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이 논문은 백사 전광용의 『신소설 연구』(새문사, 1986)를 대상으로 해당 저서가 한국 근·현대 문학 연구에 끼친 영향에 대해 평가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먼저 『신소설 연구』의 체제에 대해 검토함으로써 저자 전광용이 철저히 실증적인 연구 방법론을 선택하였음을 확인하였다. 이러한 태도를 바탕으로 저자는 신소설을 중심으로 하는 개화기 서사 문학 연구의 틀을 제시할 수 있었다. 저자가 신소설과 그 작가를 평가하는 기준과 문제의식은 안확, 김태준, 임화 등 식민지시기에 발표되었던 해당 논의들과 많은 부분에서 중첩된다. 한편 저자가 제시한 신소설과 개화기 서사 문학에 대한 문제의식은 이후 관련 연구의 중요한 토대로 기능하였다. 그런데 『신소설 연구』에 수록된 대부분의 논문들이 1950년대에 발표된 것이라는 사실에 주목할 필요가 있다. 즉 저자가 기획했던 일련의 신소설 관련 연구 작업은 한국 근·현대 문학에 관한 논의가 학문 연구의 대상이 될 수 있는 모델을 제시했다는 점에서 그 선구적 의의를 부여할 수 있는 것이다.

키워드

전광용, 신소설 연구, 실증주의, 개화기, 신소설

참고문헌(19)open

  1. [기타] / 『매일신보』, 『조선일보』

  2. [단행본] 전광용 / 1986 / 신소설 연구 / 새문사

  3. [단행본] 권영민 / 1983 / 한국 근대문학과 시대정신 / 문예출판사

  4. [단행본] 김교봉 / 1991 / 근대 전환기 소설 연구 / 국학 자료원

  5. [단행본] 김영민 / 2005 / 한국 근대 소설의 형성 과정 / 소명 출판

  6. [단행본] 김윤식 / 1973 / 한국 문학사

  7. [단행본] 김태준 / 1990 / 증보 조선 소설사 / 한길사

  8. [단행본] 안확 / 1984 / 조선 문학사 / 을유문고

  9. [단행본] 양승국 / 2001 / 한국 신연극 연구 / 연극과 인간

  10. [단행본] 이두현 / 1966 / 한국 신극사 연구 / 서울대 출판부

  11. [단행본] 이재선 / 1972 / 한국 개화기 소설 연구 / 일조각

  12. [단행본] 이주영 / 1998 / 구활자본 고전 소설 연구 / 도서출판 월인

  13. [단행본] 임화 / 1993 / 신문학사 / 한길사

  14. [단행본] 조남현 / 1987 / 한국 현대 소설 연구 / 민음사

  15. [단행본] 조동일 / 1975 / 신소설의 문학사적 성격 / 서울대 출판부

  16. [학위논문] 김건우 / 2002 / 1950년대 후반 문학과 <사상계> 지식인 담론의 관련 양상 연구

  17. [학술지] 박상준 / 2004 / 임화의 문학사 연구에 나타난 이론 구성과 실제 기술의 변증법 / 한국근대문학연구 (9) : 91 ~ 136

  18. [학술지] 박상준 / 2007 / 임화 신문학사론의 문학사 연구 방법론적 성격에 대한 연구 / 외국문학연구 (28) : 167 ~ 206

  19. [단행본] 이형기 / 1965 / 전광용론, in: 현대 한국 문학 전집 5 / 신구 문화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