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KCI 등재

道家美学思想在中国古代陶瓷作品中的体现研究

The Study on the Embodiment of Taoist Aesthetics Thoughts in the Works of Chinese Ancient Ceramics

한국도자학연구
약어 : 한국도자학연구
2015 vol.12, no.1, pp.85 - 112
DOI : 10.22991/ksca.2015.12.1.85
발행기관 : 한국도자학회
연구분야 : 미술
Copyright © 한국도자학회
13 회 열람

本文以中国古代陶瓷作品为研究对象,以中国传统美学思想中的道家美学思想为研究视 角。通过对道家美学思想的概述,以及结合道家经典美学思想对与其相契合的中国古代陶瓷作 品的具体分析。为中国古代陶瓷作品的审美研究提供进一步的理论参考。所举实例均为中国古 代陶瓷中具有代表性的精品。以传统道家思想为哲学基础的道家美学思想与中国古代陶瓷均起 源于中国,且都是中国传统文化具有代表性的重要组成部分。 两者共同交织于中国源远流长的传统文化之中。对于中国古代陶瓷中所表现的道家思想和 审美性主要从以下两方面进行研究: 第一,对道家美学思想的哲学理论之研究; 第二,对中国古代陶瓷作品的造型、色彩、装饰、材料、工艺等方面表现出的道家美学思 想之研究。 中国古代陶瓷中所表现出的道家美学思想主要有以下四个方面: 第一,中国古代陶瓷中所表现出的“道法自然”的道家美学思想; 第二,中国古代陶瓷中所表现出的“天人合一”的道家美学思想; 第三,中国古代陶瓷中所表现出的“少则得,多则惑”的道家美学思想; 第四,中国古代陶瓷中所表现出的“朴素而天下莫能与之争美”的道家美学思想。

본고(本稿)는 중국 고대 도자기 작품들을 연구 대상으로 중국 전통 미학 사상 중의 하나인 도가(道家) 미학 사상을 연구의 시각으로 논하고 있다. 도가 미학 사상을 개술(槪述)하고 도가 고전 미학을 잘 나타내는 중국 고대 도자기 작품의 구체적인 분석을 통해 중국 고대 도자기 작품에 나타난 도가사상 및 심미성(審美)을 탐구 하고자 한다. 본 논문에세 나타난 모든 실례는 모두 중국 고대 도자기 중에 제일 대표적인 정품이다. 도가의 전통적인 철학 사상을 바탕으로 삼고 있는 도가미학 사상은 중국 고대 도자기와 같이 중국에서 기원될 뿐만 아니라 중국 전통 문화 중 대표적인존재이기도 한다. 역사가 유구한 중국 전통 문화에서 서로 섞이며 흘러가고 있기 때문에 중국고대 도자기에 나타난 도가사상 및 심미성은 다음과 같은 측면에서 탐구되어야 한다. 첫째, 도가사상의 철학적 이론이 되어야 한다. 둘째, 중국 고대 도자기 작품의 조형(造型), 색채(色彩), 장식(裝飾), 재료(材料), 공예(工藝) 등의 분야에도가미학 사상 및 미적(美的) 표현에 대한 이론적 고찰이 있어야 한다. 본 연구에서는 중국고대 도자기에 나타난 도가사상의 미적표현은 다음과 같은 네 가지 측면으로 제시하였다. 첫째, 중국고대 도자기에 나타난 도가사상의 “도법자연”의 미적표현이다. 둘째, 중국고대 도자기에 나타난 도가사상의 “천인합일”의 미적표현이다. 셋째, 중국고대 도자기에 나타난 도가사상의 “적으면 도리어 많이 얻을 수 있고, 많으면 도리어 미혹된다”의 미적표현이다. 넷째, 중국고대 도자기에 나타난 도가사상의 “세상에서 단순함에 비할 것은 없다”의 미적표현이다.

Taoist Aesthetics Thoughts, Chinese Ancient Ceramics, Tao Models itself after Nature, Man is an Integral Part of Nature.

  • 1. [단행본] 朱立元 / 2010 / 美学大辞典 / 上海辞书出版社
  • 2. [단행본] 李泽厚 / 1984 / 美的历程 / 中国社会科学出版社 : 65 ~
  • 3. [학술지] 李光 / 2011 / 自然朴素之美——论道家美学思想与当代酒店室内设计 / 室内设计 : 48
  • 4. [학술지] 蒋桂磊 / 2009 / 王志银.道家思想之精髓及其对现代社会的启示 / 科技信息 : 123
  • 5. [학술지] 王远 / 2009 / 道家美学思想对现代艺术设计的启示 / 文教资料 : 111
  • 6. [학술지] 王学磊 / 2009 / 浅析道家美学思想对现代设计的启示 / 艺术与设计·理论 : 22
  • 7. [학술지] 程俊 / 1999 / “朴素淡然”——中华美学命题诠释之四 / 浙江海洋学院学报(人文科学版) : 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