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KCI 등재

합병, 주식교환, 주식이전 등 조직재편과 대표소송의 원고적격의 쟁점 - 대법원 판례에 대한 비판적 고찰과 입법론적 제안 -

Standing for Shareholders in Derivative Action and Shareholder Status after Merger and Share Exchange

상사판례연구
약어 : C.C.R.
2016 vol.29, no.3, pp.247 - 295
DOI : 10.22864/kcca.2016.29.3.007
발행기관 : 한국상사판례학회
연구분야 : 법학
Copyright © 한국상사판례학회
16 회 열람

주지하듯이 오래 전부터 대법원 판결은 주주가 주식을 전혀 보유하지 않게 된 원인이 자발적이든 비자발적이든 불문하고 주주는 대표소송의 원고적격을 상실한다고 보고 있다. 그런데 상법상 합병, 삼각합병, 주식교환․주식이전의 조직재편 과정에서 소멸회사, 완전자회사의 주주가 이들 회사의 주식을 전혀 보유하지 않게 되고, 존속회사, 존속회사의 모회사, 신설회사, 그리고 완전모회사의 주식을 보유함으로써 구회사 주주의 지위를 상실하는 것이 예정되어 있다. 이 경우에 구회사 주주가 구회사의 이사를 상대로 제기한 대표소송의 효력이 문제될 수 있다. 나아가 구회사의 주주들이 아직 대표소송을 제기하지 않았다면 신회사의 주주가 된 이후에 구회사 이사를 상대로 대표소송을 제기할 수 있는지도 문제된다. 최근에 외환은행과 하나금융지주회사의 주식교환에 따라 구회사 인 외환은행의 주식을 보유하지 않게 된 주주가 제기한 주주총회결의 하자소송을 다룬 사안에서, 대법원 2016. 7. 22. 선고 2015다66397 판결은 주식교환이 있는 경우 구주주는 구회사 주식을 전혀 보유하지 않기 때문에 원고적격을 상실한다고 판시하였다. 주주가해당 회사의 주식을 전혀 보유하지 않는 경우에는 원고적격을 상실한다는 기존의 법리를 확인한 것이다. 이 글은 조직재편 과정에서 구회사의 주주가 주식을 전혀 보유하지 않게 된 경우에 원고적격을 부정하는 대법원 법리의 타당성에 의문을 제기하고 바람직한 해결방안으로서 입법론을 모색한 것이다. 전술한 대법원 판결의 법리는 도산이나 도산에 임박한 회사에서 주식을 전혀 보유하지 않은 사안을 다룬 판결에서 발전된 것이다. 그러나 도산상황에서 주식가치가 전혀 없게 된 주주와 조직재편 과정에서 구회사 주주의 지위를 상실하고 신회사의 주주가 된 주주는 대표소송 수행의 이해관계가 상이하기 때문에, 양자를 평면적으로 동일하게 취급하는 것은 의문이 있다. 본론에서는 합병, 삼각합병, 주식교환․주식이전에서 주주의 대표소송 원고적격의 문제를 종합적으로 검토하였다. II에서는 주식을 전혀 보유하지 않은 주주의 원고적격의 문제, 조직재편 시 주식 미보유 주주의 원고적격의 인정 여부, 원고적격을 불인정할 경우의 문제점을 검토하였다. III에서는 조직재편에 따라 구회사의 주식을 보유하지 않고 존속회사, 완전모회사 주주가 된 경우의 원고적격의 문제를 검토한 후, 입법론적으로 이러한 경우에도 원고적격을 허용하기 위한 제도 설계를 시도하였다. 제도 설계시 고려할 사항은 원고적격의 인정범위, 주식 이외 금전 등 기타 재산을 대가로 받은 구주주의 원고적격 문제, 원고주주의 주식보유 요건, 상장회사 주주의 주식보유 요건이다.

Under the Korean Commercial Code(“KCC”), the plaintiff-shareholder must hold one percent of the outstanding shares in non-listed companies(Article 403(1)). For listed companies, the statutory minimum shareholding is as low as 0.01 percent, but the plaintiff needs to have held the shares for at least six months. Once the plaintiff has met the statutory threshold, the sale of her shares afterwards will not jeopardize her standing as long as she holds at least on share(Article 403(5)). When the plaintiff-shareholder has sold all of her shares, the derivative action becomes automatically invalid. The Korean Supreme Court(“KSC”) held that once shareholders do not hold a share, the action becomes automatically invalid. What if the would-be plaintiff involuntarily lost her status as shareholder as a result of corporate action such as merger, consolidation, and exchange of shares? The KSC held that such a shareholder lacks standing. The KSC even held that a shareholder in a parent company cannot bring a derivative action on behalf of a subsidiary, stating that the plainfiffs in a derivative action should be shareholders of the company involved, not shareholder of its parent company. In recent shareholder resolution lawsuit case, 2015Da66397, the KSC reaffirmed that rule. It is hard to see any justification for the KSC’s decisions, since it is the highly formalistic notion. An implication of the KSC’s decision is that if X, a shareholder of A Company, brings a derivative action on A’s behalf, and A then merges into B Company, which is the survivor of the merger, X might lose standing to continue prosecuting the action, since X is no longer a shareholder in A Company. This article criticizes the rule of the KSC, and proposes revision of KCC. It proceeds as follows. Part II first starts with some hurdles to bring a derivative action from the perspective of shareholders. Part III explores major issues in derivative action: standing for plaintiffs, shareholder status after Merger and Exchange of Shares.

대표소송, 이중대표소송, 원고적격, 조직재편, 합병, 삼각합병, 주식교환, 주식이전, 채무자회생 및 파산
Derivative Action, Double Derivative Action, Standing for Plaintiffs, Shareholder Status, Merger, Consolidation, and Exchange of Shares

  • 1. [단행본] 권기범 / 2012 / 현대회사법론 / 삼지원
  • 2. [단행본] 김건식 / 2010 / 회사법(제2판)) / 박영사
  • 3. [단행본] 김건식 / 2016 / 신체계회사법 / 박영사
  • 4. [단행본] 김건식 / 2016 / 회사법 / 박영사
  • 5. [단행본] 송옥렬 / 2016 / 상법강의 / 홍문사
  • 6. [단행본] 이시윤 / 2016 / 신민사소송법 / 박영사
  • 7. [단행본] 이철송 / 2016 / 회사법강의 / 박영사
  • 8. [단행본] 임재연 / 2010 / 회사소송 / 박영사
  • 9. [학술지] 권재열 / 2004 / 二重代表訴訟의 許否에 대한 比較法的 檢討- 서울고등법원 2003.8.22. 선고, 2002다13746 판결을 대상으로 하여 - / 비교사법 / 11 (2) : 443 ~ 2 kci
  • 10. [학술지] 김대규 / 2004 / 支配會社株主의 二重代表訴訟 / 증권법연구 / 5 (2) : 121 ~ 2 kci
  • 11. [학술지] 김문재 / 1999 / 지주회사 도입에 따른 회사법의 향방 / 상사법연구 / 18 (1)
  • 12. [학술지] 전삼현 / 2006 / 이중대표소송제에 관한 소고 / 경영법률 / 17 (1) : 291 ~ 1 kci
  • 13. [학술지] 김재범 / 2007 / 이중대표소송제도의 도입 -상법에 대한 정합성 여부- / 상사법연구 / 25 (4) : 27 ~ 4 kci
  • 14. [학술지] 김홍기 / 2007 / 주주대표소송 판례의 동향과 그 연구 / 법학연구 / 48 (1) : 1079 ~ 1 kci
  • 15. [학술지] 손영화 / 2004 / 모회사 주주의 대표소송과 이사의 경영판단(대법원 2004. 9. 23. 선고, 2003다49221 사건을 중심으로) / 상사판례연구 (17) : 3 ~ 17 kci
  • 16. [학술지] 염미경 / 2006 / 이중대표소송의 도입에 관한 고찰 / 비교사법 / 13 (4) : 467 ~ 4 kci
  • 17. [학술지] 유진희 / 2006 / 이중대표소송의 도입에 관한 입법론적 고찰 / 상사판례연구 / 19 (4) : 121 ~ 4 kci
  • 18. [학술지] 이태종 / 1997 / 미국회사법상 이중대표소송 / 재판실무 / 2
  • 19. [학술지] 정병석 / 2005 / 이중대표소송의 허용가능성-대법원 2004. 9. 23. 선고 2003다49221판결- / 기업법연구 / 19 (1) : 343 ~ 1 kci
  • 20. [학술지] 加藤貴仁 / 2015 / 多重代表訴訟等の手續に關する諸問題 / 商事法務 (2063)
  • 21. [단행본] 江頭憲治郞 / 2015 / 株式會社法 / 有斐閣
  • 22. [학술지] 高橋均 / 完全親會社取締役の責任のあり方 / 商事法務 (1793)
  • 23. [학술지] 關俊彦 / 2002 / 株主代表訴訟の原告適格と株式移轉 / ジュリスト (1233)
  • 24. [단행본] 東京地方裁判所商事硏究會 / 2006 / 類型別會社訴訟 I / 判例タイムズ社
  • 25. [단행본] 山本忠弘 / 2009 / 會社法の爭點
  • 26. [학술지] 山田泰弘 / 企業再編對價の柔軟化と株主代表訴訟 / 立命館法學 (394)
  • 27. [학술지] 相澤哲 / 2006 / 新會社法の解說(17․完) / 商事法務 (1755)
  • 28. [단행본] 神田秀樹 / 2016 / 會社法 / 弘文堂
  • 29. [단행본] 新谷勝 / 2007 / 會社訴訟·假處分の理論と實務 / 民事法硏究會
  • 30. [학술지] 岩原紳作 / 2012 / 會社法制の見直しに關する要綱案の解說(III) / 商事法務 (1977)
  • 31. [학술지] 株主代表訴訟制度硏究會 / 2003 / 株式交換․株式移轉と株主代表訴訟(1)-原告適格の繼續 / 商事法務 (1680)
  • 32. [학술지] 中東正文 / 2007 / 企業買收․組織再編と親會社․關係會社の法的責任 / 法律時報 / 79 (5)
  • 33. [단행본] Stephen M. Bainbridge / 2002 / Corporation Law and Economics / Foundation Press
  • 34. [단행본] Melvin Aron Eisenberg / 2005 / Corporations and Other Business Organizations / Foundation Press
  • 35. [단행본] Wulf Goette / 2013 / Münchener Kommentar zum Aktiengesetz, Band 3 / C. H. Beck
  • 36. [기타] Sebastian Mock / 2013 / Zeitschrift für das gesamte Insolvenzrecht(ZInsO) 2010, 2013
  • 37. [단행본] Gerald Spindler / 2015 / Kommentar zum Aktiengesetz, Band 1 / C. H. Beck