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우수등재

방송의 수어해설 서비스가 채널 브랜드 자산에 미치는 영향 : 지각된 침입성과 브랜드 진정성을 중심으로

Effects of Television Sign Language Interpreting Service on Channel Brand Equity : Perceived Intrusiveness and Brand Authenticity

한국방송학보
약어 : -
2022 vol.36, no.5, pp.156 - 191
DOI : 10.22876/kab.2022.36.5.005
발행기관 : 한국방송학회
연구분야 : 신문방송학
Copyright © 한국방송학회
인용한 논문 수 :   -  
1 회 열람

펜데믹 이후 질병관리청의 브리핑, ‘덕분에’ 챌린지, BTS의 수어안무, 메인 뉴스의 수어해설 등을 통한 수어의 노출 증가로 사회에 존재하는 장벽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는 가운데, 방송의 보편적 접근을 보장하기 위해 제공되는 장애인 방송 서비스는 여전히 양적으로나 질적으로 불충분한 것으로 평가된다. 그중에서도 수어해설 서비스 개선에 편성·제작자들이 소극적인 원인으로는 비장애 인의 시청권 침해 우려와 예산 부족이 내세워진다. 기존의 관련 연구들이 주로 장애인방송 서비스의 제도 개선에 집중했다면, 이 논문에서는 장애인방송 서비스 중에서도 수어방송이 비장애인들 에게도 노출되는 서비스라는 특성에 착안해 마케팅 관점에서 수어해설 서비스가 가져올 수 있는 기업적 가치를 검토해 보았다. 수어해설 화면의 노출이 채널 브랜드 자산에 영향을 미칠 것이라는 전제하에 수어해설의 유무와 크기 차이가 있는 실험처치물로 비장애인들을 대상으로 실험을 진행 했다. 실험 결과 피험자들은 수어해설 화면의 크기가 클수록 채널의 브랜드 진정성을 긍정적으로 평가하며, 채널 브랜드에 대한 우호적인 태도와 높은 충성도를 형성했다. 수어해설 화면이 가시적 일수록 시청자들은 침입성을 지각했지만, 동시에 채널의 브랜드 가치를 높게 평가하는 것으로 나타나 수어해설 서비스의 품질개선과 편성확대를 통해 채널 브랜드 가치를 향상시킬 수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the potential marketing value from providing sign language interpreting on prime time TV news in terms of building and increasing channel brand equity. This study was conducted in the from of randomized experiment online exposed three news clips, one with no sign language interpreting, and two with different screen sizes of sign language. Data from 248 adults without disability were analyzed. Results indicated that the lager screen size of sign language the more positive channel brand attitude and the higher channel brand loyalty fully mediated by channel brand authenticity. Interestingly, even though perceived intrusiveness is greater when the larger size of sign language is exposed, both of channel brand attitude and channel brand loyalty are evaluated in positive way. Results suggest theoretical and policy implications in that sign language interpreting deserves to be provided more with larger screen size

장애인방송, 수어, 시청권 침해, 브랜드 진정성, 채널 브랜드 자산
sign language interpreting, disability media studies, perceived intrusiveness, brand authenticity, channel brand equit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