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KCI 등재

스프레드쉬트(Spreadsheet) 방법을 활용한 사례관리의 적정 사례량 추정 연구

Estimating the appropriate caseloads of case management for the poor family.

한국사회복지행정학
약어 : -
2012 vol.14, no.2, pp.83 - 109
DOI : 10.22944/kswa.2012.14.2.004
발행기관 : 한국사회복지행정학회
연구분야 : 사회복지학
Copyright © 한국사회복지행정학회
인용한 논문 수 :   -  
3 회 열람

이 연구는 현장에서 수행되는 사례관리 실천을 분석하여, 적정 사례량을 추정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분석 자료는 민간 및 공공영역의 총 10명의 사례관리자가 약 2달에 걸쳐 작성한 일일활동기록지와 사례관리자의 정보에 대한 설문조사를 기반으로 구성되었다. 스프레드쉬트 방법(spreadsheet method)을 활용하여 적정 사례량이 추정되었다. 연구결과, 사례관리자 1인당 한 달 동안 담당 가능한 사례량은 약 20가구에서 25가구로 도출되었다. 사례관리자의 업무 중 사례관리가 차지하는 비율은 평균 70% 수준이었으며, 사례관리 과정 중 평가, 종결, 사후관리 과정이 다른 과정에 비해 상당히 저조한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 결과와 한계점을 바탕으로 후속 연구를 제안하였다.

The aim of this study is to estimate the appropriate caseloads of case management for the poor family. This study developed the daily activity time log and followed the daily case management activities for 2 months. A survey was also used to gather the socio-demographics of case managers. The appropriate caseloads were calculated employing the spreadsheet method. The study found that the appropriate caseload size was from 20 to 25cases per month per a case manager, depending on the percentage of daily working hours for case management. The relatively less-frequent activities were the evaluation, discharge, and follow-up processes. Several suggestions were discussed based on the results.

사례관리, 적정 사례량, 스프레드쉬트
case management, caseload, spreadsheet

  • 1. [단행본] 권진숙 / 2012 / 사례관리론 / 학지사
  • 2. [보고서] 김미현 / 2010 / 사례관리 서비스표준화 및 원가측정방안 연구
  • 3. [단행본] 김영종 / 2010 / 사회복지행정 / 학지사
  • 4. [단행본] 김종범 / 1998 / 결손가정 아동을 위한 종합사회복지관에서의 사례관리, In 사회복지실천 사례관리 / 지샘 : 174 ~
  • 5. [학술지] 김찬우 / 2004 / 지역거주 만성질환 노인들의 장기요양 위험수준에 따른 케어 매니지먼트 효과 연구 / 사회복지연구 / 23 (23) : 5 ~ 23 kci
  • 6. [보고서] 노혜련 / 2008 / 우리아이 희망네트웤 지원사업 평가와 운영모델 개발 연구
  • 7. [학술지] 민소영 / 2009 / 사례관리 수행요소와 지역거주 정신장애인의 소비자 만족도 및 삶의 질 사이의 경로 탐색 / 한국사회복지학 / 61 (3) : 103 ~ 3 kci
  • 8. [학술대회] 민소영 / 2010 / 사례관리실천 경험을 통한 민관협력방안 모색 토론 / 경기도 무한돌봄센터 개소기념 심포지엄 토론문
  • 9. [보고서] 박경숙 / 2012 / 공공사회복지 전달체계 개편방안
  • 10. [학술지] 박미은 / 1999 / 정신질환자를 위한 사례관리에서 자원활용에 관한 연구 / 정신보건과 사회사업 / 8 : 79 ~
  • 11. [학위논문] 박정임 / 2002 / 정신장애인을 위한 강점관점 사례관리모델의 효과성에 관한 연구
  • 12. [기타] 보건복지부 / 2011 / 위기가구 사례관리 업무 매뉴얼 / 보건복지부, 한국보건복지인력개발원
  • 13. [기타] 보건복지부 / 2012 / 희망복지지원단 업무 매뉴얼 / 보건복지부
  • 14. [단행본] 사랑의 열매 / 2010 / 시소와그네 영유아통합지원사업 성과보고대회 자료집: 영유아복지, 그 희망을 말하다 / 사랑의 열매
  • 15. [학술지] 엄명용 / 1999 / 탈북자의 사회적응 지원을 위한 종합형 사례관리 모형의 제시와 그 실천 / 한국사회복지학 / 27 : 271 ~
  • 16. [학술지] 엄명용 / 2001 / 가정폭력 피해가정 대상의 사례관리제도 구축을 위한 정책방안 / 사회복지정책 / 12 : 10 ~
  • 17. [학술지] 우국희 / 2007 / 지역사회복지관에서의 사례관리에 대한 사회복지사들의 주관적 경험과 인식 / 사회복지정책 (30) : 287 ~ 30 kci
  • 18. [학술지] 이강 / 2001 / 정신장애인 사회복귀를 위한 사례관리 효과성에 관한 연구-지역사회 기반의 적극적인 사례관리 모델 / 사회복지전문연구지(동광) / 98 : 62 ~
  • 19. [학술지] 이영호 / 1997 / 정신질환자를 위한 낮병원에서 사례관리적용에 관한 연구 / 정신보건과 사회사업 / 4 : 49 ~
  • 20. [학술지] 이정숙 / 2002 / 만성정신질환자의 재활을 위한 사례관리의 효과 / 정신간호학회지 / 11 : 206 ~
  • 21. [학위논문] 전혜성 / 1998 / 성인초기 정신장애인의 사례관리 적용에 따른 효과성 연구
  • 22. [학위논문] 정미숙 / 1999 / 만성 정신질환자의 사회복귀를 위한 사례관리에서 임파워먼트의 적용
  • 23. [학술지] 정순둘 / 2002 / 사례관리 실천과 평가 / 기독교 사회복지 / 11 : 119 ~
  • 24. [학술지] 정순둘 / 2003 / 재가 노인을 위한 사례관리 서비스의 효과성 연구:팀접근 모델을 중심으로 / 한국사회복지학 / 54 : 273 ~ kci
  • 25. [학술지] 홍선미 / 2004 / 자활사업에서의 사례관리 적용에 관한 탐색적 연구 / 한국사회복지학 / 56 (2) : 311 ~ 2 kci
  • 26. [학술지] 홍선미 / 2006 / 자활지원 사례관리 모형과 운영방안 연구 / 사회복지연구 / 29 (29) : 133 ~ 29 kci
  • 27. [학술지] 홍선미 / 2010 / 위기가구지원을 위한 지역사례관리체계 구축방안 - 경기도의 통합사례관리모형을 중심으로 - / 한국사회복지행정학 / 12 (1) : 337 ~ 1 kci
  • 28. [학술지] Baillon, S. / 2009 / The development of a scale to aid caseload weighting in a community mental health team for older people / Journal of Mental Health / 18 (3) : 253 ~ 3
  • 29. [학술지] Baker, J. G. / 1997 / A Spreadsheet Method for Calculating Maximum Caseload and Intake Capacity for CMHC Psychiatrists / Psychiatric services / 48 (12) : 1578 ~ 12
  • 30. [단행본] Baker, F. / 1992 / Case management, In Handbook of Psychiatric Rehabilitation / Macmillan
  • 31. [학술지] Baldwin, M. / 2006 / The Warrington workload tool: determining its use in one trust / British Journal of Community Nursing / 11 (9) : 391 ~ 9
  • 32. [학술지] Brady, A. M. / 2007 / Measuring the workload of community nurses in Ireland: a review of workload measurement systems / Journal of Nursing Management / 15 (5) : 481 ~ 5
  • 33. [학술지] Diem, E. / 2001 / Looking beyond caseload numbers for long-term home-care case managers / Care Management Journals / 3 (1) : 2 ~ 1
  • 34. [학술지] Forchuk, C. / 1996 / Workload Measurement and Psychiatric Mental Health Nursing: Mathematical and Philosophical Difficulties / Canadian Journal of Nursing Administration / 9 (3) : 67 ~ 3
  • 35. [학술지] Horsier, J. / 2010 / How are caseloads managed elsewhere? / Community Care (1838) : 28 ~ 1838
  • 36. [학술지] Intagliata, J. / 1982 / Improving the quality of community care for the chronically mentally disabled: The role of case management / Schizophrenia Bulletin / 8 (4) : 655 ~ 4
  • 37. [학술지] King, R. / 2000 / The Impact of Caseload on the Personal Efficacy of Mental Health Case Managers / Psychiatric services / 51 (3) : 364 ~ 3
  • 38. [학술지] King, R. / 2004 / Compiling a caseload index for mental health case management / Australian and New Zealand Journal of Psychiatry / 38 (6) : 455 ~ 6
  • 39. [학술지] Liu, C. / 2007 / Time allocation and caseload capacity in telephone depression care management / The American Journal of Managed Care / 13 (2) : 652 ~ 2
  • 40. [학술지] Massie, C. Z. / 1996 / A Method to Determine Case Manager Caseloads in Long-Term Care / Journal Of Case Management / 5 (1) : 25 ~ 1
  • 41. [학술지] Meldrum, L. / 2000 / The measurement of a case manager's workload burden / Australian and New Zealand Journal of Psychiatry / 34 (4) : 658 ~ 4
  • 42. [단행본] Onyett, S. / 1992 / Case Management in Mental Health / Chapman & Hall
  • 43. [학술지] Smith, R. / 2010 / Stress and fatifue take toll on health / Community Care / 1834 : 4
  • 44. [학술대회] Solomon, L. P. / 2004 / Case management for Adults with severe mental illness: Implications for elder care / 경성대학교 사회복지학과 20주년 초청강연 발표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