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문헌 검색을 통해 찾아낸 논문은 비판적으로 평 가해야 한다. 학계에서 인정 받는 공신력 있는 잡 지에 실린 논문이라고 해서 반드시 모두 옳은 것만 은 아니다. 심지어는 의학 연구 논문의 99%에 오 류가 개입되어 있다는 주장도 있었다.1 하지만 의학 논문의 99%에 오류가 있다고 하여 단지 남은 1% 에서만 근거를 얻을 수는 없을 것이다. 오히려 비 판적 평가는 연구 결과물들이 임상적 의사 결정 과 정에서 이용하기에 적당한 정도로 오류가 적은가, 또는 확실하진 않지만 타당한가라는 질문에 대한 답을 얻는 과정이다. 우리가 환자를 진료하며 내리 게 되는 결정 과정에는 많은 요소가 관여하며, 연 구 증거물들은 이중 하나에 불과한 것이다2. 비판적 평가를 하기에 앞서 중요하게 생각해야 할 점은, 검색해낸 임상 연구의 종류를 먼저 파악 해야 한다는 점이다. 이는 두 가지 이유 때문에 중 요한데, 첫째는 임상 연구는 그 종류에 따라 각각 다른 근거 수준 (evidence level)을 갖게 되기 때문 이다. 근거 수준이란 논문의 신뢰도를 의미하는 것 으로, 연구자나 환자의 편향된 선입견에 따라 잘못 된 결론을 유도할 가능성이 낮아질수록 근거 수준 은 더 높아지게 된다3. 둘째로는 비판적 평가의 방 법은 개별 연구의 종류에 따라 다르게 적용하게 되 기 때문이다. 임상적 문제는 치료, 진단, 예후, 원인 등 네 가지 종류로 나눌 수 있는데, 각 문제에 따라 적용 가능한 임상 연구의 종류가 정해지며 (표1) 이에 따라 비판적 평가를 각각 시행하게 된다. 따라서 제2부에서는 임상 연구의 종류와 특성 및 이에 따른 근거의 수준을 먼저 간략히 설명한 후에, 비판적 평가의 전반적인 과정과 각 연구 논문의 종 류에 따른 개별적 평가 사항에 대해 설명할 것이다. 또한 임상 치과의사가 가장 많이 접할 치료 연구와 예후 연구에 대한 비판적 평가의 예를 제시하고자 한다. 비판적 평가에 대해 좀 더 자세한 정보를 원 한다면 JAMA에 연재되었던 User’s Guides to the Medical Literature 시리즈를 참고하는 것이 좋다.4 또한 임상에서 적용하기 편한 쉬운 형태의 비판적 평가에 대한 자료를 원한다면 캐나다 Toronto 대학 에서 운영하는 Centre for Evidence-Based Medicine 홈페이지5를 참고하는 것이 도움이 될 것 이다.

키워드

Dentistry, Evidence-Based Medicine, Epidemiologic Studies

참고문헌(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