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소규모 개방경제의 조건에서 한국 경제 운영과 관련하여 건전 재정은 국가 신용도를 결정하는매우 중요한 요소이다. 실물경제나 금융경제의 위기를 받쳐주는 대들보(cornerstone) 역할을해야 하기 때문이다. 1997년 외환위기와 2008년 경제위기를 짧은 시간에 극복할 수 있었던요인도 재정의 뒷받침으로 가능했다. 문제는 그것의 지속가능성이다. 예산은 1년 단위로 운영되고 있어서 장기적인 관점이 희석될 위험이 크다. 경제 성장기를 지원하던 1961년의 예산회계법 체계를 전면 개편한 2006년 국가재정법은1997년 외환위기 이후에 재정 전략과 관리를 전면적으로 바꾸는 획기적인 노력의 결과였다. 그것은 노무현 정부에서 실험적으로 추진되던 3+1 재정 개혁에 대한 법적 뒷받침을 한 것이다. top down 결정방식(총액배분 자율결정), 국가재정운용계획, 재정사업 자율평가의 3가지 개혁과이를 뒷받침하기 위한 프로그램 과목체계와 digital brain system은 OECD 국가의 모범사례가되어 개발도상국을 지원하는 ODA 사업의 주요 항목이 되고 있다. 그러나 10년이 지나면서급격히 진행된 저성장, 저금리, 저출산/고령화의 환경 변화에 직면하여 이러한 절차 중심의개혁에 대한 필요성이 제기되고 있다. 2016년 기획재정부가 제출한 ‘재정건전화법’이 이를 상징적으로 보여주고 있다. 그러나 이에 대한 정치권의 대응은 아직 미온적이다. 이를 위해 총량적 재정규율, 배분적 효율성, 기술적 효율성으로 구분하여 주요한 재정 개혁의과제를 정리하였다. 재정 개혁이 너무나 당연한 주제인 듯하지만, ‘누가 어떤 방식으로 할 것인지’의전략적 관점에서 보면 쉬운 주제가 아니라는 것을 알 수 있다. 이와 관련하여 2가지 쟁점을 명확하게 해야 한다. 첫째는 누가 할 것인지를 결정해야 한다. 강력한 추진력을 확보하기 위한 위원회 조직이 필요하다. 둘째 과거 개혁에 대한 정확한 진단과미래의 방향 설정을 기반으로 하여 진행해야 한다.

키워드

3+1 재정 개혁, 총량적 재정규율, 배분적 효율성, 기술적 효율성

참고문헌(34)open

  1. [학술지] 강태혁 / 2006 / 총액배분자율편성(top-down)제도의 비교론적 관점 / 정부회계연구 4 (2) : 3 ~ 33

  2. [보고서] 고영선 / 2004 / 중기재정관리체계의 도입과 정착

  3. [학술대회] 권민경 / 2007 / 자율화 관점에서 본 정부개혁: 탑다운 예산제도 / 서울행정학회 동계학술대회발표논문

  4. [학술지] 권민경 / 2010 / 탑다운 예산제도의 자율성 변화 분석 / 한국행정연구 18 (4) : 145 ~ 170

  5. [보고서] 권오성 / 2008 / Top-down 예산제도에 의한 예산자원 배분방식의 효율화 방안

  6. [보고서] 기획재정부 / 2017 / 사람중심 경제 구현을 위한 재정혁신 본격 추진

  7. [보고서] 기획재정부 / 2013 / 2012년 경제발전경험모듈화사업 : 한국의 재정사업 성과관리 제도

  8. [학술지] 김상헌 / 1998 / 예산편성상 정보의 비대칭성에 대한 미시경제적 분석 / 한국행정학보 32 (1)

  9. [보고서] 김정미 / 2013 / 해외 주요국의 재정 준칙 운용동향과 정책 시사점

  10. [보고서] 박노욱 / 2012 / 재정사업 성과분석과 정책적 시사점

  11. [보고서] 박노욱 / 2015 / 재정성과관리제도 운영의 성과 분석과 정책 과제

  12. [보고서] 박형수 / 2012 / 재정제도 및 재정운용 시스템의 개선

  13. [보고서] 박홍엽 / 2009 / 재정사업자율평가 현황과 정책과제

  14. [학술대회] 배득종 / 2004 / Top Down(총액배정자율배분)예산제도의 도입과 효율적 정착 방안 / 한국행정학회 동계학술논문집

  15. [학술지] 윤성식 / 2006 / 정부혁신의 이론과 사례 : 총액배분자율편성예산제도 / 한국행정과 정책연구 4 (2) : 29 ~ 50

  16. [학술지] 이원희 / 2015 / 재정 개혁의 전략 / 행정포커스

  17. [보고서] 이원희 / 2015 / 2015-2019 국가재정운용계획

  18. [학술지] 이원희 / 2017 / 권두언 / 재정포럼 (248)

  19. [단행본] 하연섭 / 2010 / 정부예산과 재무행정 / 다산출판사

  20. [학술지] 함성득 / 2010 / 총액배분자율편성제도의 효과에 관한 실증적 연구: 교육과학기술부 교육 분야 예산의 점증성을 중심으로 / 행정논총 48 (4) : 295 ~ 323

  21. [보고서] 홍승현 / 2012 / 글로벌 재정위기와 재정준칙

  22. [학술지] 홍종관 / 2014 / 국방분야 Top-down 예산 제도의 도입효과에 관한 연구 / 한국군사학논집 70 (3) : 83 ~ 111

  23. [보고서] Ehrhart, Karl-Martin / 2001 / Budget Process : Theory and Experimental Evidence

  24. [보고서] Chakraborty, Pinaki / 2017 / Federalism, Fiscal Space, AND Public Investment Spending: Do Fiscal Rules Impose Hard Budget Constraints?

  25. [학술지] Hendrick, Rebecca / 1989 / Top-down Budgeting, Fiscal Stress and Budgeting Theory / American Review of Public Administration 19 (1) : 29 ~ 48

  26. [단행본] John Wanna / 2015 / The Global Financial Crisis and its Budget Impacts in OECD Nations / Edward Elgar

  27. [기타] IMF / 2017 / Tackling Inequality / Fiscal Monitor October 2017

  28. [기타] IMF / 2014 / Back to Work How Fiscal Policy Can Help / Fiscal Monitor October 2014

  29. [보고서] Ljungman, Gösta / 2009 / Top-Down Budgeting: An Instrument to Strengthen Budget Management

  30. [단행본] Richard Allen / 2001 / Managing Public Expenditure: A reference Book for Transition Countries / OECD

  31. [단행본] Schick, Allen / 1999 / A Contemporary Approach to Public Expenditure Management / The World Bank Institute

  32. [기타] The World Bank / 1998 / Public Expenditure Management Handbook

  33. [단행본] Wanna, John / 2015 / The Global Financial Crisis and its Budget Impacts in OECD Nations / Edward Elgar Publishing

  34. [보고서] Zoli, Edda / 2017 / Korea's Challenges Ahead - Lessons from Japan's Experienc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