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본고는 최근에 감정조절의 장애로 인하여 사회적인 논란이 발생되면서, 새롭게 주목을 받고 있는 자비명상의 성격을 문헌적으로 고찰한다. 중심 과제는 한역 『유가사지론』에 나타난 자비명상을 이해하고 해석하는 것이지만, 남방전통에서 강조하는 자애명상과의 차이점을 비교하면서 자비명상의 수행적인 특성을 밝히는 것이다. 첫째로 ‘자애’명상은 중생에게 행복을 주고자 하는 ‘자’수행(慈修習, mettā-bhāvanā)이 강조된 반면에 ‘자비’명상에서는 중생의 고통을 뽑아 구제한다는 보다 적극적인 의미로서의 ‘비’수행(悲修習, karuṇā-bhāvanā)를 강조한다는 점에서 차이점이 있다. 둘째는 비(悲)수행은 초기불교나 남반전통에서는 독자적인 수행방식으로 찾아보기 어려운데 그 원류를 추적하여 보면, 고통과 액난을 제거한다는 적극적인 의미의 해석은 『아비달마발지론』에서 유래되었고, 이후에 『아비달마대비바사론』의 대비(大悲)사상을 거치면서 이후 『유가사지론』과 대승불교의 핵심 사상으로 자리를 잡게 되었다. 셋째, 선정과 관련하여서는 남방전통의 자애명상이 색계 선정의 제3선에 도달하는 선정계열로 소속시킨 반면에, 자비명상은 위빠사나 계열에 소속시키면서, 색계뿐만 아니라, 욕계와 무색계의 선정까지 삼계 모두를 포섭한 것으로 기술한다. 넷째, 『유가사지론(瑜伽師地論)』 성문지에서는 자비명상을 ‘의미(義)’, ‘대상(事)’, ‘형상(相, lakṣaṇa)’, ‘품격(品, paksa)’, ‘시간[時]’과 ‘도리(道理)’의 여섯 가지 차별대상[六事差別所緣]을 관찰하는 위빠사나로 규정하고 해명하는 방식은 다른 문헌에서 발견할 수 없는 『유가사지론』에서만 나타나는 자비명상의 독특한 특성이라는 것이다. 마지막으로 다섯째, 『해심밀경』과 『유가사지론』의 성립시기 문제로서 자비명상[慈愍觀]이란 주제이다. 『해심밀경』과 『유가사지론』에 나타난 사상을 비교해 볼 때, 『해심밀경』이 먼저 성립하고 나중에 『유가사지론』에 편입되었다. 『해심밀경』이 법의 이치에 대한 해명에 초점이 맞추어졌고, 『유가사지론』은 『해심밀경』의 교법에 근거하여 실천적인 수행관찰을 상세하게 기술하고 있다.

키워드

자비명상, 자애명상, 유가사지론, 사마타, 위빠사나

참고문헌(31)open

  1. [기타] / 中阿含經(大正藏1)

  2. [기타] / 解深密經(大正藏16)

  3. [기타] / 阿毘達磨發智論(大正藏26)

  4. [기타] / 阿毘達磨大毘婆沙論(大正藏27)

  5. [기타] / 瑜伽師地論(大正藏30)

  6. [기타] / 華嚴探玄記(大正藏35)

  7. [인터넷자료] / Mettāsutta

  8. [인터넷자료] / Majjhima Nikāya

  9. [인터넷자료] / Visuddhimagga Ⅸ

  10. [학술지] 강명희 / 2013 / 오정심관 수행법을 통한 심리치료 -한역 『유가사지론』 중심으로- / 보조사상 (39) : 297 ~ 332

  11. [학술지] 김경의 / 2008 / 한국판 자기-자비 척도의 타당화 연구 : 대학생을 중심으로 / 한국심리학회지: 건강 13 (4) : 1023 ~ 1044

  12. [학위논문] 김수련 / 2013 / 초기불교에서 자비의 悲(Karunā)에 대한 연구

  13. [단행본] 김은진 / 2016 / 마음치유방법론 / 공동체

  14. [학술지] 김재성 / 2006 / 五停心觀의 초기불교에서의 위치 / 불교학연구 31 (14) : 183 ~ 224

  15. [학술지] 문은주 / 2015 / 정서처리과정에서 자기자비의 역할: 정서인식명료성의 효과를 중심으로 / 한국심리학회지: 건강 20 (1) : 1 ~ 16

  16. [학술지] 문을식 / 2012 / 대승불전에서 자비 개념의 전개 양상 / 한국교수불자연합학회지 18 (1) : 167 ~ 190

  17. [학술지] 문을식 / 2012 / 불전에서 자비 개념의 전개 양상(1) : 초기불교와 부파불교의 불전에 나타난 개념을 중심으로 / 불교연구 (37) : 9 ~ 42

  18. [학술지] 박도현 / 2015 / 아주 사무량심 척도(AFIS)의 개발과 타당화 / 한국심리학회지: 건강 20 (4) : 821 ~ 838

  19. [학술지] 박세란 / 2015 / 자기자비 증진 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 검증 / 한국심리학회지: 상담 및 심리치료 27 (3) : 583 ~ 611

  20. [학술지] 신희천 / 2013 / 한국판 단축형 자비적 사랑 척도의 타당화 / 인간이해 34 (2) : 241 ~ 261

  21. [학술지] 안양규 / 2014 / 자기-자비(self-compassion)에서 본 MBCT (Mindfulness-Based Cognitive Therapy, 알아차림 명상에 기초한 인지치료)의 치유기제 / 불교학보 (69) : 148 ~ 168

  22. [학술지] 윤영해 / 2012 / 초기불교 문헌에서 자비의 문제 -그 실천 이유와 근거- / 한국불교학 (62) : 77 ~ 100

  23. [학술지] 이상현 / 2011 / 분노사고와 분노표현에 있어서의 자기-자비의 완충효과 / 한국심리학회지: 상담 및 심리치료 23 (1) : 93 ~ 112

  24. [학술지] 이자랑 / 2011 / 계율에 나타난 분노의 정서와 慈愛(mettā)를 통한 치유 / 禪學(선학) (28) : 249 ~ 282

  25. [학술지] 이필원 / 2010 / 사무량심의 ‘해탈도’적 성격 고찰 초기불교를 중심으로 / 불교연구 (32) : 9 ~ 38

  26. [학술지] 일중 / 2004 / 남방 상좌불교 전통에서의 자애관 수행 / 구선논집 12

  27. [학술지] 정연주 / 2008 / 상담자의 자애명상 경험 연구 / 상담학연구 9 (4) : 1851 ~ 1862

  28. [학술지] 조현주 / 2012 / 자애명상 기반 수용전념치료 프로그램 개발과 효과: 우울경향 대학생을 중심으로 / 한국심리학회지: 상담 및 심리치료 24 (4) : 827 ~ 846

  29. [단행본] 袴谷憲昭 / 1993 / 唯識思想 / 경서원

  30. [단행본] 釋惠敏 / 1994 / 聲聞地にぉける所緣の硏究 / The Sankibo Press

  31. [단행본] Sheldon Cashdan / 2005 / 대상관계치료 / 학지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