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KCI 등재

현행 국회의원선거제도의 비례성 증대방안

A Method to increase the Proportional Representation of the current National Assembly Electionsystem

법제연구
약어 : 법제연구
2017 no.52, pp.7 - 36
DOI : 10.22851/kjlr.2017..52.001
발행기관 : 한국법제연구원
연구분야 : 법학
Copyright © 한국법제연구원
23 회 열람

현행 국회의원선거제도하에서는 각 정당에게 선거권자의 지지도에 비례하는 의석이 배분되지 못한다. 이는 평등선거의 원칙과 대표의 정확성 및 비례성에 위배된다. 이 문제의 해결은 정당투표를 통해 각 정당이 획득한 득표율에 비례한 의석을 해당 정당이 가져가도록 선거제도를 설계하는데서 출발한다. 결국 비례대표의석을 대폭 늘리고, 현행 지역구선거제도와 비례대표선거제도의 결합방식을 연동형으로 전환하면서 양자의 의석비율을 개혁하는 것이다. 이럴 때 비로소 표의 등가성을 요구하는 평등선거의 원칙뿐 아니라 비례대표제도의 이념과 장점 중의 하나인 진정한 의미의 기능대표 내지 전문가대표 및 소수정당 내지 소수세력의 보호가 실현될 수 있고, 다양한 정치세력과 정치적 견해가 대의 내지 반영될 수 있는 정당민주주의를 근간으로 하는 다원적 민주주의를 실현할 수 있는 것이다. 결국 연동형 비례제, 양자의 의석비율 1:1, 의석정수의 400석 내지 500석으로의 증대, 전국단위의 비례대표명부작성 등이 도입되어야 한다. 그리고 이러한 사항들은 모두 선거권·피선거권이라고 하는 기본권의 본질적 내용이자 대의제도와 선거제도라는 통치구조의 조직과 작용에 관한 본질적 사항이므로 법률유보의 원칙에 따라 공직선거법 등에 명문화되어야 할 것이다.

This article addresses a method to increase the proportional representation of the current National Assembly electionsystem. The current mixed member system of the National Assembly Election cannot reflect the exact proportional representation of ballots of Electors. That is, the proportional number of members of Parliament according to the acquired ballots cannot be distributed to the relevant political parties. This violates the equal ballots principle, the proportional representation, and diverse democracy based on the political party system of Article 8 of the Constitution. Such a problem comes from the mixed member majoritarian system of the Public Official Elections Act, too small number of the proportional representation law makers of the National Assembly, inappropriate combination rate of the district members and the proportional representation members, etc. Therefore, the German mixed member proportional system should be introduced to solve the problems. Furthermore, the number of members of the National Assembly has to be enhanced dramatically up to 400 to 500. Besides, the combination rate of the district members and the proportional representation members should be 1:1. The German mixed member proportional system, however, can result in so called overhang seats. To eliminate this side effect, the constituency of the proportional representation should be a single-national constituency. On the other hand, multi-member district system do not have to be adopted to strengthen the proportional representation.

비례성, 연동형, 병립식, 의원정수, 초과의석, 소선거구제, 중대선거구제
Proportional Representation, Mixed Member Proportional, Mixed Member Majoritarian, Number of Members of Parliament, Overhang Seats, Single-Member District System, Multi-Member District System

  • 1. [학술지] 김종갑 / 2017 / 독일의 선거제도 개혁논의와 한국에의 시사점 / 이슈와 논점 (1283)
  • 2. [학술지] 김종갑 / 2017 / 권력구조 개편에 조응하는 선거제도 개혁방안 / 이슈와 논점 (1289)
  • 3. [학술지] 김종갑 / 2017 / 뉴질랜드 비례대표제의 주요 특징 및 시사점 / 이슈와 논점 (1254)
  • 4. [학술지] 김종갑 / 2017 / 독일식 비례대표제의 도입논의와 고려사항 / 이슈와논점 (1245)
  • 5. [단행본] 장영수 / 1995 / 정당과 헌법질서, 심천 계희열박사 화갑기념논문집
  • 6. [기타] 전순옥 / 2016 / 비례대표는 ‘감투 나눠먹기’가 아니다! / 프레시안
  • 7. [학술지] 정연주 / 2002 / 1인 1표 국회의원선거제도의 위헌성 / 헌법논총 / 13
  • 8. [학술지] 정연주 / 1991 / 독일의 선거제도와 우리 선거제도의 문제점 / 인권과 정의 (177)
  • 9. [학술지] 정연주 / 1999 / 대의제도와 정당기속 / 인권과 정의 (276)
  • 10. [학술지] 정연주 / 2004 / 정당민주주의와 지방자치제도- 헌법재판소 2003. 1. 30, 2001헌가4 사건을 중심으로 / 공법연구 / 33 (1) : 493 ~ 1 kci
  • 11. [학술지] 정연주 / 1994 / 현행선거제도의 문제점 / 고시계 / 39 (8)
  • 12. [단행본] 중앙선거관리위원회 / 2005 / 외국의 선거제도 I / 성문기획
  • 13. [기타] 한상희 / 2015 / 그래도 국회의원 수는 늘려야 한다 / 경향신문
  • 14. [학술지] Joachim Behnke / 2010 / “Überhangmandate und negatives Stimmgewicht” : Zweimannwahlkreise und andere Lösungsvorschläge / Zeitschrift für Parlamentsfragen (2)
  • 15. [단행본] Michael Gallagher / 2014 / Comparing democracies 4 : elections and voting in a changing world / SAGE Publications
  • 16. [단행본] Mark P. Jones / 1996 / Electoral laws and the survival of presidential democracies / University of Notre Dame Press
  • 17. [학술지] Bernd Grzeszick / 2014 / Wahlrecht: Ist nach der Reform vor der Reform? – Eine Bewertung des Bundestags- und Europawahlrechts nach den letzten Wahlen / Zeitschrift für Gesetzgebung / 29
  • 18. [단행본] Grzeszick / 2012 / Wahlrecht als materielles Verfassungsrecht / Nomos
  • 19. [단행본] Jarass / 2016 / Grundgesetz für die Bundesrepublik Deutschland / C. H. Beck
  • 20. [단행본] Maunz / 2012 / Grundgesetz Kommentar / Carl Heymanns
  • 21. [단행본] v. Münch / 2000 / Grundgesetz-Kommentar, Bd. 2 / C. H. Beck
  • 22. [단행본] Hans Meyer / 2010 / Die Zukunft des Bundestagswahlrechts / Nomos
  • 23. [단행본] Dieter Nohlen / 2014 / Wahlrecht und Parteiensystem : Zur Theorie und Empirie der Wahlsysteme, Bundeszentrale für Politische Bildung ; Bd. 1470
  • 24. [단행본] Dieter Nohlen / 2009 / Wahlsystemreform / Nomos
  • 25. [단행본] Wolfgang Schreiber / 1998 / Handbuch des Wahlrechts zum Deutschen Bundestag / Carl Heymanns
  • 26. [단행본] Klaus Stern / 1984 / Das Staatsrecht der Bundesrepublik Deutschland, Bd. I / C.H. Beck