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KCI 등재

세대 간 자산 이전과 세대 내 불평등의 증대1990∼2016

Intergenerational Wealth Transfer and Increasing Wealth Inequality within Generation 1990∼2016

동향과 전망
약어 : 동전
2018 no.104, pp.316 - 373
DOI : 10.22813/kssi.2018..104.316
발행기관 : 한국사회과학연구회
연구분야 : 사회과학일반
Copyright © 한국사회과학연구회
73 회 열람

이 연구는 ‘세대(코호트) 간 자산 이전과 세대 내 자산의 불균등한 형성’의 동학을 밝혀내고자 한다. 자산 불평등과 복지 불평등의 관계의 메커니즘을 이해하기위해 이 연구는 우선 한국 경제의 자산 축적 과정에서 어떤 세대가 가장 큰 수혜를 입었고, 어떻게 그 수혜는 다음 세대로 이전되었는지를 묻는다. 이 연구는 자산의 세대 간 이전 과정을 포착하기 위해 자산의 이전과 관련된 ‘가계동향조사’ 자료를 이용하여, 개발 연대기부터 자산 형성에 뛰어든 산업화 세대(1930∼ 1940년대 출생 코호트), 2000년대 이후 자산 형성 전략에 돌입한 민주화 세대(1950년대 후반∼1960년대 후반 출생 코호트), 그리고 산업화 세대의 자산 이전의 수혜 세대인 포스트 민주화 세대(1970년대 및 이후 출생 코호트)의 세대별 자산 형성 및 이전 전략을 비교 분석한다. 이러한 역사적 코호트 간 자산 형성의 전략을 비교 분석함으로써 이 연구는 다음과 같은 발견을 제시한다. 첫째, 자산변동수입은 1930∼1940년대 출생 코호트와 이들의 자녀/손주들인 1970년대 및1980년대 출생 코호트들에게서 높게 나타나고, 시기적으로는 경제 위기 직전 자산 가격이 고점에 이를 때 자산변동수입이 높아진다. 둘째, 자산 계급은 경제 위기 직후에 증여를 통해 자산 이전을 시도한다. 증여와 상속으로 발생하는 자산이전 수입은 1930∼1950년대 출생 코호트와 1980년대 출생코호트들에게서 높게일반논문세대 간 자산 이전과 세대 내 불평등의 증대  371 나타난다. 셋째, 1930년대 부동산 시원 축적기 세대의 세대 내 자산 소비와 세대간 자산 이전이 진행됨에 따라 은퇴한 노인 세대 내부의 자산 불평등이 증가하며, 동시에 현 청년 세대 내 자산 불평등이 함께 늘어난다. 따라서 1930∼1940년대시원 축적 세대의 자산 소비 및 자산이전 활동은 U자 형태의 자산 불평등 곡선을만들어 낸다. 이러한 발견에 기반하여 이 연구는 코호트별 자산과 소득의 축적과이전의 동학이 복지체제 형성에 미치는 영향을 논구한다.

This study explores the dynamics of inter-generational asset transfer and its impacts on the formation of intra-generational asset inequality. The study asks which generation has benefited most from such asset transfer processes and how its benefits became inherited to the next generations. In order to capture the processes by which assets are transferred between generations, we analyze national account information on asset transfer included in Korean Household Surveys (1990∼2016) and Korean Household Finance and Welfare Surveys (2010∼2017). The study compares the asset formation strategies of the generation of ‘industrialization’, which first initiated (collectively) the formation of assets since the developmental era, with those of ‘democratization’ and ‘post-democratization,’ beneficiaries of asset transfers from the generation of ‘industrialization.’ We come up with the following findings: (1) first, the 1930∼1940 and the 1970∼1980 (birth) cohorts have the highest income from asset change (originating from selling assets), and such movements (of asset-selling) reach the highest point right before the economic crises; (2) Second, asset classes attempt to transfer their wealth to the next generations right after the economic crises. such asset income through inheritance is high for the 1930∼1950 and the 1980 birth cohorts; (3) Third, as intra-generational consumption of assets and intergenerational 일반논문세대 간 자산 이전과 세대 내 불평등의 증대  373 asset transfers are being made over time, (3-1) asset inequality within the retired elderly increases; (3-2) simultaneously, asset inequality within the younger generations (20∼30s) also increases. Therefore, asset consumption and asset transfers of the 1930 cohorts generate an U-shaped asset inequality curve across generations. Based on these results, the study discusses the implications of asset accumulation and transfers and their impacts on the formation of the welfare states.

세대 간 사적 이전, 자산 불평등, 복지국가
private inter-generational transfer, wealth inequality, welfare state

  • 1. [단행본] 김도균 / 2018 / 한국복지자본주의의 역사, 서울대학교 아시아연구소총서 / 서울대학교출판부
  • 2. [학술지] 김위정 / 2007 / 세대간 빈곤이행과 영향요인에 관한 연구 / 한국사회학 / 41 (6) : 1 ~ 6 kci
  • 3. [학술지] 김종성 / 2014 / 부모의 사회계층이 자녀의 노동시장 성과에 미치는 효과 / 동향과 전망 (90) : 296 ~ 90 kci
  • 4. [학술지] 김항기 / 2017 / 부동산과 복지국가 : 자산, 부채, 그리고 복지태도 / 한국정치학회보 / 51 (1) : 261 ~ 1 kci
  • 5. [학술지] 김현숙 / 2015 / 우리나라 공동주택 거주 가구의 소득과 주택자산 소유 분포 비교 / 재정포럼
  • 6. [보고서] 김희삼 / 2009 / 한국의 세대 간 경제적 이동성 분석
  • 7. [학술지] 남기곤 / 2008 / 부모의 학력이 자녀의 학력 및 직업지위에 미치는 효과: 국제비교 분석 / 교육재정경제연구 / 17 (1) : 61 ~ 1 kci
  • 8. [학술지] 박재흥 / 2003 / 세대 개념에 관한 연구 코호트적 시각에서 / 한국사회학 / 37 (3) : 1 ~ 3 kci
  • 9. [학술대회] 윤홍식 / 2017 / 상향적 선별주의 복지체제의 형성 / 한국사회정책학회 춘계학술대회 발표문
  • 10. [학술지] 전병유 / 2014 / 소득-자산의 다중격차 ― 소득-자산의 결합분포를 중심으로 ― / 경제발전연구 / 20 (1) : 105 ~ 1 kci
  • 11. [학술지] 전상진 / 2002 / 세대사회학의 가능성과 한계 - 세대개념의 분석적 구분 - / 한국인구학 / 25 (2) : 193 ~ 2 kci
  • 12. [학술지] 전상진 / 2004 / 세대 개념의 과잉, 세대연구의 빈곤-세대연구 방법에 대한 고찰- / 한국사회학 / 38 (5) : 31 ~ 5 kci
  • 13. [학술지] 최은영 / 2014 / 세대 간 직업계층의 이동성 / 지역사회연구 / 22 (1) : 51 ~ 1 kci
  • 14. [학술지] Alhamzawi, R. / 2015 / Model selection in quantile regression models / Journal of Applied Statistics / 42 (2) : 445 ~ 2
  • 15. [학술지] Ansell, B. / 2014 / The political economy of ownership: Housing markets and the welfare state / American Political Science Review / 108 (2) : 383 ~ 2
  • 16. [학술지] Behl, P. / 2014 / Focussed model selection in quantile regression / Statistica Sinica / 24 (2) : 601 ~ 2
  • 17. [학술지] Bossmann, M. / 2007 / Bequests, Taxation, and the Distribution of Wealth in a General Equilibrium Model / Journal of Public Economics / 91 (7–8) : 1247 ~ 7–8
  • 18. [단행본] Bourdieu, P. / 1984 / Distinction: A social Critique of the Judgment of Taste / Harvard University Press
  • 19. [단행본] Bourdieu, P. / 1986 / Handbook of Theory and Research for the Sociology of Education / Greenwood : 241 ~
  • 20. [학술지] Brandolini, A. / 2010 / Asset∼based measurement of poverty / Journal of Policy Analysis and Management / 29 (2) : 267 ~ 2
  • 21. [학술지] Cowell, F. / 2015 / Wealth inequality: A survey / Journal of Economic Surveys / 29 (4) : 671 ~ 4
  • 22. [학술지] Davies, J. B. / 1981 / Uncertain Lifetime, Consumption, and Dissaving in Retirement / Journal of Political Economy / 89 (3) : 561 ~ 3
  • 23. [단행본] Davies, J. B. / 2000 / Handbook of Income Distribution Vol. 1 / Elsevier : 677 ~
  • 24. [학술지] Davies, J. B. / 2011 / The level and distribution of global household wealth / The Economic Journal / 121 (551) : 223 ~ 551
  • 25. [학술지] De Nardi, M. / 2004 / Wealth Inequality and Intergenerational Links / Review of Economics Studies / 71 (3) : 743 ~ 3
  • 26. [학술지] Deaton, A. / 1993 / Intertemporal choice and inequality / Journal of Political Economy / 102 : 384 ~
  • 27. [단행본] Jäntti, M. / 2013 / Income Inequality. Economic Disparities and the Middle Class in Affluent Countries / Stanford University Press : 312 ~
  • 28. [학술지] Jappelli, T. / 2000 / The Dynamics of Household Wealth Accumulation in Italy / Fiscal Studies / 21 (2) : 1 ~ 2
  • 29. [학술지] Karagiannaki, E. / 2017 / The Impact of Inheritance on the Distribution of Wealth: Evidence from Great Britain / Review of Income and Wealth / 63 (2) : 394 ~ 2
  • 30. [학술지] Kertzer, D. I. / 1983 / Generation as a Sociological Problem / Annual Review of Sociology / 9 : 125 ~
  • 31. [학술지] Kotlikoff, L. J. / 1981 / The role of intergenerational transfers in aggregate capital accumulation / Journal of Political Economy / 89 : 706 ~
  • 32. [학술지] Kurz, Karin / 2004 / Labour market position, intergenerational transfers and home-ownership: a longitudinal analysis for West German birth cohorts / European Sociological Review / 20 (2) : 141 ~ 2
  • 33. [보고서] Kuypers, S. / 2016 / Estimation of Joint Income‐Wealth Poverty: A Sensitivity Analysis
  • 34. [보고서] Kuypers, S. / 2017 / The Truly Vulnerable: Integrating Wealth into the Measurement of Poverty and Social Policy Effectiveness
  • 35. [학술지] Lareau, A. / 2002 / Invisible inequality: social class and childrearing in black families and white families / American Sociological Review / 67 : 747 ~
  • 36. [학술지] Lennartz, C. / 2017 / Asset-based Welfare and Social Investment: Competing, Compatible, or Complementary Social Policy Strategies for the New Welfare State? / Housing, Theory and Society / 34 (2) : 201 ~ 2
  • 37. [학술지] Modigliani, F. / 1986 / Life cycle, individual thrift, and the wealth of nations / American Economic Review / 76 : 297 ~
  • 38. [학술지] Modigliani, F. / 1988 / The role of intergenerational transfers and life cycle saving in the accumulation of wealth / Journal of Economic Perspectives / 2 : 15 ~
  • 39. [학술지] Moene, K. O. / 2001 / Inequality, social insurance, and redistribution / American Political Science Review / 95 (4) : 859 ~ 4
  • 40. [학술지] Page, B. R. / 2003 / Bequest Taxes, inter vivo gifts and the bequest motive / Journal of Public Economics / 87 : 1219 ~
  • 41. [학술지] Piketty, T. / 2011 / On the Long-run Revolution of Inheritance: France 1820-2050 / Quarterly Journal of Economics / 126 (3) : 1071 ~ 3
  • 42. [단행본] Piketty, T. / 2014 / Capital in the Twenty‐First Century / Harvard University Press
  • 43. [학술지] Suari-Andreu, E. / 2018 / The retirement‐savings puzzle reviewed: the role of housing and bequests / Journal of Economic Surveys
  • 44. [학술지] Wolff, E. N. / 1996 / International Comparisons of Wealth Inequality / Review of Income and Wealth / 42 (4) : 433 ~ 4
  • 45. [학술지] Wolff, E. N. / 1999 / Wealth accumulation by age cohort in the US, 1962–1992: the role of savings, capital gains and intergenerational transfers / The Geneva Papers on Risk and Insurance-Issues and Practice / 24 (1) : 27 ~ 1
  • 46. [학술지] Wolff, E. N. / 2002 / Inheritances and Wealth Inequality: 1989-1998 / American Economic Review / 92 (2) : 260 ~ 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