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증상으로서의 내재율』의 저자는 근대, 국가, 제도와 같은 역사 철학계에서 거대 담론 차원에서 접근하는 개념사 연구와 달리, 한국의 근대자유시의 한 특성과 연관된 내재율이라는 작은 개념을 계보학적으로 탐색함으로써, 한국의 근현대 시가 형성되던 과정의 특수한 한 계기를 여실하게 보여준다. 서구/동양, 보편/특수, 선발/후발이라는 이분 구도 속에서 내재율이라는 개념의 형성 과정을 설명하는 접근법은 서구문화를 받아들이는 동양문화의 특성을 설명할 수 있는 일반적 방법론일 뿐만 아니라 근대 학문 연구의 보편적인 방법론이기도 하며, 한국의 근현대 자유시 형성 과정의 특이성을 설명할 수 있는 유효한 방법이기도 하다. 이러한 방법을 통해 저자는 식민지시대부터 해방 이후 남북한에서까지 내재율이라는 개념이 사용된 맥락을 섬세하게 짚어내고 있다. 서구 상징주의 시에 버금가는 내용의 리듬이 이미 있었다는 전도된 방식으로 또 다른 기원을 만들어낸 일본과 달리, 조선은 일본에서 만든 내재율이라는 애매한 개념을 부여잡고 있는 형국이었다. 보편과 중심을 꿈꾸며 새로운 것을 만들고자 하였으나 생성하지는 못한 채 남의 것을 애매하게 붙들고 있는 형국. 서구 보편에는 있으나 우리에게는 없다는 결핍, 결핍을 감추며 새로운 것을 창작하려 했으나 그럴수록 모방의 흔적만 더 강해지는 역설적 상황. 이 모든 상황이 내재율이라는 단어에 침전되어 있다는 것이 저자의 진단이다.

키워드

내재율, 자유시, 개념사, 계보학적 탐색

참고문헌(12)open

  1. [학술지] 권유성 / 2013 / 1920년대 내재율 개념의 수용과 정착 과정 연구 / 어문학 (120) : 341 ~ 362

  2. [학위논문] 박슬기 / 2011 / 한국 근대시의 형성과 율의 이념

  3. [학술지] 오문석 / 2011 / 근대 초기 시론의 탈근대적 성격 ― 김억을 중심으로 / 비평문학 (42) : 269 ~ 296

  4. [학위논문] 장철환 / 2010 / 김소월 시의 리듬 연구 : 『진달래꽃』을 중심으로

  5. [학술지] 장세진 / 2014 / 개념사 연구는 무엇을 욕망하는가 — 한국 근대문학 / 문화 연구에의 실천적 개입 양상을 중심으로 — / 개념과 소통 (13) : 5 ~ 33

  6. [학술지] 조재룡 / 2013 / 리듬과 의미 — 프랑스어 리듬의 전제 조건에 비추어본 한국어 리듬의 문제들 / 한국시학연구 (36) : 97 ~ 142

  7. [단행본] 주요한 / 1982 / 주요한 문집 새벽 1 / 요한기념사업회

  8. [학술지] 하정일 / 2010 / 탈근대주의와 과잉 식민성 혹은 신실증주의 / 황해문화 (가을)

  9. [학위논문] 黃貞産 / 1998 / 한국 현대시의 운율론적 연구 : 모더니즘 시를 중심으로

  10. [단행본] 나인호 / 2011 / 개념사란 무엇인가-역사와 언어의 새로운 만남 / 역사비평사

  11. [단행본] 신지연 / 2014 / 증상으로서의 내재율 / 소명출판

  12. [단행본] 우치다 타츠루 / 2009 / 일본변경론 / 갈라파고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