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이 논문은 1945년 8월 제국주의 질서의 붕괴와 함께 시작된 조선인의 귀환 및 귀환자 정체성에 대한 분석을 통해 국가의 작동과 인민의 길항 관계가 갖는 의미를 고찰한다. 귀환 현상과 귀환자 정체성은 무엇보다도 현대 한국 국가 형성사에 드리워져 있는 억압성과 그 구성원의 정치적 주체화라는, 보다 통시적이고 심층적인 문제를 제기한다. 귀환자는 에스닉 접촉지대에서 발생하는 위험에서 벗어나고자 했다. 정치적 관계의 재배치가 일어나고 있는 후식민의 에스닉 혼종지대는 잠재적 공격자들이 함께 동거하는 공간이자, 증식하는 불안과 적대를 자본으로 하는 일련의 폭력적 사태들이 발생하는 공간이기도 했다. 당시 에스닉 정체성은 ‘투명해질’ 필요가 있었는데 이것은 우선 무엇보다도 통치의 측면에서, 경제적 이유로, 법적으로 확정될 것을 요구받고 있었다. 그러나 귀환자들의 실제적인 삶의 위험은 법망을 넘어 육박해 들어오는 것이었다. 김만선과 염상섭은 영토 외부의 혼종 지대를 가로지르는 적대적인 에스닉 경계들, 이주 집단의 정체성 문제를 둘러싼 압박을 생생하게 포착하고 있다. 귀환을 통해 이러한 위험을 해소하고자 한 귀환자들은 고국으로 돌아온 후 대부분 난민이 되었다. 민족주의적 기대나 상상 역시 분단된 땅에서 내파되었다. 이들이 자신들의 땅에서 새롭게 당면하게 된 삶의 문제는 온전히 배려되지 못했고 또 오랫동안 방치되었다. 정치적 마찰열로 뜨거운, 불편하고 불안한 통로를 지나온 많은 귀환자들에게 최종적으로 주어진 장소는 ‘거리’였다. 거리는 주변화된 귀환자 집단이 생존하는 공간이기도 했고 동시에 극한 상황에 몰린 이들이 정치화되는 공간이기도 했다. ‘자기의 국가를 소유한 국민’이라는 상(像) 혹은 ‘자기의 국가에 소속된 국민’이라는 상(像)을 향한 막연하지만 열렬했던 환상과 기대가 모두 붕괴되는 지점에서, 아무것도 약속받지 못한 난민인 인민의 자명한 비참과 잠재된 역능이 드러난다. 특히 안회남은 거리의 귀환자 형상을 통해 난민이 처한 삶의 불/가능성을 동시에 보여주고 있다.

키워드

해방기, 귀환, 귀환자, 전재민, 국가, 국민, 인민, 난민, 국적, 멀티-에스닉 혼종지대, 소속할 권리, 거리, 정치화, 김만선, 염상섭, 안회남

참고문헌(70)open

  1. [기타] / 강원일보

  2. [기타] / 경향신문

  3. [기타] / 국제일보

  4. [기타] / 대동신문

  5. [기타] / 대중신문

  6. [기타] / 대중일보

  7. [기타] / 동아일보

  8. [기타] / 민보

  9. [기타] / 서울신문

  10. [기타] / 시정월보

  11. [기타] / 우리신문

  12. [기타] / 자유신문

  13. [기타] / 조선일보

  14. [기타] / 조선중앙일보

  15. [기타] / 중외신보

  16. [기타] / 한성일보

  17. [기타] / 현대일보

  18. [단행본] / 1984 / 남조선과도입법의원속기록 / 여강출판사

  19. [단행본] / 1948 / 조선연감 / 조선통신사

  20. [단행본] / 1984 / 해방전후회고(광주부) / 돌베개

  21. [단행본] / 1990 / 해방기 한국 문예자료 총서 / 계명문화사

  22. [단행본] / 2008 / 백민, 신천지, 문학, 조선문학가동맹총서 / 현대문화사

  23. [단행본] 小谷益次郞 / 2001 / 인천철수지 / 황해문화

  24. [단행본] 염상섭 / 1948 / 삼팔선 / 금룡도서주식회사

  25. [단행본] 김만선 / 1948 / 압록강 / 동지사

  26. [학술지] 강인철 / 1998 / 미군정기의 인구이동과 정치변동 / 한신논문집 2 (15)

  27. [단행본] 김광열 / 2006 / 1940년대 일본의 도일 조선인 규제정책. in: 패전 전후 일본의 마이너리티와 냉전 / 제이앤씨

  28. [학술지] 김동춘 / 2006 / 한국의 분단국가 형성과 시민권: 한국전쟁, 초기 안보국가하에서 '국민됨'과 시민권 / 경제와 사회 (70) : 168 ~ 189

  29. [학술지] 김수자 / 2009 / 대한민국 정부수립 전후 국적법 제정 논의 과정에 나타난 ‘국민’ 경계 설정 / 한국근현대사연구 (49) : 114 ~ 144

  30. [학술지] 남찬섭 / 2005 / 미군정기의 사회복지 / 복지동향

  31. [학술지] 박명림 / 1995 / 한국의 국가형성, 1945-48; 시각과 해석 / 한국정치학회보 29 (1)

  32. [학술지] 성경륭 / 2000 / 분단체제와 시민사회 / 아시아문화 (16)

  33. [학술지] 신복룡 / 2009 / 군정기 미국의 대(對)한반도 점령 정책: 1945-1948 / 한국정치외교사논총 30 (2) : 5 ~ 43

  34. [학술지] 신상준 / 주한미군정청의 해외귀환동포 및 월남민에 대한 구호행정 / 복지행정논총 4 : 994

  35. [학술지] 오태영 / 2007 / 민족적 제의로서의 ‘귀환(歸還)’ - 해방기 귀환서사 연구 / 한국문학연구 (32) : 515 ~ 542

  36. [학위논문] 이연식 / 2009 / 해방 후 한반도 거주 일본인 귀환에 관한 연구

  37. [학술지] 이연식 / 2008 / 解放 後 日本人 送還問題를 둘러싼 南韓社會와 美軍政의 葛藤 -舊 朝鮮總督府 高官 ‘來朝說騷動’의 歷史的 背景- / 韓日民族問題硏究 (15) : 5 ~ 47

  38. [학술지] 이용호 / 2007 / 난민의 개념과 그 보호 / 국제법학회논총 52 (2) : 311 ~ 338

  39. [학술지] 이종호 / 2009 / 해방기 이동의 정치학 - 염상섭의 단편소설을 중심으로 - / 한국문학연구 (36) : 327 ~ 363

  40. [학술지] 이주윤 / 2008 / 국제법적 시각에서 본 대한민국의 국적문제 / 법학연구 (29) : 375 ~ 396

  41. [학술지] 이혜원 / 1998 / 한국과 일본의 미군정기 사회복지정책 비교 연구 / 한국사회복지학 36

  42. [학술지] 張福姬 / 2002 / 현대국제법상 난민의 정의와 박해의 의미의 변화 / 국제법학회논총 47 (1) : 9 ~ 182

  43. [단행본] 정근식 / 1998 / ,한국정신문화연구원 현대사연구소 편,󰡔한국현대사의 재인식1:해방정국과 미소군정. in: 한국현대사의 재인식1: 해방정국과 미소군정 / 오름

  44. [학술지] 정인섭 / 1998 / 우리 국적법상 최초 국민 확정기준에 관한 검토 / 국제법학회논총 43 (2)

  45. [학위논문] 정재석 / 2006 / 해방기 귀환 서사 연구

  46. [학술지] 정종현 / 2006 / 해방기 소설에 나타난 ‘귀환’의 민족서사 ― ‘지리적’ 귀환을 중심으로 / 비교문학 (40) : 131 ~ 157

  47. [학술지] 정호기 / 2008 / 국가의 형성과 광장의 정치- 미군정기의 대중동원과 집합행동 / 사회와역사(구 한국사회사학회논문집) (77) : 155 ~ 190

  48. [학술지] 차상철 / 1996 / 냉전 초기(1945~1949) 미국의 중국정책 / 미국사연구 (4)

  49. [학술지] 천정환 / 2009 / 해방기 거리의 정치와 표상의 생산 / 상허학보 26 : 55 ~ 102

  50. [학술지] 최계수 / 2009 / 미귀환 재중한인의 국적귀속문제 / 한국학논총 32 : 463 ~ 489

  51. [단행본] 최장집 / 1985 / 과대성장 국가의 형성과 정치 균열의 구조. in: 한국사회연구 3 / 한길사

  52. [단행본] 최장집 / 1989 / 미군정하 국가 다원주의의 형성과 정치균열의 역사적 기원. in: 한국 현대정치의 구조와 변화 / 까치

  53. [단행본] 허광무 / 2006 / 일본 공적부조체제의 재편과 재일조선인. in: 패전 전후 일본의 마이너리티와 냉전 / 제이엔씨

  54. [학술지] 홍인숙 / 2001 / 제 2차 세계대전 직후 GHQ의 재일조선인 정책 / 한일민족문제연구

  55. [학술지] 황병주 / 2000 / 미군정기 전재민 구호운동과 민족담론 / 역사와현실 35

  56. [단행본] 김석준 / 1996 / 미군정 시대의 국가와 행정 / 이화여자대학교 출판부

  57. [단행본] 박명규 / 2009 / 국민․인민․시민 / 소화

  58. [단행본] 안 진 / 2005 / 미군정과 한국의 민주주의 / 한울

  59. [단행본] 브루스 커밍스 / 1986 / 한국전쟁의 기원 / 일월서각

  60. [단행본] 루이 알튀세 / 1991 / 레닌과 철학 / 백의

  61. [단행본] 알랭 바디우 / 2010 / 민주주의는 죽었는가 / 난장

  62. [단행본] 조르조 아감벤 / 2009 / 목적없는 수단 / 난장

  63. [단행본] 주디스 버틀러 / 2008 / 누가 민족국가를 노래하는가 / 산책자

  64. [단행본] 한나 아렌트 / 2009 / 전체주의의 기원 / 한길사

  65. [단행본] 니시카와 나가오 / 2009 / 신식민지주의론 / 일조각

  66. [단행본] 아사노 도요미 / 2005 / 살아서 돌아오다 / 솔

  67. [단행본] 丸川哲史 / 2005 / 冷戦文化論 / 双風舍

  68. [단행본] 森田芳夫 / 1967 / 朝鮮終戦の記錄 / 巌南堂

  69. [단행본] 市野川容孝 / 2007 / 難民 / 岩波書店

  70. [단행본] Foucault / 2007 / Security, Terriotory, Population: Lectures at the Collège de France 1977~78 / Palgrave Macmilla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