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진주의 기생들은 1913년에 진주예기조합을 설립하였고, 1927년에 진주권 번을 설립되었다. 1939년에는 지역유지에 의해 주식회사 진주권번으로 전환 되었다. 본 논문은 진주권번의 설립, 운영, 교육, 공연, 예인, 종목에 대해 연 구하였고, 진주권번은 진주 공연예술의 전통을 계승하였음을 확인하였다. 진주권번의 의의를 정리한다면 다음과 같다. 첫째, 진주권번은 진주지역 공연예술의 전통을 보존하고 전승시켰다. 국 가무형문화재 제12호 진주검무, 경남 무형문화재 제3호 한량무, 경남 무형 문화재 제12호 진주포구락무, 경남 무형문화재 제21호 진주교방굿거리춤이 전승되었기 때문이다. 둘째, 진주권번은 논개를 기리는 ‘의암별제’를 되살리기 위해 노력했고, 수행했다. 1920년에 진주권번 기생들이 먼저 의기사 중수를 위해 진주지역 에서 발기회를 조직했고, 1927년에 제향을 올리기 시작했다. 의암별제는 진 주 지역민과 진주 기생의 자긍심을 고취시켰다. 셋째, 진주권번은 진주검무라는 소중한 공연예술의 유산을 전승하였다. 진주검무는 의암별제의 의례 과정 중에 헌무(獻舞)로 추어졌기에 진주권번 의 기생들은 반드시 검무를 익히고 춤추었다. 진주검무가 무형문화재로 지 정 당시 기생 출신 예인으로 팔검무가 가능했던 것은 우연이 아니었다. 넷째, 진주권번의 기생들은 1919년 진주의 만세운동에 앞장섰고, 진주의 요리옥이나 진주권번의 불합리한 운영에 대해 문제를 제기하고 동맹파업을 하기도 했다. 진주권번의 기생들은 기생이라는 처지임에도 수동적이기보다 주체적인 면모를 보여주었다는데 의의가 있다. 일제강점기 기생의 지위가 낮았음에도 진주의 공연예술과 문화를 전승한 진주권번의 예인들은 매우 중요한 역할을 했으며, 진주권번이 지킨 문화 유 산들은 우리 전체의 문화 유산이라고 하겠다.

키워드

진주권번, 진주 기생, 진주검무, 의암별제, 최완자, 김수악

참고문헌(24)open

  1. [학술지] 강인숙 / 2000 / 진주 전통춤의 전승 및 발전 방향 / 무용예술학연구 6

  2. [단행본] 김수악 / 2005 / 김수악 / 한국문화예술위원회

  3. [단행본] 김영희 / 2006 / 개화기 대중예술의 꽃, 기생 / 민속원

  4. [학술지] 김정녀 / 1989 / 券番의 춤에 대한 연구 : 晋州券番을 중심으로 / 한국무용연구 7

  5. [단행본] 김천흥 / 2017 / 심소 김천흥 선생 무악인생록 / 소명출판

  6. [보고서] 김천흥 / 1966 / 무형문화재 조사보고서 제 89호 진주검무

  7. [학술지] 서유석 / 2018 / 古制소리와 권번을 통해 살펴본 이선유 <춘향가>의 자리 / 우리문학연구 (58) : 181 ~ 213

  8. [단행본] 성계옥 / 1987 / 진주의암별제지 / 진주민속예술보존회

  9. [단행본] 성계옥 / 2002 / 진주검무 / 화산문화

  10. [학술지] 송문숙 / 2000 / 진주권번의 춤과 인물에 관한 고찰 / 움직임의 철학 한국체육철학회지 8 (2)

  11. [학술지] 양지선 / 2013 / 문헌자료를 통해 본 진주기생의 활동양상 / 대한무용학회 논문집 71 (3) : 41 ~ 66

  12. [학술지] 이경복 / 1984 / 晋州妓와 論介의 후예들 : 晋州券番을 중심으로 / 전통문화연구 2

  13. [단행본] 정현석 / 2002 / 교방가요 / 보고사

  14. [단행본] 靑柳綱太郎 / 1918 / 朝鮮美人寶鑑 / 朝鮮硏究會

  15. [단행본] / 1974 / 한국독립운동사 자료 4 임정편 / 국사편찬위원회

  16. [기타] / 경남일보

  17. [기타] / 경향신문

  18. [기타] / 대한매일신보

  19. [기타] / 동아일보

  20. [기타] / 영남춘추

  21. [기타] / 조선시보

  22. [기타] / 조선중앙일보

  23. [기타] / 중외일보

  24. [기타] / 황성신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