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국내 초등학생들의 가족커뮤니케이션 패턴과 여가라이프스타일이 학교행복감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는데 있다. 이러한 연구목적을 위해 초등학생 278명의 설문 응답을 분석하였으며,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상관관계분석 결과 대화지향적 가족 커뮤니케이션 패턴은 긍정적 여가라이프스타일 유형인 합리적계획, 감각추구, 관계중심 여가라이프스타일과 정적 상관관계를 나타냈다. 순응지향적 가족 커뮤니케이션 패턴은 부정적 여가라이프스타일 유형인 여가무기력과 정적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위계적 회귀분석 결과, 가족 커뮤니케이션패턴과 여가라이프스타일은 초등학생의 학교행복감을 결정하는 요인들로 밝혀졌으며, 42.5%의 설명력을 보여주었다. 다중회귀분석 결과, 대화지향성 가족 커뮤니케이션 패턴은 학교행복감의 네 가지 하부요인 모두에게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합리적계획, 감각추구, 관계중심 여가라이프스타일은 학교행복감을 유의하게 증진시켰으며, 여가무기력 여가라이프스타일은 학교행복감을 유의하게 감소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초등학생을 대상으로 여가학에서 비교적 미흡하게 연구되어온 커뮤니케이션의 기능과 여가라이프스타일의 영향력을 동시에 고려하여 실증적으로 살펴보았다는 것에 그 의의가 있다고 하겠다.

키워드

가족커뮤니케이션 패턴, 여가라이프스타일, 학교행복감

참고문헌(51)open

  1. [학술지] 강영하 / 2008 / 초등학생의 행복감 구성요인 탐색 / 초등교육연구 21 (2) : 159 ~ 177

  2. [학술지] 강영하 / 2012 / 초등학생의 학교 행복감 구성요인 탐색 / 초등상담연구 11 (2) : 219 ~ 235

  3. [학술지] 이은순 / 2017 / 시간관과 가족커뮤니케이션 패턴이 여고생의 여가태도에 미치는 영향 / 한국체육학회지 56 (3) : 455 ~ 467

  4. [학술지] 강형길 / 2018 / 여고생의 체육수업 기본심리욕구와 긍정적 여가라이프스타일 간의 관계 -신체활동 여가태도의 매개효과 / 한국여가레크리에이션학회지 42 (2) : 53 ~ 64

  5. [학술지] 강형길 / 2017 / 여고생의 여가태도, 신체활동 관련 사회환경적 요인, 여가라이프스타일 간의 관계 / 한국여가레크리에이션학회지 41 (2) : 53 ~ 65

  6. [학술지] 김보경 / 2014 / 청소년의 여가만족과 주관적 행복감의 관계: 정서의 매개효과 검증 / 관광연구저널 28 (11) : 67 ~ 80

  7. [학술지] 김선아 / 2012 / 남녀중학생의 사회적 관계(부모, 또래, 교사관계)와 행복감의 관계 - 자아탄력성과 학교생활적응의 매개효과 - / 청소년시설환경 10 (4) : 15 ~ 26

  8. [학술지] 김아영 / 2008 / 청소년의 심리적 욕구만족, 우울경향, 학교생활적응 간의 관계구조와 학교급간 차이 / 교육심리연구 22 (2) : 423 ~ 441

  9. [학술지] 김정원 / 2009 / 초등학교 저학년 방과후 교실 아동의 행복감과 스트레스 및 놀이성간의 관계 연구 / 아동학회지 30 (3) : 37 ~ 53

  10. [학술지] 김정운 / 2005 / 여가와 삶의 질에 대한 비교문화 연구 / 한국심리학회지: 사회및성격 19 (2) : 1 ~ 15

  11. [학술지] 김홍록 / 2009 / 대학생의 여가활동 참여유형과 웰니스 지수의 관계 / 한국여가레크리에이션학회지 33 (3) : 85 ~ 94

  12. [학술지] 박민정 / 2013 / 청소년의 여가활동유형, 사회적 관계, 주관적 행복감의 관계연구 / 한국가족자원경영학회지 17 (1) : 125 ~ 138

  13. [학술지] 박영신 / 2012 / 청소년이 지각한 행복의 수준과 요인: 가정, 학교, 여가생활을 중심으로 / 청소년학연구 19 (09) : 149 ~ 188

  14. [학술지] 손영미 / 2011 / 대학생의 여가라이프스타일에 따른 여가소비 및 심리적 특성 / 한국여가레크리에이션학회지 35 (2) : 33 ~ 48

  15. [학술지] 손영미 / 2010 / 여가라이프스타일 척도 준거타당도 검증 연구 / 한국여가레크리에이션학회지 34 (2) : 111 ~ 124

  16. [학술지] 우성남 / 2009 / 여가라이프스타일 척도개발 연구 / 여가학연구 7 (1) : 1 ~ 26

  17. [보고서] 염유식 / 2016 / 2016 어린이 청소년 행복지수 국제비교연구

  18. [학술지] 이남미 / 2010 / 대학생들의 시간관리행동과 여가태도, 생활만족도 그리고 자아실현과의 관계 / 한국사회체육학회지 (39) : 837 ~ 849

  19. [학술지] 이명숙 / 2015 / 청년세대의 행복감과 정서적 안녕에 미치는 건강, 사회적지지, 삶의 기대요인의 상대적 영향 분석 / 청소년학연구 22 (7) : 179 ~ 199

  20. [학술지] 이은순 / 2018 / 가족 커뮤니케이션 패턴이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 여고생의 자아 긍정성과 자아 부정성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 한국소통학보 17 (2) : 129 ~ 156

  21. [학술지] 이은순 / 2017 / 대화지향성과 순응지향성의 가족커뮤니케이션 패턴이 여가라이프스타일에 미치는 영향: 여고생을 중심으로 / 여가학연구 15 (2) : 61 ~ 79

  22. [학술지] 이영숙 / 2002 / 부모-자녀간 의사소통 유형이 청소년 자녀의 심리적 복지에 미치는 영향 / 한국가족관계학회지 7 (2) : 133 ~ 159

  23. [학술지] 오세숙 / 2016 / 정규직 기혼 여성의 여가라이프스타일에 따른 여가 행태 분석 / 한국체육학회지 55 (3) : 493 ~ 502

  24. [학술지] 오정우 / 2015 / 한국 청소년의 체육수업 참여와 주관적 행복 인지의 연관성 / 한국체육학회지 54 (3) : 219 ~ 230

  25. [학술지] 장해순 / 2005 / 부모-자녀 간 의사소통이 자녀의 자아존중감과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 커뮤니케이션학 연구 13 (2) : 104 ~ 130

  26. [학술지] 장희선 / 2016 / 초등학생의 인성과 행복감의 관계에서 생애목표(내재적 목표, 외재적 목표)의 매개효과 / 교육심리연구 30 (3) : 585 ~ 607

  27. [학술지] 주형철 / 2013 / 대학생들의 여가라이프스타일 유형에 따른 여가만족 그리고 생활만족의 관계 / 한국웰니스학회 8 (4) : 57 ~ 72

  28. [학술지] 조윤경 / 2010 / 청소년의 외모에 대한 인식과 인터넷 이용, 그리고 가족커뮤니케이션의 관계 / 한국언론학보 54 (2) : 210 ~ 231

  29. [학술지] 차광섭 / 2012 / 여가라이프스타일을 이용한 노인여행자 시장세분화 연구 / 관광레저연구 24 (5) : 27 ~ 46

  30. [학술지] 최봉암 / 2014 / 골프선수용 여가라이프스타일 척도의 타당화 검증 - Rasch 모형 적용 - / 한국체육과학회지 23 (1) : 61 ~ 75

  31. [학술지] 최인재 / 2007 / 부모-자녀 간 의사소통이 청소년기 자녀의 자아분화 및 우울과 불안에 미치는 영향 / Korean Journal of Clinical Psychology 26 (3) : 611 ~ 628

  32. [학술지] 최장호 / 2003 / 대학생의 여가활동 유형과 생활만족에 대한 분석 / 한국체육학회지 42 (1) : 347 ~ 358

  33. [학술지] 한주리 / 2005 / 가족 의사소통 패턴과 자녀의 자아존중감, 자아노출, 내적 통제성 및 의사소통능력과의 관계 / 한국언론학보 49 (5) : 202 ~ 227

  34. [학술지] 현무성 / 2018 / 대학생의 여가라이프스타일이 여가제약 및 진로태도성숙에 미치는 영향 / 한국여가레크리에이션학회지 42 (4) : 53 ~ 66

  35. [학술지] Baiocchi-Wagner, E. A / 2013 / The role of family communication in individual health attitudes and behaviors concerning diet and physical activity / Health Communication 28 (2) : 193 ~ 205

  36. [단행본] Berry, W. D / 1993 / Understanding regression assumptions / Sage

  37. [학술지] Entwise, D. R / 1988 / Lasting effects of elementary school / Sociology of Education 61 (3) : 147 ~ 159

  38. [학술지] Fabrigar, L. R / 1999 / Evaluating the use of exploratory factor analysis in psychological research / Psychological Methods 4 (3) : 272 ~ 299

  39. [학술지] Holt, D. B / 1997 / Post structuralist lifestyle analysis : conceptualizing the social patterning of consumption in post modernity / Journal of Consumer Research 23 (4) : 326 ~ 350

  40. [단행본] Kelly, J. R / 1990 / Leisure / Prentice-Hall

  41. [학술지] Koerner, A. F / 1997 / Family type and conflict : The impact of conversation orientation and conformity orientation on conflict in the family / Communication Studies 48 : 59 ~ 75

  42. [학술지] Koerner, A. F / 2002 / Toward a theory of family communication / Communication Theory 12 : 70 ~ 91

  43. [학술지] Koesten, J / 2009 / Cognitive flexibility as a mediator of family communication environments and young adults’ well-being / Health Communiction 24 : 82 ~ 94

  44. [단행본] Lazer, W / 1963 / Life style concepts and marketing in toward scientific marketing / American Marketing Association : 140 ~ 149

  45. [단행본] Mannell, R. C / 1997 / A Social Psychology of Leisure / Venture Publishing

  46. [단행본] Nunnally, J. C / 1978 / Psychometric theory / McGraw-Hill

  47. [학술지] Ritchie, L. D / 1991 / Family communication patterns : An epistemic analysis and conceptual reinterpretation / Communication Research 18 : 548 ~ 565

  48. [학술지] Ritchie, L. D / 1990 / Family communication patterns : Measuring intrapersonal perceptions of interpersonal relationships / Communication Research 17 : 523 ~ 544

  49. [학술지] Schrodt, P / 2007 / Parental confirmation and affection as mediators of family communication patterns and children’s mental well-being / Journal of Family Communication 7 : 23 ~ 46

  50. [학술지] Schrodt, P / 2008 / A meta-analytical review of family communication patterns and their associations with information processing, behavioral, and psychosocial outcomes / Communication Monographs 75 : 248 ~ 269

  51. [학술지] Triandis, H. D / 1989 / The self and social behavior in differing cultural contexts / Psychological Review 96 : 506 ~ 52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