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이 연구는 종합편성채널을 대상으로 뉴스 메시지에 대한 신뢰가 어떤 경로를 통해 형성되는지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구체적으로는 자기범주화 이론(self-categorization theory)의 가정을 근거로 하여, 이용자가 지각하는 채널과의 정파적 일치성이 채널에 대한 평가와 채널을 통한 뉴스 이용, 채널의 뉴스 메시지에 대한 신뢰에 어떤 경로를 통해 영향을 미치는지를 확인해 보았다. 이를 위해 동일한 방송 뉴스 리포트 자극물을 <JTBC>와 <TV조선> 각각의 채널에서 보도된 것처럼 처치해 제시하는 온라인 동영상 실험연구를 진행하였다. 총 459명의 답변을 구조방정식 모형을 통해 분석한 결과, 이용자들이 지각하는 채널과의 정파적 일치성은 긍정적인 채널 브랜드 자산 형성으로 이어지고, 그렇게 형성된 채널 이미지는 다시 해당 채널을 통한 뉴스 이용과 뉴스 메시지 신뢰에 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뉴스 메시지에 대한 신뢰가 보도 내용 자체가 아닌, 정보원에 대한 이용자의 주관적 판단이나 평가에 의해 영향받을 수 있음을 시사한다.

키워드

자기범주화 이론, 정파적 일치성, 채널 브랜드 자산, 채널 브랜드 이미지, 뉴스 신뢰, 편향적 매체 지각

참고문헌(70)open

  1. [학술지] 김경모 / 2018 / 뉴스 수용자의 지각 편향과 뉴스 공정성 평가: 언론 신뢰, 메시지 편향성, 자기범주화, 자기-고양의 영향력 분석 / 커뮤니케이션 이론 14 (3) : 145 ~ 198

  2. [학술지] 김여라 / 2009 / 텔레비전 시청자의 채널 브랜드 자산 평가가 뉴스 신뢰도, 선호도 및 시청의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 한국방송학보 23 (6) : 87 ~ 125

  3. [학술지] 김영욱 / 2003 / 방송 채널의 브랜드 자산 평가 방법 연구: 방송채널의 장르별 자산과 브랜드 이미지 중심 / 한국광고홍보학보 5 (1) : 195 ~ 231

  4. [단행본] 김위근 / 2018 / 한국의 언론 신뢰도: 진단과 처방 / 한국언론진흥재단

  5. [학술지] 김정현 / 2004 / 소비자 관점에서 국내 텔레비전 채널의 브랜드 자산 측정- 대학생 집단을 대상으로 한 조사 연구 / 광고연구 (63) : 331 ~ 360

  6. [학술지] 김지수 / 2016 / TV 메인뉴스 시청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탐색적 연구: 정치적 성향, 뉴스 시청동기, 채널 브랜드자산을 중심으로 / 사회과학논집 47 (1) : 193 ~ 217

  7. [학술지] 김형지 / 2019 / 사회 신뢰와 갈등 인식이 뉴스 이용에 미치는 영향 : 지상파, 종합편성, 온라인채널을 중심으로 / 한국콘텐츠학회 논문지 19 (4) : 150 ~ 161

  8. [학술지] 민희 / 2015 / 유권자의 이념성향과 미디어 이용 / 한국정당학회보 14 (1) : 157 ~ 176

  9. [학술지] 백상기 / 2012 / 신문사의 브랜드 확장상품 평가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 신문 평가, 이념일치, 자아일치 및 적합성을 중심으로 / 한국방송학보 26 (5) : 150 ~ 192

  10. [학술지] 성동규 / 2005 / 지상파 3사의 미디어 신뢰도와 TV뉴스 이용에 관한 연구: 대학생들의 선호집단별 미디어 신뢰도 평가를 중심으로 / 방송통신연구 (60) : 213 ~ 242

  11. [학술지] 송인덕 / 2014 / 언론사의 정파성 인식과 수용자의 정치성향에 따른 편향적 매체지각: 신문사설을 중심으로 / 커뮤니케이션 이론 10 (3) : 222 ~ 257

  12. [학술지] 송현주 / 2015 / 정파성의 강도와 정책 이슈에 대한 뉴스 프레임이 정파적 양극화에 미치는 영향 / 한국언론학보 59 (6) : 221 ~ 245

  13. [학술지] 심미선 / 2005 / 지상파 텔레비전의 채널별 장르인지도, 채널별 시청량, 프로그램 평가가 채널 브랜드 자산 및 채널 충성도에 미치는 영향 / 한국언론학보 49 (3) : 153 ~ 180

  14. [학술지] 안광호 / 2018 / 실제적․이상적 자아이미지 일치성, 브랜드 신뢰가 브랜드 애착에 미치는 상대적 효과에 관한 연구: 제품유형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 경영학연구 47 (1) : 1 ~ 24

  15. [학술지] 안차수 / 2009 / 언론소비자가 갖는 이슈에 대한 태도가 언론의 공정성 판단에 미치는 영향 / 한국언론정보학보 46 (2) : 323 ~ 353

  16. [학술지] 양문희 / 2009 / 뉴스 프로그램 품질 평가의 채널 브랜드 자산과채널 충성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 비교를 중심으로 / 한국언론학보 53 (3) : 198 ~ 221

  17. [학술지] 오미영 / 2006 / 채널 브랜드 자산 척도개발 및 평가에 관한 연구: 케이블TV 채널을 중심으로 / 한국광고홍보학보 8 (4) : 128 ~ 166

  18. [학술지] 오택섭 / 2005 / 적대적 매체지각: 메시지인가 메신저인가 / 한국언론학보 49 (2) : 135 ~ 166

  19. [학술지] 유수정 / 2017 / 메인 뉴스 논조 차별화가 드러낸 한국 종편 저널리즘의 지형: 무상복지 이슈를 중심으로 / 한국언론학보 61 (1) : 7 ~ 35

  20. [학술지] 윤홍근 / 2014 / 종합편성채널의 브랜드 정체성와 브랜드 체계 / 한국콘텐츠학회 논문지 14 (2) : 161 ~ 171

  21. [학술지] 이소은 / 2020 / 편향적 뉴스 이용과 언론 신뢰 하락 주요 결과 / 미디어 이슈 6 (3)

  22. [학술지] 이수범 / 2007 / 채널 브랜드 이미지 영향요인이 브랜드 연상과 채널 충성도에 미치는 영향 / PR연구 11 (2) : 159 ~ 194

  23. [학술지] 이수범 / 2006 / 지상파방송 채널의 브랜드 이미지가 시청자의 채널 충성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 방송과 커뮤니케이션 7 (2) : 128 ~ 165

  24. [학술지] 이승엽 / 2017 / 종합편성채널의 정치적 편향성 분석 : 2014년 제6회 지방선거에서의 뉴스보도를 중심으로 / 한국방송학보 31 (1) : 149 ~ 183

  25. [학술지] 이은주 / 2011 / 지각된 편향인가 편향된 지각인가? 댓글의 내용, 여론에 대한 인식과 이슈 관여도에 따른기사의 논조 지각 / 한국언론학보 55 (3) : 179 ~ 198

  26. [학술지] 이종혁 / 2015 / 언론 보도에 대한 편향적 인식이 공정성 평가에 미치는 영향: 우호적, 중도적, 적대적 매체에 대한 비교 검증 / 한국언론학보 59 (1) : 7 ~ 36

  27. [학술지] 이준웅 / 2005 / 지상파방송의 프로그램 품질 평가, 채널 브랜드 자산, 채널 충성도 간의 관계 연구 / 방송과 커뮤니케이션 6 (2) : 98 ~ 135

  28. [학술지] 이준웅 / 2003 / 시청자 프로그램 품질 평가가 채널 브랜드 자산에 미치는 영향-경쟁적 방송환경에서 공영방송 편성전략을 위한 이론적 모형 검증- / 방송통신연구 2003 (2) : 273 ~ 304

  29. [학술지] 이현출 / 2005 / 한국 국민의 이념성향: 특성과 변화 / 한국정치학회보 39 (2) : 321 ~ 343

  30. [학술지] 장정헌 / 2014 / 정치정보원으로서 인터넷미디어 신뢰도 연구: 18대 대통령선거 기간 중 대학생들의 인식을 중심으로 / 한국언론학보 58 (4) : 96 ~ 128

  31. [학술지] 전종우 / 2013 / 모브랜드 평가 및 준사회적 상호작용이 종합편성채널 브랜드 자산에 미치는 영향 - 채널 TV조선을 중심으로 / 광고연구 (96) : 221 ~ 248

  32. [학술지] 최선규 / 2012 / 뉴스 시장의 경쟁과 미디어 편향성: 취재원 인용을 중심으로 / 정보통신정책연구 19 (2) : 69 ~ 92

  33. [학술지] 최이정 / 2009 / TV동영상과 신문텍스트의 정보제시특성이 어린이와 성인의 정보기억에 미치는 영향 / 한국콘텐츠학회 논문지 9 (7) : 149 ~ 158

  34. [학술지] 하승태 / 2011 / 미디어 이용량과 선호 콘텐츠 유형이미디어 신뢰도에 미치는 영향: 전통적 미디어와 뉴미디어를 아우르며 / 한국언론학보 55 (1) : 413 ~ 434

  35. [보고서] 한국언론진흥재단 / 2020 / 디지털 뉴스 리포트 2020 한국

  36. [단행본] 한국언론진흥재단 / 2020 / 2020 언론수용자 조사 / 한국언론진흥재단

  37. [인터넷자료] 한국갤럽 / 한국인이 즐겨보는 뉴스 채널–2021년 2분기 / 갤럽리포트

  38. [학술지] 한정훈 / 2016 / 한국 유권자의 이념성향 : 통일의 필요성 인식에 미치는 효과에 관한 사례분석 / 한국정치학회보 50 (4) : 105 ~ 126

  39. [학술지] 현기득 / 2019 / 한국 정파언론 환경의 특수성은 보수와 진보 수용자의 매체 태도와 이용에 차별적 영향을 미치는가? 적대적 및 우호적 매체에 대한 정파성 지각이 매체 신뢰와 이용에 미치는 영향 / 한국언론학보 63 (2) : 46 ~ 76

  40. [단행본] Aaker, D. A. / 1991 / Managing brand equity: Capitalizing on the value of a brand name / Free Press

  41. [학술지] Aaker, D. A. / 1992 / The value of brand equity / Journal of Business Strategy 13 (4) : 27 ~ 32

  42. [학술지] Anderson, J. C. / 1988 /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in practice : A review and recommended two-step approach / Psychological Bulletin 103 (3) : 411

  43. [학술지] Appelman, A. / 2016 / Measuring message credibility : Construction and validation of an exclusive scale / Journalism & Mass Communication Quarterly 93 (1) : 59 ~ 79

  44. [학술지] Arpan, L. M. / 2003 / An experimental investigation of news source and the hostile media effect / Journalism & Mass Communication Quarterly 80 (2) : 265 ~ 281

  45. [학술지] Baum, M. A. / 2008 / In the eye of the beholder : How information shortcuts shape individual perceptions of bias in the media / Quarterly Journal of political science 3 (1) : 1 ~ 31

  46. [단행본] Bellamy Jr, R. V. / 2000 / Research in media promotion / Routledge : 140 ~ 173

  47. [학술지] Bucy, E. P. / 2003 / Media credibility reconsidered : Synergy effects between on-air and online news / Journalism & Mass Communication Quarterly 80 (2) : 247 ~ 264

  48. [학술지] Calvo-Porral, C. / 2014 / Mass communication media credibility : An approach from the Credible Brand Model / Intercom : Revista Brasileira de Ciências da Comunicação 37 (2) : 21 ~ 49

  49. [학술지] Christen, C. T. / 2002 / Hostile media perceptions : Partisan assessments of press and public during the 1997 United Parcel Service strike / Political Communication 19 (4) : 423 ~ 436

  50. [학술지] Coe, K. / 2008 / Hostile news : Partisan use and perceptions of cable news programming / Journal of Communication 58 (2) : 201 ~ 219

  51. [학술지] Fornell, C. / 1981 / Evaluating structural equation models with unobservable variables and measurement error / Journal of Marketing Research 18 (1) : 39 ~ 50

  52. [학술지] Giner-Sorolla, R. / 1994 / The causes of hostile media judgments / Journal of Experimental Social Psychology 30 (2) : 165 ~ 180

  53. [학술지] Gunther, A. C. / 2001 / Congenial public, contrary press, and biased estimates of the climate of opinion / Public Opinion Quarterly 65 (3) : 295 ~ 320

  54. [학술지] Gunther, A. C. / 2017 / Who says what to whom : Content versus source in the hostile media effect / International Journal of Public Opinion Research 29 (3) : 363 ~ 383

  55. [학술지] Henseler, J. / 2015 / A new criterion for assessing discriminant validity in variance-based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 Journal of the Academy of Marketing Science 43 (1) : 115 ~ 135

  56. [보고서] Jurkowitz, M. / 2020 / US media polarization and the 2020 election: A nation divided : 24

  57. [학술지] Keller, K. L. / 1993 / Conceptualizing, measuring, and managing customer-based brand equity / Journal of marketing 57 (1) : 1 ~ 22

  58. [학술지] Keller, K. L. / 2003 / Brand synthesis : The multidimensionality of brand knowledge / Journal of Consumer Research 29 (4) : 595 ~ 600

  59. [학술지] Meyer, P. / 1988 / Defining and measuring credibility of newspapers : Developing an index / Journalism Quarterly 65 (3) : 567 ~ 574

  60. [학술지] Oyedeji, T. A. / 2007 / The relation between the customer-based brand equity of media outlets and their media channel credibility : An exploratory study / The International Journal on Media Management 9 (3) : 116 ~ 125

  61. [학술지] Oyedeji, T. / 2008 / The effects of audiences' ideological views on the customerbased brand equity of cable news networks / Electronic News 2 (1) : 31 ~ 45

  62. [학술지] Oyedeji, T. A. / 2010 / The credible brand model : The effects of ideological congruency and customer-based brand equity on news credibility / American Behavioral Scientist 54 (2) : 83 ~ 99

  63. [학술지] Perloff, R. M. / 1989 / Ego-involvement and the third person effect of televised news coverage / Communication Research 16 (2) : 236 ~ 262

  64. [학술지] Reid, S. A. / 2012 / A self-categorization explanation for the hostile media effect / Journal of Communication 62 (3) : 381 ~ 399

  65. [학술지] Strömbäck, J. / 2020 / News media trust and its impact on media use : Toward a framework for future research / Annals of the International Communication Association 44 (2) : 139 ~ 156

  66. [학술지] Stroud, N. J. / 2008 / Media use and political predispositions : Revisiting the concept of selective exposure / Political Behavior 30 (3) : 341 ~ 366

  67. [학술지] Stroud, N. J. / 2013 / Perceptions of cable news credibility / Mass Communication and Society 16 (1) : 67 ~ 88

  68. [학술지] Tsfati, Y. / 2003 / Do people watch what they do not trust? Exploring the association between news media skepticism and exposure / Communication Research 30 (5) : 504 ~ 529

  69. [단행본] Turner, J. C. / 1987 / Rediscovering the social group: A self-categorization theory / Basil Blackwell

  70. [학술지] Vallone, R. P. / 1985 / The hostile media phenomenon : biased perception and perceptions of media bias in coverage of the Beirut massacre /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49 (3) : 57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