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본고는 전후세대 작가 중 하나인 장용학 후기소설의 비판의식에 대해 고찰하고자 한다. 장용학은 1980년대까지 꾸준히 활동했음에도 불구하고, 작품에 대한 연구가 「요한시집」에서 『원형의 전설』에 이르는 전반기 소설에 집중되어 있다. 이것은 장용학을 전후세대로 선규정하고 세대론적인 특성 안에서만 그의 작품을 논의하는데서 기인한다. 장용학만의 작품세계를 규명하는데 있어서도 전반기 소설만을 대상으로 하여, 그의 소설 세계에 대한 총체적인 연구가 이루어지지 않고 있다. 장용학은 戰前에 쓰인 「肉囚」(1948), 「戱畵」(1949), 「地動說」(1950)에서 근대에 대한 비판을 하고 있으며, 전후에 쓰인 「요한 詩集」(1955), 「非人誕生」(1956), 「易姓序說」(1958), 「現代의 野」(1960), 비교적 덜 주목받아온 「人間의 終焉」(1953), 「그늘지는 斜塔」(1955)에서도 근대의 불합리성에 대한 문제의식을 드러내고 있다. 그런데 이러한 근대에 대한 비판이 후기소설에서는 근대화와 독재정권에 대한 비판으로 나타나고 있어 주목된다. 초기소설에서 근대의 불합리성이 추상적이고 관념적으로 드러났다면, 후기 소설에서는 독재와 유신체제에 대한 구체적인 비판으로 나타나고 있다. 전반기 소설에서 근대의 불합리한 메커니즘에서 벗어난 새로운 인간상인 ‘非人’을 추구했다면, 후기 소설에서는 양심적인 인간을 내세우는 것으로 변모된다. 장용학은 군사정권이라는 비도덕적인 집단과 양심적인 개인을 대립시키고, 근대화를 앞세워 부정적 행위로 정권유지를 하고 있는 독재정권을 비판한다. 부조리한 이 세계에서 살아남기 위해서는 현실과 타협하는 방법 밖에 없다. 따라서 장용학의 양심적인 인물들은 죽음을 선택한다. 혹은 유고작인 『빙하기행』에서처럼 가상으로서의 ‘혁명’이라는 판타지적 서사로 전복의 희망을 전달한다. 현실세계에서 불가능한 유토피아는 「빙하기행」에서 천년성을 무너뜨리는 혁명으로 실현되고 있다.

키워드

장용학, 독재정권, 근대화비판, 양심적 개인, 환상

참고문헌(49)open

  1. [기타] 장용학 / 1962 / 원형의 전설 / 사상계

  2. [기타] 장용학 / 1966 / 태양의 아들 / 사상계

  3. [기타] 장용학 / 1965 / 부화 / 사상계

  4. [기타] 장용학 / 1967 / 형상화미수 / 신동아

  5. [기타] 장용학 / 1967 / 잔인의 계절 / 문학사상

  6. [기타] 장용학 / 1974 / 채국기 / 사목

  7. [기타] 장용학 / 1985 / 풍물고 / 현대문학

  8. [기타] 장용학 / 1987 / 하여가행 / 현대문학

  9. [기타] 장용학 / 1999 / 빙하기행 / 문학사상

  10. [기타] 장용학 / 2001 / 빙하기행 / 한국문학

  11. [기타] 장용학 / 1956 / 감상적 발언 / 문학예술

  12. [기타] 장용학 / 1956 / 나의 作家修業 / 현대문학

  13. [기타] 장용학 / 1967 / 균형감각 / 동아일보

  14. [단행본] 장용학 / 1995 / 장용학대표작품선집 / 책세상

  15. [단행본] / 1967 / 현대한국문학전집4: 장용학 / 신구문화사

  16. [단행본] 권영민 / 2002 / 한국현대문학사2 / 민음사

  17. [단행본] 노영기 / 2004 / 1960년대 한국의 근대화와 지식인 / 선인

  18. [단행본] 문학사와 비평연구회 / 1993 / 1960년대 문학연구 / 예하

  19. [단행본] 방민호 / 2003 / 한국 전후문학과 세대 / 향연

  20. [단행본] 역사문제연구소 / 1994 / 한국정치의 지배이데올로기와 대항이데올로기 / 역사비평사

  21. [단행본] 신경득 / 1982 / 한국 전후소설 연구 / 일지사

  22. [단행본] 엄해영 / 1994 / 한국전후세대소설연구 / 국학자료원

  23. [단행본] 임철규 / 1994 / 왜 유토피아인가 / 민음사

  24. [단행본] Emile, Durkheim / 1995 / 자살론 / 청아

  25. [단행본] Gerd, Mischler / 2002 / 자살의 문화사 / 시공사

  26. [단행본] Rosemary, Jackson / 2001 / 환상성-전복의 문학 / 문학동네

  27. [단행본] 박정태 / 2007 / 지식인을 위한 변명 / (주)이학사

  28. [단행본] Sigmund, Freud / 1996 / 새로운 정신분석 강의 / 열린책들

  29. [학술지] 김성렬 / 1999 / 부부재의식의 궤적 / 한국문예비평연구 5

  30. [학위논문] 김양호 / 1992 / 전후 실존주의소설 연구-손창섭․장용학․오상원을 중심으로

  31. [학술지] 김현 / 1971 / 테러리즘의 문학-50년대문학 小考 / 문학과 지성

  32. [기타] 박창원 / 1999 / 유고소설 「빙하기행」이 남긴 의미 / 문학사상

  33. [학술지] 배경열 / 2002 / 장용학 소설의 창작방법론 고찰 / 배달말 (31) : 269 ~ 297

  34. [기타] 백철 / 1955 / 신인과 현실인식 / 조선일보

  35. [학술지] 서영채 / 1993 / 알레고리의 내적 형식과 그 의미-장용학의 원형의 전설론 / 민족문학사 연구

  36. [학위논문] 엄해영 / 1992 / 韓國 戰後 世代 小說 硏究

  37. [학위논문] 용석원 / 2009 / 장용학 소설 연구:탈근대적 주체의 형성을 중심으로

  38. [학술지] 이상록 / 2007 / 1960~70년대 비판적 지식인들의 근대화 인식 / 역사문제연구 18

  39. [학술지] 이상원 / 2002 / 장용학 소설에 나타난 관념연구-‘비인탄생’ ‘역성서설’을 중심으로 / 논문집 2

  40. [학술지] 이용성 / 2003 / 1960년대 비판적 지식인 잡지 연구 / 한국학논집

  41. [학위논문] 임미진 / 2010 / 장용학 소설의 담론 연구:식민지 체험과 언어의식을 중심으로

  42. [학술지] 임경순 / 2004 / 1960년대 소설의 주체와 지식인적 정체성 / 상허학보 12 : 11 ~ 38

  43. [학술지] 장소진 / 2003 / 부조리한 세계와 실존적 의식의 괴리-장용학의 ‘비인탄생’을 중심으로 / 시학과 언어학 5

  44. [학위논문] 조은아 / 2010 / 장용학 소설언어 연구

  45. [학술지] 조희연 / 2004 / 박정희 시대의 강압과 동의 - 지배?전통?강압과 동의의 관계를 다시 생각한다 / 역사비평 (67) : 135 ~ 190

  46. [기타] 임헌영 / 1966 / 장용학론: 아나키스트의 환가 / 현대문학

  47. [기타] 천이두 / 1960 / 안타오스의 자유 / 현대문학

  48. [학위논문] 한병철 / 1997 / 장용학 후기 소설연구

  49. [학위논문] 황순재 / 1996 / 한국관념소설의 재현방식 연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