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KCI 등재

1920년대 독립군의 인적기반과 재정

Human Resources and Military Funds of Independent Army in the 1920s

열린정신 인문학 연구
약어 : 인문학 연구
2015 vol.16, no.2, pp.429 - 457
DOI : 10.22845/wjoh.2015.16.2.017
발행기관 : 원광대학교 인문학연구소
연구분야 : 기타인문학
Copyright © 원광대학교 인문학연구소
17 회 열람

Human resources of independent army was from righteous army, ex-soldiers of Korean Empire and graduates of national educational institutions founded around 1910. Righteous army growed at national level after the assassination of Empress Myeongseong and proclamation of the ordinance prohibiting topknots in 1895. Then it became one of the main resources for independent army in Manchuria after the annexation. Meanwhile, ex-soldiers graduated from Military School of Korean Empire went to Manchuria and performed a role as leaders to raise new independent army based on their military knowledge and experiences. As they demonstrated their ability in many national educational institutions, some great leaders of independent army appeared in the 1920s. There were two ways to raise the sinews of war of independent army. One way of it was raising money in local area, Manchuria. The other way was getting money from wealthy people or organizations in homeland. These two were important strategy to make budget for independent movement organizations founded since March 1st in 1919. However, fund-raising ways were various according to scale, systemicity and use of human resources of organizations. Bohabdan and Daehandoklipdan also raised money in Manchuria and homeland and then, their destiny was determined by the use of it.

의병, 대한제국육군무관학교, 민족교육기관, 군자금, 보합단, 대한독립단, 대한의군부
righteous army, Miliary School of Korean Empire, national educational institution, military funds, Bohapdan, Daehandoklipdan(Korean Military Corps for Independence), Daehanuigunbu(Korean righteous army)

  • 1. [학술지] 신재홍 / 1991 / 재만 항일독립군의 편성과 맥락 / 산운사학 / 5
  • 2. [학술지] 박환 / 1993 / 1910년대 대한인국민회 시베리아지방총회의 성립과 활동 / 산운사학 / 7
  • 3. [학술지] 張錫興 / 2001 / 광복단결사대의 결성과 투쟁노선 / 한국근현대사연구 / 17
  • 4. [학술지] 김주용 / 2009 / 1920년대 초 독립운동단체의 군자금 모금활동 - 보합단과 대한의군부를 중심으로 - / 한국독립운동사연구 (32) : 189 ~ 32 kci
  • 5. [학술지] 박환 / 2010 / 1930년대 조선혁명군의 국내 군자금 모금 활동 -李先龍의거를 중심으로- / 한국민족운동사연구 (62) : 221 ~ 62 kci
  • 6. [학술지] 박환 / 2010 / 參議府 특파원 李壽興의 의열투쟁과 군자금 모집: 제2의 안중근을 꿈꾸며 / 한국민족운동사연구 (65) : 165 ~ 65 kci
  • 7. [단행본] 홍영기 / 2009 / 한말 후기의병 / 한국독립운동사편찬위원회/독립기념관 한국독립운동사연구소 : 4
  • 8. [학술지] 박민영 / 2009 / 한말중기의병 / 독립기념관 : 216 ~
  • 9. [학술지] 차문섭 / 1973 / 구한말육군무관학교연구 / 아세아연구 / 16 (2)
  • 10. [학술지] 홍윤정 / 2001 / 노백린의 서울에서의 항일투쟁 / 향토서울 / 61
  • 11. [학술지] 박환 / 2012 / 잊혀진 만주지역 독립운동가 金昌煥의 민족운동 / 한국민족운동사연구 (73) : 251 ~ 73 kci
  • 12. [학술지] 박환 / 2002 / 김혁의 민족의식 형성과 민족운동 / 한국독립운동사연구 / 19 : 7 ~ kci
  • 13. [학술지] 김생기 / 2000 / 烏石 金赫의 생애와 활동에 대한 일고찰 / 한국민족운동사연구 / 26
  • 14. [학술지] 한시준 / 1998 / 夢平 黃學秀의 생애와 독립운동 / 史學志 / 31 (宋炳基敎授停年退任紀念號)
  • 15. [학술지] 김주용 / 2009 / 東天 申八均의 독립운동 연구 / 한국민족운동사연구 (60) : 45 ~ 60 kci
  • 16. [학술지] 김주용 / 2014 / 李章寧의 생애와 독립운동 / 한국독립운동사연구 (48) : 5 ~ 48 kci
  • 17. [단행본] 서중석 / 2001 / 역사비평사
  • 18. [학술지] 강일수 / 간도통포를 향하여 자제교육을 권고함 / 신흥교우보 : 8
  • 19. [기타] 독립신문 / 1920 / 北間島 그 過去와 現在
  • 20. [기타] / 1921 / 不逞團 在滿洲ノ部 권 30, 「間島地方ニ於ケル不逞鮮人ノ行動ニ關スル件」 機密제439호, 1921. 10. 22)
  • 21. [기타] / 1921 / 不逞團 在滿洲ノ部 권 30, 「保民會員 暗殺」(제57호, 1921. 10. 26)
  • 22. [기타] 金承學 / 韓國獨立史
  • 23. [기타] 채근식 / 武裝獨立運動秘史
  • 24. [기타] / 1921 / 不逞團關係雜件-滿洲ノ部 권 30, 「安圖縣地方ノ不逞鮮人團ノ情況ニ關スル件」(機密제478호, 1921. 11. 19)
  • 25. [기타] / 1921 / 不逞團 권 30, 「不逞鮮人行動ニ關スル件」(機密공제73호, 1921. 11. 18)
  • 26. [기타] / 1921 / 不逞團 권 30, 「管內不逞鮮人一覽表進達ノ件」(機密公제75호, 1921. 11. 25)
  • 27. [기타] / 1922 / 不逞團 권 31, 「不逞鮮人動靜」(關機高收제1694호-1, 1922. 2. 20)
  • 28. [기타] / 1922 / 不逞團 권 32, 「不逞鮮人竝馬賊行動ニ關スル件」(機密제14호, 1922. 2. 28)
  • 29. [기타] / 1922 / 不逞團 권 30, 「不逞鮮人ノ行動」(關機高秘제3846호-1, 1922. 4. 10)
  • 30. [기타] / 1922 / 不逞團」 권 33, 「興京方面不逞鮮人ノ狀況」(關機高收제8134호-1, 1922. 6. 20)
  • 31. [기타] / 不逞團 권 33, 「南山城子附近ニ於ケル不逞鮮人ノ狀況」(關機高收제8114호-1)
  • 32. [기타] / 1922 / 不逞團 권 33, 「不逞鮮人逮捕ニ關スル件」(機密公제55호, 1922. 8. 28)
  • 33. [기타] / 1922 / 不逞團 권 33, 「不逞鮮人ノ行動」(關機高收제12529호-1, 1922. 9. 13)
  • 34. [기타] / 1922 / 不逞團 권 35, 「不逞鮮人被害ニ關スル件報告」(公제103호, 1922. 12. 19)
  • 35. [기타] / 1922 / 不逞團 권 33, 「不逞鮮人行動ニ關スル件」(機密公제59호, 1922. 9. 5)
  • 36. [기타] / 1922 / 不逞團 권 33, 「不逞鮮人行動ニ關スル件」(機密公제60호, 1922. 9. 5)
  • 37. [기타] / 不逞團 32, 「不逞鮮人ノ行動」(關機高收제3846호-1, 1922. 4. 10)
  • 38. [학술지] 朴杰淳 / 1989 / 1920年代初 國內武裝鬪爭團體의 活動과 推移 / 韓國獨立運動史硏究 / 3
  • 39. [기타] 金正明 / 朝鮮獨立運動 1권 분책
  • 40. [기타] 獨立新聞 / 1921 / 普合團圓被捕
  • 41. [기타] 每日申報 / 1920 / 전율할만한 대음모 발각
  • 42. [기타] 每日申報 / 1921 / 보합단 예심종결
  • 43. [기타] 東亞日報 / 1922 / 체포전의 수분간
  • 44. [기타] 東亞日報 / 1923 / 最後까지 人生唯愛 보합단원 金道源의 사형집행
  • 45. [단행본] 國史編纂委員會 / 1999 / 韓民族獨立運動史資料集 37
  • 46. [기타] / 1921 / 不逞團關係雜件-朝鮮人ノ部-在滿洲ノ部(25) 「大韓義軍府ノ行動ニ關スル件」(機密제32호, 1921년 1월 22일)
  • 47. [단행본] 윤대원 / 대한민국임시정부 수립80주년논문집 상 : 236
  • 48. [단행본] 國史編纂委員會 / 韓民族獨立運動史資料集 38 : 181 ~
  • 49. [기타] 동아일보 / 1922 / 軍政署의 秘書官
  • 50. [기타] 동아일보 / 1923 / 강철구 3년에
  • 51. [단행본] / 1999 / 白凡金九全集 제4권 / 대한매일신보사 : 422
  • 52. [단행본] 國史編纂委員會 / 1998 / 韓民族獨立運動史資料集 34 : 25
  • 53. [기타] / 1924 / 改正大韓統義府 財政條例(1924. 6. 28, 관기고수제13646호-1)
  • 54. [단행본] 신재홍 / 1999 / 항일독립운동연구 / 신서원 : 212
  • 55. [기타] / 1922 / 不逞團關係雜件-朝鮮人의 部-在滿洲의 部 34 문서번호 機密受제1262호-關機高收제15984호 大韓統義府憲章 1922년 11월11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