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KCI 등재

『알탄 칸傳』에 나타난 16세기 우익 몽골에서의 물품 유통

Distribution of Goods in the Sixteenth Century Western Tümen in the Biography of Altan Khan

동국사학
약어 : 동국사학
2022 no.74, pp.107 - 155
DOI : 10.22912/dgsh.2022..74.107
발행기관 : 동국대학교 동국역사문화연구소
연구분야 : 역사학
Copyright © 동국대학교 동국역사문화연구소
4 회 열람

본 논문은 16세기 우익 몽골에서 유통되었던 물품을 『알탄 칸傳』을 중심으로 살펴본다. 16세기 투메드 몽골의 수장이었던 알탄 칸(1508~1582)의 행적은 대외 원정, 사신 파견, 불교 귀의로 크게 나누어 볼 수 있다. 알탄은 일찍부터 형제들과 함께 우량칸·위구르·오이라드·明을 상대로 활발한 대외 원정을 전개하였다. 1542년 형인 메르겐 지농이 사망한 뒤로도 알탄은 대외 원정을 주도하고, 전쟁에서 획득한 포로와 전리품을 분배함으로써 우익 몽골의 실력자로 자리매김하였다. 또한 정복지에서 공물과 세금을 징수할 뿐만 아니라, 越境 한인들을 포섭하여 투메드 평원에 농경을 시행하고 후흐호트를 건설함으로써 경제적 기반을 확보하였다. 세력 범위가 점차 확대됨에 따라 알탄은 주변국과의 외교 관계에도 관심을 기울였다. 天山 남부의 모굴 칸국에 사신을 파견하여 칭기스 일족 간의 유대감을 확인하고 아라비아산 말과 금강석을 우익 몽골로 들여왔다. 알타이 산맥 이북의 오이라드와는 통혼을 통해 칭기스 칸때 맺었던 사돈 관계를 회복하였다. 한편, 명의 북변을 끊임없이 위협하던 우익 몽골은 1571년 명과 ‘隆慶和議’를 맺은 뒤로 마시에서 말과 은 또는 비단을 교환할 수 있었다. 1571년 알탄은 아싱 라마와의 만남을 계기로 불교에 귀의하고 중앙티베트에 사절을 보내 겔룩파의 고승 쇠남 갸초를 초청하였다. 1578년 알탄은 찹치얄에서 쇠남 갸초와 만나 쿠빌라이와 팍빠의 선례를 본받아 施主-應供僧 관계를 수립하였다. 이때 알탄은 명에서 얻은 차와 비단, 금·은을 비롯한 각종 귀금속뿐 아니라 모굴 칸국을 통해 들여온 아라비아산 말 등을 티베트 승려에게 공양물로 바쳤다. 1571년 알탄이 명과 화약을 맺고 불교에 귀의한 이래로 명과 모굴 칸국에서 들여온 교역품이 우익 몽골을 거쳐 보시의 형태로 티베트에 유입되었다. 결국 16세기동유라시아 세계의 물품 유통 과정에서 우익 몽골이 중추적 역할을 수행하였다고 할 수 있다.

This article examines the distribution of goods in the sixteenth century Western Tümen by focusing on the biography of Altan Khan. The life of Altan Khan (1508-1582), the leader of the Tümed Mongols during the course of the sixteenth century, can be represented by three major events: military expeditions, dispatches of envoys, and a conversion to Buddhism. Altan launched military expeditions against the Uriyangkhan, Uyighur, Oyirad, and Ming together with his brothers from his youth. After his elder brother’s death in 1542, Altan became the most powerful ruler over the Three Western Tümen by not only leading military campaigns, but also distributing the spoils and prisoners. He also collected tributes and taxes from the conquered people. Encouraging the Chinese defectors to engage in agriculture and build Höhhot on the Tümed Plain, Altan established an economic base. As his power expanded, Altan made an effort to have diplomatic relations with neighboring countries. Sending envoys to the Moghul Khanate, Altan reaffirmed the solidarity of the Chinggisid and imported Arabic steeds and diamonds. He restored matrimonial relations with the Oyirad originating from the reign of Chinggis Khan. After the Sino- Mongol Peace Accord of 1571, the lords of the Three Western Tümen could exchange horse for silver or silk at the Horse Fairs. Following the arrival of Asing Lama in 1571, Altan converted to Buddhism and sent delegations to Central Tibet for the purpose of inviting a Geluk hierarch, Sönam Gyatso. In 1578, a meeting was held between Altan and Sönam Gyatso at Chabchiyal, where they established the patron-priest relationship modeled on that of Khubilai and Phagpa. Altan made innumerable offerings, such as tea, silk, and a variety of precious metals including gold and silver obtained from the Ming, as well as Arabic steeds imported from the Moghul Khanate to Tibetan lamas. Since 1571 when the Sino-Mongol Peace Accord was reached and Altan converted to Buddhism, goods imported from the Ming and the Mogul Khanate flowed into Tibet through Western Tümen. In conclusion, Three Western Tümen headed by Altan Khan played a significant role in the distribution of goods in the sixteenth century Eastern Eurasia.

알탄 칸, 우익 몽골, 후흐호트, 융경화의, 마시, 쇠남 갸초, 공양
Altan Khan, Western Tümen, Höhhot, Sino-Mongol Peace Accord of 1571, Horse Fairs, Sönam Gyatso, offerings

  • 1. [단행본] 北京圖書館古籍出版編輯組 / 1988 / 北京圖書館古籍珍本叢刊 6 / 書目文獻出版社
  • 2. [단행본] 陳子龍 / 1962 / 明經世文編 / 中華書局
  • 3. [단행본] 張廷玉 / 1974 / 明史 / 中華書局
  • 4. [기타] / 明實錄 / 국사편찬위원회 명실록·청실록 데이터베이스
  • 5. [단행본] 瞿九思 / 2007 / 明代蒙古漢籍史料彙編 4 / 內蒙古大學出版社
  • 6. [단행본] 蕭大亨 / 2006 / 明代蒙古漢籍史料彙編 2 / 內蒙古大學出版社
  • 7. [단행본] 라시드 앗 딘 / 2002 / 부족지 / 사계절
  • 8. [단행본] 라시드 앗 딘 / 2005 / 칸의 후예들 / 사계절
  • 9. [단행본] 유원수 / 2004 / 몽골 비사 / 사계절
  • 10. [단행본] 忽思慧 / 2021 / 음선정요 역주 / 세창출판사
  • 11. [단행본] 岡田英弘 / 2004 / 蒙古源流 / 刀水書房
  • 12. [단행본] 吉田順一 / 1998 / 『アルタン=ハーン伝』 訳注 / 風間書房
  • 13. [단행본] 森川哲雄 / 1987 / 『アルタン·ハーン伝』 の硏究 / 九州大学
  • 14. [단행본] 五世達賴喇嘛阿旺洛桑嘉措 / 2006 / 一世-四世達賴喇嘛傳 / 中國藏學出版社
  • 15. [단행본] 珠荣嘎(ǰürüngγ-a) / 1990 / 阿勒坦汗傳 / 內蒙古人民版社
  • 16. [단행본] Elverskog, Johan / 2003 / The Jewel Translucent Sūtra : Altan Khan and the Mongols in the Sixteenth Century / Brill
  • 17. [단행본] ǰürüngγ-a / 1984 / Erdeni tunumal neretü sudur orušiba / 民族出版社
  • 18. [단행본] Kollmar-Paulenz / 2001 / Karénina. Erdeni tunumal neretü sudur: Die Biographie des Altan qaγan der Tümed-Mongolen: Ein Beitrag zur Geschichte der religionspolitischen Beziehungen zwischen der Mongolei und Tibet im ausgehenden 16. Jahrhundert / Harrassowitz
  • 19. [단행본] de Rachewiltz, Igor / 2004 / The Secret History of the Mongols: A Mongolian Epic Chronicle of the Thirteenth Century 2 / Brill
  • 20. [단행본] Заяабаатар, Д. / 2006 / Чакраварди Алтан Хааны Тууж / Соёмбо принтинг
  • 21. [단행본] 김호동 / 2016 / 아틀라스 중앙유라시아사 / 사계절
  • 22. [단행본] 동국대학교 문화학술원 / 2022 / 동유라시아 물품 교류와 지역 / 경인문화사
  • 23. [단행본] / 2013 / 동아 새국어사전 / 두산동아
  • 24. [단행본] 뽀뻬, 니콜라스 / 1992 / 몽골문어문법 / 민음사
  • 25. [단행본] 최소영 / 2022 / 보시, 티베트와 몽골을 잇다: 티베트 승려에 대한 몽골 황실의 보시 연구 / 경인문화사
  • 26. [단행본] 薄音湖 / 1998 / 明代蒙古史論 / 蒙藏委員會
  • 27. [단행본] 栗林均 / 2009 / 『元朝秘史』モンゴル語漢字音訳·傍訳漢語対照語彙 / 仙台:東北大学東北アジア硏究センター
  • 28. [단행본] 栗林均 / 2019 / 華夷譯語(甲種本)の硏究 / 松香堂書店
  • 29. [단행본] 石濱裕美子 / 2012 / チベット佛敎世界の歷史的硏究 / 東方書店
  • 30. [단행본] 楊紹猷 / 1992 / 俺答汗評傳 / 中國社會科學出版社
  • 31. [단행본] 張怡蓀 / 1993 / 藏漢大辭典 / 民族出版社
  • 32. [단행본] 田村實造 他 / 1966 / 『五體清文鑑譯解』 上 / 京都大學文學部內陸アジア硏究所
  • 33. [단행본] 井上治 / 2002 / ホトクタイ=セチェン=ホンタイジの硏究 / 風間書房
  • 34. [단행본] Dankoff, Robert / 1982 / Compendium of the Turkic Dialects(Dīwān luγāt at-Turk) / Harvard University Printing Office
  • 35. [단행본] Doerfer, Gerhard / 1965 / Türkische und mongolische Elemente im Neupersischen 2 / Franz Steiner
  • 36. [단행본] Lessing, Ferdinand D / 1960 / Mongolian-English Dictionary /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 37. [단행본] Serruys, Henry / 1975 / Trade Relations : The Horse Fairs(1400-1600) / Institut belge des hautes études chinoises
  • 38. [학술대회] 김성수 / 2022 / 16~17세기 내륙아시아의 禮儀와 선물, In 명청시대 동유라시아의인적·물적 네트워크 / 명청사학회 하계연토회 및 동국대학교 문화학술원 HK+사업단 연합학술대회 자료집
  • 39. [학술지] 김장구 / 2021 / 대몽골국 성립 전후 유목경제의 실상과 유통물품의 변화 / 중앙아시아연구 / 26 (2) : 111 ~ 2 kci
  • 40. [학술지] 김장구 / 2022 / 대몽골국 초기 몽골고원으로 유입된 외래물품의 변화상 -우구데이~뭉케 카안 시기(1229~1259년)를 중심으로- / 몽골학 (68) : 101 ~ 68 kci
  • 41. [학술지] 김호동 / 1991 / 이슬람勢力의 東進과 하미王國의 沒落 / 震檀學報 / 76
  • 42. [학술지] 김호동 / 1993 / 15-16세기 中央아시아 新遊牧集團들의 動向: 前期 모굴汗國의崩壞와 관련하여 / 러시아연구 / 3
  • 43. [학술지] 민경준 / 2009 / 16세기 明蒙 변경의 몽골 漢人 / 역사와 세계 / 36 : 53 ~ kci
  • 44. [학술지] 서은미 / 2022 / 元代 茶 文化의 특징 / 동양사학연구 (158) : 295 ~ 158 kci
  • 45. [학술지] 설배환 / 2017 / 13~14세기 카안의 부엌과 몽골 風味의 지속과 변화 / 몽골학 (49) : 1 ~ 49 kci
  • 46. [학술지] 설배환 / 2017 / 몽골제국에서 賦稅의 시행과 그 帝國的 체계 이해를 위한 試論 / 동양사학연구 (139) : 169 ~ 139 kci
  • 47. [학술지] 설배환 / 2021 / “인간은 친절의 노예다” ― 사우가(sauγa) 문화와 몽골제국 사회・경제・정치 네트워크 ― / 중앙아시아연구 / 26 (2) : 141 ~ 2 kci
  • 48. [학술지] 조원 / 2014 / 明人의 시선에서 본 16세기 漠南몽골 사회의 변화- <北虜風俗>을 중심으로 - / 몽골학 (37) : 23 ~ 37 kci
  • 49. [학술지] 조원 / 2017 / 『飮膳正要』와 大元제국 음식문화의 동아시아 전파 / 역사학보 (233) : 181 ~ 233 kci
  • 50. [학술지] 조원 / 2022 / 원제국 외래 香藥과 카안의 賞賜 ― 南海海上 생산 香藥을 중심으로 ― / 동양사학연구 (159) : 151 ~ 159 kci
  • 51. [학술지] 최소영 / 2021 / 대칸의 스승: 팍빠('Phags pa, 八思巴, 1235-1280)와 그의 시대 / 동양사학연구 (155) : 127 ~ 155 kci
  • 52. [학술지] 최소영 / 2021 / 몽골제국 시기 티베트 승려에 대한 보시와 그 운송 문제 고찰 / 중앙아시아연구 / 26 (2) : 181 ~ 2 kci
  • 53. [학술지] 吉田順一 / 2016 / モンゴル人の農耕 / 內陸アジア史硏究 / 31
  • 54. [단행본] 森安孝夫 / 1997 / 岩波講座世界歷史 11: 中央ユーラシアの統合: 9-16世紀 / 岩波書店
  • 55. [학술지] 森川哲雄 / 1988 / Barsu boladの事績 / 歷史學·地理學年報 / 12
  • 56. [학술지] 若松寬 / 1980 / 西寧トンコルーフトクトの事績 / 立命館文學 : 418 ~
  • 57. [단행본] 井上治 / 2011 / モンゴル史硏究: 現狀と展望 / 明石書店
  • 58. [단행본] Charleux, Isabelle / 2006 / Imperial Statecraft: Political Forms and Techniques of Governance in Inner Asia, Sixth-Twentieth Centuries / Western Washington University
  • 59. [학술지] Hangin, Gombojab / 1980 / The Mongolian Titles ǰinong and Sigeǰin / Journal of the American Oriental Society / 100 (3)
  • 60. [학술지] Hyer, Paul / 1982 / An Historical Sketch of Köke-Khota City Capital of Inner Mongolia / Central Asiatic Journal / 26 (1/2)
  • 61. [학술지] Perdue, Peter C. / 2015 / Tea, Cloth, Gold, and Religion: Manchu Sources on Trade Missions From Mongolia to Tibet / Late Imperial China / 36 (2)
  • 62. [학술지] Richardson, H. E / 1958 / The Karma-Pa Sect. A Historical Note / Journal of the Royal Asiatic Society / 90 (3-4)
  • 63. [학술지] Serruys, Henry / 1963 / Early Lamaism in Mongolia / Oriens Extremus / 10 (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