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KCI 등재

서울 蕩春臺城의 築造過程

The construction process of Tangchundaeseong

서울과 역사
약어 : -
2012 no.80, pp.45 - 107
DOI : 10.22827/seoul.2012..80.002
발행기관 : 서울역사편찬원
연구분야 : 역사학
Copyright © 서울역사편찬원
13 회 열람

蕩春臺城은 도성의 서쪽에 있다고 하여 西城이라고도 불렀는데, 총 길이 5,156m로 仁王山 都城 밑에서 시작하여 香爐峰 남측 분기점까지 남북으로 이어진다. 탕춘대성은 시기를 달리하여 쌓은 遮斷城, 北壁, 南壁으로 구성된다. 창춘대성은 창고들이 건립되므로 인해 이에 대한 방비가 허술하게 되자, 肅宗 41년에 들어 經理廳 도제조 李濡의 건의로 摠戎廳으로 하여금 축성을 담당하게 하여, 대략 봄부터 役事를 시작하여 6월에 畢役하였다. 이 축조구간은 遮斷城(關城)의 역할을 하도록 쌓아진 것으로, 關門, 水門, 좌우 翼城이 결합되었다. 役事는 前水使 趙以健이 都廳을 맡아 총괄하고, 前僉使 申琂이 水門, 前衛將 金華瑞가 城門, 前萬戶 李東芳이 左城, 前司果 李萬杓가 右城을 맡아 축조하였다. 북벽은 차단성의 左城 북변에서 시작하여 香爐峰 남측 분기점까지 이어진다. 肅宗 44년 봄 판중추부사 李濡의 건의에 따라 축성이 결정되고, 윤8월에는 禁軍別將 尹慤를 都廳으로 삼고, 각 軍門의 장교 및 經理廳 소속 군관 중에서 선별하여 감역을 맡을 牌將으로 삼았다. 役事는 윤8월 26일에 시작하여 10월 6일까지 41일간 실시되었다. 나머지 역사는 명년 봄에 다시 시작하기로 하였으나, 반대 의견이 많아 停罷되고 말았다. 이번 役事에서는 南邊의 200여 보를 設築하였다. 그 후 총융사 具聖任의 주관 하에 英祖 29년 2월부터 役事를 시작하여, 2월 15일부터는 甕巖洞 근처에서 石子를 浮出하기 시작하고, 18개월만인 영조 30년 8월에 畢築되었다. 이처럼 북벽은 숙종대에 토성으로 쌓은 것을 영조대에 석성으로 쌓은 것이다. 즉, 土築으로 쌓은 곳은 석축으로 개축하고, 未築處는 석축으로 새롭게 쌓은 것이다. 南壁은 仁王山 都城 밑에서 차단성의 右城 南邊까지이다. 총융사 具聖任은 북벽을 축조하고, 이어서 弘智門 南邊에서 仁王山 都城 밑까지의 1,400보를 계속 축조하려고 하였으나, 摠戎廳의 物力이 떨어져 停役을 하고 말았다. 그 후 具聖任의 뒤를 이은 총융사 李章吾도 英祖 32년 봄부터 役事를 계속하려고 하였으나, 영조는 秋事를 보아 거행하라고 하였다. 이해 7월에는 축성에 따른 物力을 鑄錢을 통해 마련하기로 결정하고, 英祖 33년 3월에는 備邊司에서 漢北門 城堞 繼築을 위한 摠戎廳鑄錢節目을 마련하였다. 이에 따른 남벽에 대한 役事가 어떻게 이루어졌는지는 알 수가 없다.

Tangchundaeseong was called east castle. Because it was southern of a capital city. It's length was 5,156m from Inwang mountain of a capital city to hyangrobong's southern junction. Tangchundaeseong was composed Chadansung and Bukbyeok, Nambyeok, these construction time was different. Construction of Tangchundaeseong's warehouse made low defense. So Gyeongricheong Dojejo Leeyou proposed to construct Tangchundaeseong's Chadansung in King Sukjong 41th. Tangchundaeseong's Chadansung constructed by Chongyungcheong. It's construction was started at spring, It's construction period was about 6 months. During it's construction period, chadansung was constructed. chadansung was composed gwanmun and sumun, left iksung, right iksung. The construction leader was docheong who was Jeonsusa Cho-igeon. Sumun was constructed by Jencheomsa Sineon. Seongmun was constructed by Jeonwijang Kimhwaseo. Jwaseong was constructed by Jeonmaho Leedongbang. Useong was constructed by Jeonsagwa Leemanpyo. Panjungchubusa leeyou proposed to construct Tangchundaeseong's bukbyeok in King Sukjong 44th spring. Tangchundaeseong's bukbyeok was from northern of chadanseong's Jwaseong to hyangrobong's southern junction. Guemgunbyeoljang Yunkak was Docheong. Selected people of each troops officers and Gyeongricheong's officers was paechang to supervise on August. The construction period was 41 days from August 26th to October 6. The remaining construction was planned to restart in next year's spring. But many contrary opinion stop the construction. Southern 200 bo was constructed in this time.

蕩春臺城, 서울城郭, 蕩春倉, 弘智門, 北漢山城, 摠戎廳
Tangchundaeseong, Seoul Fortress, Tangchunchang, Hongjimun, Bukhansanseong, Chongyungcheo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