사
  • 7. [단행본] 이가원 / 1995 / 조선문학사 / 태학사 : 695 ~
  • 8. [단행본] 이가원 / 1980 / 玉溜山莊詩話 / 연세대출판부
  • 9. [기타] 이덕무 / 청장관전서(靑莊館全書) / 한국고전종합DB
  • 10. [기타] 이수광 / 지봉유설(芝峯類說) / 한국고전종합DB
  • 11. [기타] 허균 / 학산초담(鶴山樵談) / 한국고전종합DB
  • 12. [단행본] 김명희 / 1987 / 허난설헌의 문학 / 집문당
  • 13. [단행본] 김성남 / 2012 / 허난설헌 시 연구 / 소명출판 : 33 ~
  • 14. [단행본] 김용숙 / 1990 / 조선조 여류문학의 연구 / 해진서관
  • 15. [단행본] 문경현 / 1976 / 허난설헌 연구(도남 도윤제박사 고희기념논총) / 형성출판사
  • 16. [단행본] 안대회 / 2012 / 조선후기 시화사 / 소명출판 : 161 ~
  • 17. [단행본] 이상보 / 1974 / 한국가사문학의 연구 / 형설출판사
  • 18. [단행본] 이숙희 / 1987 / 허난설헌 연구 / 새문사
  • 19. [단행본] 허미자 / 1984 / 허난설헌 연구 / 성신여대 출판부
  • 20. [단행본] 허미자 / 1996 / 한국여성문학 연구 / 태학사
  • 21. [단행본] 허미자 / 2007 / 허난설헌 / 성신여자대학교출판부 : 198 ~
  • 22. [학술지] 구지현 / 2007 / “玉溜山莊詩話”의 특성에 대하여 / 열상고전연구 (26) : 187 ~ 26 kci
  • 23. [학술지] 강명혜 / 2015 / 허난설헌 작품의 미학적 특성 / 온지논총 (43) : 33 ~ 43 kci
  • 24. [학위논문] 김인정 / 2003 / 허난설헌의 한시 연구 : 위작시비 및 작품 재해석에 주안하여
  • 25. [학술지] 김지용 / 1969 / 한국 고대 여성문학사 연구 / 세종대학 논문집 / 4
  • 26. [기타] 김춘동 / 1956 / 한국여류시인소고-특히 난설헌 허씨를 중심으로 / 고대신보, 고려대학교출판부
  • 27. [학위논문] 박순 / 2012 / 옥류산장시화 연구
  • 28. [학술지] 박순 / 2013 / 연민선생(淵民先生)의 『옥류산장시화(玉溜山莊詩話)』 / 연민학지 / 19
  • 29. [학술지] 박종화 / 1952 / 여류시인 난설헌고(一)-그의 가정과 환경에 대하여 / 성균 / 3 : 17 ~
  • 30. [학술지] 박현규 / 2016 / 1597년 許筠 선록본 허난설헌 <<蘭雪詩翰>> 고찰 / 한문학논집(漢文學論集) / 43 : 223 ~ kci
  • 31. [학술지] LIU JING / 2012 / 朝鮮女性詩學理論的重要載體 -明淸文人所編朝鮮女性漢詩文獻簡論- / 동아인문학 (22) : 237 ~ 22 kci
  • 32. [학술지] 윤호진 / 2018 / 『옥류산장시화(玉溜山莊詩話)』에 나타난 연민의 허균(許筠)과 그의 비평에 대한 인식 / 연민학지 / 29
  • 33. [학술지] 윤호진 / 2018 / 『옥류산장시화(玉溜山莊詩話)』 속에 나타난 서포 김만중과 그의 시화에 대한 연민 이가원의 인식과 수용 / 연민학지 / 30
  • 34. [학술지] 이가원 / 1969 / 시화(詩話)에 대하여-특히 『옥류산장시화(玉溜山莊詩話)』를 엮으면서 / 국어국문학 / 46 : 89 ~
  • 35. [학위논문] 李淑姬 / 1987 / 許蘭雪軒의 詩硏究
  • 36. [학술지] 이정화 / 2013 / 許蘭雪軒 詩의 意識 性向과 美的 特質 硏究 / 한국사상과 문화 (70) : 143 ~ 70 kci
  • 37. [단행본] 장진엽 / 2012 / 중국문화대학한국어문학계한국학연구논문집 / 문화대학화강출판부
  • 38. [단행본] 허경진 / 2015 / 동아시아 문화 교류와 이동의 기록 / 보고사
  • 39. [학위논문] 정승호 / 2017 / 허난설헌과 오효원의 한시 비교 연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