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KCI 등재

우리나라 인구이동 및 인구중심의 변천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Transition of Population Movement and Centroid in Korea

통계연구
약어 : 통연
2018 vol.23, no.3, pp.1 - 23
DOI : 10.22886/jkos.2018.23.3.1
발행기관 : 통계청
연구분야 : 경제학
Copyright © 통계청
52 회 열람

본 연구는 우리나라의 인구이동 및 인구중심의 변화를 파악하기 위해 서울 및 수도권의 인구집중현상에 대한 연도별 추이와 국내이동에 관한 시계열 변동추세를 파악하고, 각 광역시도와 우리나라 인구중심위치를 산출하여 우리나라의 인구중심 변천경향을 시대적으로 분석하였다. 인구이동 자료는 통계청의 국내인구이동통계를 사용하였고, 우리나라의 인구중심 및 각 광역시도별 인구중심을 산출하기 위해 통계청의 인구주택총조사를 사용하였다. 분석결과, 인구이동이 많이 일어났던 시기는 1980년대로 전국인구대비 총 인구이동은 23.1% 일어났으며, 2006년부터 지속적으로 감소해 온 총 인구이동은 2017년에는 14.0%의 수준으로 감소하였다. 우리나라의 인구중심은 1955년 이후 북쪽 방향으로 계속 진행하다가 1985년 이후 조금씩 북서 방향으로 변하여 수도권 쪽으로 이동하고 있음을 보여준다. 최근 2015년에는 우리나라 인구중심이 북쪽으로의 이동이 대폭 감소한 모습을 나타내고 있다.

This study investigates the transition of population movement and population centroid in Korea. The trend of population concentration in Seoul and the metropolitan area and the tendency in time series of internal migration were analyzed. The transition of population center was investigated by computing the population centroid in Korea and the metropolitan city. This study used the internal migration statistics and the population and housing census data in Statistics Korea. In the 1980s, the total population movements relative to the national population were 23.1% and it has been steadily decreasing since 2006 and down to 14% in 2017. The population center of Korea has been continuing to the north since 1955, but it has shifted to Northwest direction since 1985 and is moving towards the capital region. In recent years, the population center of Korea in 2015 has shown a dramatic decrease in migration to the north.

인구중심, 인구분포정책, 이동평균비율법, 인구주택총조사
Population Centroid, Population Distribution Policy, Ratio To Moving Average Method, Census Data

  • 1. [보고서] 권용우 / 1999 / 지역간 인구이동 패턴연구
  • 2. [보고서] 김두섭 / 2002 / 한국의 인구
  • 3. [단행본] 김연형 / 2012 / PASW(SPSS)시계열분석 / 교우사
  • 4. [학위논문] 김정구 / 2002 / 한국의 인구 이동 및 인구 중심에 관한 분석
  • 5. [학술지] 양재영 / 2015 / 인구중심의 변천에 관한 연구 / 신뢰성 응용연구 / 15 (3) : 192 ~ 3 kci
  • 6. [학술지] 이상림 / 2009 / 연령이 인구이동에 미치는 영향 : 최초이동, 계속이동, 귀환 이동 / 한국인구학 / 32 (3) : 43 ~ 3 kci
  • 7. [학위논문] 이숙경 / 2004 / 수도권 인구 이동의 변화, 1990-2003
  • 8. [보고서] 이재호 / 2016 / 울산광역시 순유입 인구변화
  • 9. [학술지] 이외희 / 2010 / 수도권 인구이동의 선별적 특성에 관한 연구: 수도권으로의 이동 특성과 수도권 내의 이동 특성을 중심으로 / 통계연구 / 15 (2) : 50 ~ 2 kci
  • 10. [단행본] 이해용 / 2003 / 이야기로 배우는 통계학 / 자유아카데미
  • 11. [학술지] 최은영 / 2004 / 지역간 인구이동의 공간적 특성 분석- 수도권을 중심으로 - / 서울도시연구 / 5 (3) : 49 ~ 3 kci
  • 12. [학술지] 최종석 / 1973 / 한국에 있어서 인구의 중심과 그 이동에 관한 연구 / 인구문제논집별책 / 17
  • 13. [학술지] 최종석 / 1987 / 한국의 인구이동에 관한 연구 / 충남과학연구지 / 14 (1)
  • 14. [학술지] 최종석 / 1996 / 한국의 인구 재분포에 관한 계량적 분석 / 충남과학연구지 / 23 (1)
  • 15. [학위논문] 황창순 / 2006 / 우리나라 인구 이동에 관한 분석 연구
  • 16. [학술지] Burda, M. C. / 2001 / From Reunification to Economic Integration :Productivity and the Labour Market in East Germany / Brookings Papers on Economic Activity (2) : 1 ~ 2
  • 17. [단행본] Elis, V. / 2008 / The impact of the ageing society on regional economies in The Demographic Challenge : A Handbook about Japan / Brill : 861 ~
  • 18. [인터넷자료] / https://www.census.gov/geo/reference/centersofpop.html
  • 19. [단행본] Plane, D. / 1994 / The Geographical analysis of population with applications to planning and business / John Wiley & Sons, Inc