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2010년대에 들어와서, 대법원판결들을 통하여 ‘후발적 사유에 의한 경정청구’, 또는 줄여 말해서 ‘후발적 경정청구’ 제도의 활용 폭이 크게 넓어지고 있음을 쉽사리 확인할 수 있다. 그런데 어떤 납세의무의 존부나 크기를 다투는 취소소송이 계속 중인 상황에서 이 ‘후발적 사유’가 존재할 때, 납세의무자가 따로 후발적 경정청구를 해야 하는지, 아니면 계속하는 취소소송의 절차 내에서 이를 과세처분이나 경정거부처분의 ‘위법 사유’로 주장할 수 있는지에 관하여 의문이 생길 수 있다. 대법원은 2002년에 함께 선고된 두 건의 판결을 통해서 후자(後者)의 입장을 취하였다(‘대상 판례’). 이는 ‘후발적 사유’가 곧 과세처분이나 신고의 ‘위법 사유’가 된다는 일반론으로 이어지게 되고, 이러한 일반론은 조세쟁송법 체계 전반에 걸쳐 다양한 함의(含意)를 갖게 된다. 이 글은 이와 같이 대상 판례의 일반론을 전제했을 때, 이것이 기존의 조세쟁송법이나 행정구제법의 이론 체계와 어떤 관계에 놓이는지를 살펴보고 이에 따라 더 규명되어야 할 논점들을 제시한다. 또 후발적 경정청구 제도가 가지는 제도적 의의가 절차적 확정력, 또는 이른바 불가쟁력(不可爭力) 개념의 적용 범위에 대한 예외를 설정하는 데 있다는 것이 대상 판례의 이론적 귀결임을 보인다. 후발적 경정청구 제도를 둘러싼 현재의 이론적 논의가 후발적 사유의 범위 획정(劃定)을 둘러싸고 전개되고 있다고 할 때, 후발적 사유가 이와 같이 과세처분·경정거부처분의 위법 사유에 해당한다는 점과, 불가쟁력의 예외를 인정받는 요건이 된다는 점을 모두 균형 있게 감안한 일반론을 도출하는 것이 이 제도에 관한 현재의 주요 쟁점이자 앞으로의 연구과제가 된다.

키워드

후발적 경정청구, 통상 경정청구, 취소소송, 과세처분, 경정거부처분, 위법 사유, 납세의무 성립, 위법 판단의 기준시, 불가쟁력

참고문헌(32)open

  1. [단행본] 김남진 / 2019 / 행정법 I / 법문사

  2. [단행본] 김남철 / 2022 / 행정법 강론 / 박영사

  3. [단행본] 박균성 / 2022 / 행정법론(상) / 박영사

  4. [단행본] 소순무 / 2020 / 조세소송 / 영화조세통람

  5. [단행본] 이창희 / 2022 / 세법강의 / 박영사

  6. [단행본] 이창희 / 2021 / 세법입문 / 박영사

  7. [단행본] 임승순 / 2022 / 조세법 / 박영사

  8. [단행본] 정하중 / 2019 / 행정법개론 / 법문사

  9. [단행본] 정하중 / 2012 / 행정법의 이론과 실제 / 법문사

  10. [단행본] 홍정선 / 2022 / 행정법원론 / 박영사

  11. [학술지] 길용원 / 2018 / 일본의 후발적 경정청구의 사유에 관한 연구- 국세통칙법 제23조 제2항 제1호를 중심으로 - / 국제법무 10 (2) : 31 ~ 63

  12. [학술지] 김경조 / 2020 / “판결에 의한 법령해석의 변경” 관련 국세기본법상 후발적 경정청구 확대에 관한 소고 / 조세연구 20 (1) : 203 ~ 226

  13. [학술지] 김두형 / 2020 / 일반 경정청구와 후발적 경정청구의 관계 - 대법원 2018. 6. 15. 선고 2015두36003 판결을 중심으로 - / 조세법연구 26 (3) : 113 ~ 146

  14. [학술지] 김완석 / 2015 / 후발적 경정청구사유와 관련된 판례의 동향 / 계간 세무사 (겨울)

  15. [학술지] 김중권 / 2021 / 거부처분취소소송에서 위법판단의 기준시점의 문제 - 대상판결: 대법원 2020. 12. 24. 선고 2020두39297 판결 - / 법조 70 (6) : 473 ~ 492

  16. [단행본] 류성욱 / 판례해설(123)

  17. [단행본] 류성욱 / 2020 / 판례 해설(128)

  18. [학술지] 마옥현 / 2014 / 회수불능과 후발적 경정청구[대상판결 : 대법원 2014. 1. 29. 선고 2013두18810 판결] / 조세와 법 7 (1) : 97 ~ 125

  19. [학술지] 박노수 / 2015 / 법인세에서 계약해제로 인한 후발적 경정청구에 관한 소고 / 세무와 회계연구 4 (2) : 81 ~ 128

  20. [학술지] 박종수 / 2011 / 국세기본법 제45조의2 제2항 제1호의 후발적 경정청구 사유로서의 ‘판결’의 의미 / 안암법학 (34) : 143 ~ 174

  21. [단행본] 성열우 / 2001 / 판례 해설(43)

  22. [학술지] 양인준 / 2021 / 후발적 경정청구 사유가 발생한 경우 법인세법상 손익의 귀속시기에 관한 소고- 대법원 2020. 1. 30. 선고 2016두59188 판결을 중심으로 - / 法學論文集 45 (2) : 243 ~ 271

  23. [학술지] 유철형 / 2020 / 후발적 경정청구사유인 ‘판결’의 범위에 관한 연구 - 대법원 2020. 1. 9. 선고 2018두61888 판결을 중심으로 - / 조세법연구 26 (3) : 147 ~ 184

  24. [학술지] 윤지현 / 2010 / 경정거부처분 취소소송의 소송물 ―대법원 2005.10.14. 선고 2004두8972 판결― / 조세법연구 16 (3) : 366 ~ 402

  25. [학술지] 윤지현 / 2016 / 국세기본법에 따른 실체법·절차법 체계 하에서 정확한 담세력에 따른 과세를 어디까지 추구할 수 있는가? -몇몇 대법원 판결들을 중심으로 / 조세법학회 22 (3)

  26. [학술지] 윤지현 / 2016 / 채권자 취소권과 후발적 경정청구 / 조세법연구 22 (2) : 61 ~ 89

  27. [학술지] 윤지현 / 2017 / ‘후발적 사유에 의한 경정청구’가 인정되는 요건에 관한 소고(小考) / 세무와 회계연구 6 (3) : 229 ~ 274

  28. [단행본] 윤진규 / 2017 / 판례해설(114)

  29. [단행본] 이정민 / 2012 / 판례 해설(102)

  30. [단행본] 이중교 / 재판자료(114)

  31. [학술지] 조윤희 / 2014 / 법인세와 후발적 경정청구(대상판결: 대법원 2013. 12. 26. 선고 2011두1245 판결) / 사법 1 (27) : 301 ~ 336

  32. [학술지] 최원 / 2009 / 조세절차법상 확정 단계론 -조세법상 ‘확정’의 개념과 관련하여- / 세무학연구 26 (2) : 77 ~ 1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