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1980년대 초 문단에 광범위하게 확산된 소설침체론은 비평이 요구했던 1980년대 소설의 책무, 즉 5․18을 리얼리즘적으로 재현함으로써 역사와 사회 현실에 개입하는 일을 소설이 제대로 수행하지 못하고 있다는 점을 겨냥한 것이었다. 그러나 그 요구대로 소설이 5․18을 재현함으로써 증언하는 일은 불가능에 가까웠으며, 그것은 문학에 앞서 현실/또는 문학이 재현할 실재를 전제하는, 그리고 문학을 바로 그러한 것들의 재현물로 간주하는 재현적 문학 체제 하에서 필연적으로 벌어질 수밖에 없는 문제였다. 요컨대 소설침체론은 5․18과 같이 그 실재가 불안정한 특수한 문제 앞에서 리얼리즘적 재현의 한계가 드러난 일종의 징후적인 현상이었다. 임철우의 소설에서는 이러한 증언-재현 불능의 사태가 살아남은 자들의 침묵과 그것을 둘러싼 죄의식으로 나타난다. 동시에 그 침묵과 죄의식은 증언-재현불능 사태에 개입하기 위한 소설 형식과 미학―리얼리즘적 재현을 넘어서는 문학의 증언 방식― 을 창조하기 위한 몸부림이기도 하다. 최윤의 「저기 소리없이 한 점 꽃잎이 지고」는 어떤 대상을 지시․재현하는 언어가 오히려 그 대상의 실재를 재현하는 동시에 파괴하게 되리라는 언어의 부정성에 대한 사유에 기반하고 있다. 그리하여 소설은 감각의 잔여물로 남아있는 소녀의 기억을 리얼리즘적으로 재현하는 대신 그것이 언어를 매개로 감각과 의미 사이를 교차하며 환원․재환원/산화되는 찰나를 포착하려 한다. 이를 통해 소설은 역사로서의 5․18의 의미를 초과하지 않으면서 개인의 감각과 기억으로서의 5․18을 유실하지 않는 증언 방식을 창출한다. 아울러 이와 같은 증언은 이 소설의 특징이기도 한 다층적인 서술자들 사이의 증언의 연쇄를 통해, 그리고 소설의 서두에서 독자들을 ‘당신’으로 호명하는 목소리를 통해 소설이 수행하는, 그리고 작품을 통해 독자들이 수행하게 되는 추모의 정치를 작동시킨다. 최윤의 소설은 증언의 역량과 몫을 소녀를 비롯한 소설 속 서술자들과 독자들에게 배분함으로써 그 증언에 대한 책임과 의무를 복수적으로 수행할 수 있는 토대를 마련하고 있다. 요컨대 문학이 5․18을 ‘증언’한다는 것은 그것을 사실적(리얼리즘적)으로 재현하는 문제를 떠나, 살아남은 자들에게 증언의 능력과 권한을 부여해줄 수 있는 형식과 미학을 창조하는 일인 것이다.

키워드

5․18, 죄의식, 증언, 추모, 재현, 리얼리즘 문학, 소설침체론

참고문헌(48)open

  1. [학술지] 임철우 / 1984 / 봄날 / 실천문학

  2. [단행본] 임철우 / 1984 / 14人 新作小說集 / 창작과비평사

  3. [학술지] 임철우 / 1984 / 직선과 독가스 / 세계의 문학 (겨울)

  4. [단행본] 임철우 / 1985 / 그리운 남쪽 / 문학과지성사

  5. [학술지] 최윤 / 1988 / 저기 소리없이 한 점 꽃잎이 지고 / 문학과사회 (여름)

  6. [기타] / 1980 / 光州事態에 대한 戒嚴司발표全文 / 경향신문

  7. [기타] / 1980 / 戒嚴司 발표 「光州事態」 / 동아일보

  8. [기타] / 1980 / 계엄사 발표 「광주사태」 전문 / 조선일보

  9. [학위논문] 권민정 / 2003 / 최윤 소설의 정신분석학적 연구: '부재'에서 길어 올리는 삶, 서사

  10. [단행본] 김민환 / 2003 / 저항, 연대, 기억의 정치 / 문화과학사

  11. [단행본] 김병익 / 1992 / 저기 소리없이 한 점 꽃잎이 지고 / 문학과지성사

  12. [단행본] 김성수 / 1999 / 한국현대 예술사대계Ⅴ / 시공사

  13. [단행본] 김영범 / 1998 / 사회사 연구의 이론과 실제 / 한국정신문화연구원

  14. [학위논문] 김정미 / 2015 / 최윤 초기 단편 소설의 인물 연구

  15. [학술지] 김정한 / 2016 / 5․18학살 이후의 미사(未死) - 아직 죽지 못한 삶들 / 상허학보 47 : 161 ~ 187

  16. [학술지] 김정한 / 2013 / 대담-역사의 비극에 맞서는 문학의 소명 / 실천문학 112 (겨울)

  17. [학술지] 김정환 / 1982 / 문학의 활성화를 위하여 / 실천문학 3

  18. [단행본] 김 헌 / 2007 / 미학대계 제1권-미학의 역 / 서울대 출판부

  19. [학술지] 김형중 / 2000 / 세 겹의 저주-최윤, 「저기 소리없이 한 점 꽃잎이 지고」 다시 읽기 / 문학동네 23 (여름)

  20. [학술지] 김혜경 / 2008 / 최윤 소설의 정신분석학적 고찰 - 중편, 「저기 소리없이 한 점 꽃잎이 지고」를 중심으로 - / 비교한국학 Comparative Korean Studies 16 (1) : 225 ~ 251

  21. [학술지] 백낙청 / 1985 / 민중․민족문학의 새 단계 / 창작과비평 (1)

  22. [학술지] 서영채 / 2014 / 죄의식과 1980년대적 주체의 탄생 -임철우의 『백년여관』을 중심으로 / 인문과학연구 (42) : 39 ~ 68

  23. [학술지] 유홍주 / 2015 / 오월 소설의 트라우마 유형과 문학적 치유 방안 연구 / 현대문학이론연구 (60) : 361 ~ 387

  24. [단행본] 윤후명 / 1981 / 1980年度版 文藝年鑑 / 한국문화예술진흥원

  25. [단행본] 이강은 / 2013 / 5월문학총서 4-평론 / 5․18기념재단

  26. [단행본] 이동하 / 1987 / 문학의 길, 삶의 길 / 문학과지성사

  27. [학술지] 이혜령 / 2003 / 쓰여진 혹은 유예된 광기 / 작가세계 15 (1)

  28. [학술지] 임철우 / 1990 / 펜 끝에 맨 나의 혼 <나의 습작시대>-눈치껏 비밀노트를 채우던 군대시절 / 文學思想

  29. [학술지] 임철우 / 2000 / 나의 문학적 고뇌와 광주 / 역사비평 51

  30. [학술지] 임철우 / 1998 / 대담-역사적 악몽과 인간의 신화 / 문학과사회 7 (2)

  31. [학술지] 장혜련 / 2008 / ‘삭제된 말’의 복원을 위한 여정 ―최윤의 「저기 소리없이 한점 꽃잎이 지고」를 중심으로 / 현대문학이론연구 (34) : 259 ~ 276

  32. [학술지] 최원식 / 1988 / 광주항쟁의 소설화 / 창작과비평 16 (2)

  33. [학술지] 최윤 / 1997 / 대담:굳은살 빼기로서의 소설 / 문학과사회 10 (4)

  34. [단행본] 최정운 / 2007 / 5․18민중항쟁과 정치․역사․사회 / 5․18기념재단

  35. [학술지] 황석영 / 1988 / 항쟁 이후의 문학 / 창작과비평 16 (4)

  36. [기타] 황석영 / 2010 / “나의 문학 인생을 뿌리째 흔들려 하는가”-[기고] 『신동아』의혹 제기에 답한 다 / 프레시안

  37. [학술지] Carter-White, Richard / 2009 / Auschwitz, ethics, and testimony : exposure to the disaster / Environment and Planning D: Society and Spae 27

  38. [단행본] 나간채 / 2004 / 기억 투쟁과 문화운동의 전개 / 역사비평사

  39. [단행본] 아리스토텔레스 / 2002 / 시학 / 문예출판사

  40. [단행본] 염무웅 / 1984 / 14人 創作小說集-지 알고 내 알고 하늘이 알건만 / 창작과비평사

  41. [단행본] 자크 데리다 / 2013 / 문학의 행위 / 문학과지성사

  42. [단행본] 자크 랑시에르 / 2008 / 미학 안의 불편함 / 인간사랑

  43. [단행본] 장 프랑수아 리오타르 / 2015 / 쟁론 / 경성대학교 출판부

  44. [단행본] 전남사회운동협의회 / 1985 / 죽음을 넘어 시대의 어둠을 넘어 / 풀빛

  45. [단행본] 주디스 버틀러 / 2016 / 박탈-정치적인 것에 있어서의 수행성에 관한 대화 / 자음과모음

  46. [단행본] 한승원 / 1987 / 5월광주항쟁소설집-일어서는 땅 / 인동

  47. [단행본] Blanchot, Maurice / 1995 / The Work of Fire / Stanford University Press

  48. [단행본] Langer, Lawrence L / 1991 / Holocaust Testimonies-The Ruins of Memory / Yale University Pres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