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KCI 등재

중국 宋代의 「墬理圖」의 모사와 지명 조사

Redrawing 「Geographical Map」(Di Li Tu) and identifying names of the places at Song Dynasty in China

한국고지도연구
약어 : -
2020 vol.12, no.1, pp.45 - 79
DOI : 10.22787/oldmap.2020.12.1.003
발행기관 : 한국고지도연구학회
연구분야 : 지리학
Copyright © 한국고지도연구학회
인용한 논문 수 :   -  
40 회 열람

「지리도」는 중국 남송 때 황상이라는 학자의 의하여 그려진 북송대의 중국본토 및 주변지역을 그린 지도이다. 중국의 왕조사에서 송나라(960~1279년, 319년간)는 북송(960~1127년)과 남송(1127~1279년)으로 구분된다. 송나라는 중국의 문화가 크게 발달했던 시기로 특징지어 지며 지리의 분야도 더불어 다양하게 발전되어 왔다. ‘지도’로는 시대순으로 「九域守令圖」, 「禹跡圖」, 「古今華夷區域總要圖」, 「華夷圖」, 「墬理圖」, 「輿地圖」가 제작되어 왔다. ‘地誌’의 분야에서는 『元豐九域志』, 『太平寰宇記』 등이 발행되어 지리지식의 발전을 말해 주고 있다. 「지리도」는 중국에 남아 있는 초기의 중국전도 중 가장 풍부한 내용을 담고 있어 당대의 다른 지도 뿐 아니라 후대의 지도를 이해하는데 도움이 된다. 현대에 들어와 외국의 일부 학자들이 「지리도」를 연구하였으나 지도의 핵심이라고 할 수 있는 지명에 대한 조사가 충분하지 않다. 여기서는 「지리도」를 선명하게 다시 그리고, 「지리도」의 분석과 함께 800개에 가까운 모든 지명에 대해 지금의 어디인가를 조사하여 「지리도」를 이해하는데 중점을 두고자 하였다.

「Geographical Map」(Di Li Tu) was drawn by Huang Shang, a scholar at South Song Dynasty. in China describing mainland of North Song Dynasty and surrounding area. The Song Dynasty (960-1279, 319 years) is divided into the Northern Song (960-1127) and the Southern Song(1127-1279). The Song Dynasty is characterized by a period of great development in Chinese culture, and the field of geography had also been steadily developed in various ways. On the map, Administrative Map of Nine Districts(Jiu Yu Shou Ling Tu), Map of the Tracks of Yu the Creat(Yu Ji Tu), Map of China and Barbarian Countries(Hua Yi Tu), Essential map of ancient and present China and the Barbarian countries(Gu Jin Hua Yi Qu Yu Zong Yao Tu), Atlas of the Past Dynasties(Lidai Dili Zhizhangtu), Terrestrial Map(Yu Di Tu) have been produced in chronological order. In the field of topographical, “The Yuanfeng Treatise of the Nine Regions(Yuanfeng Jiuyu Zhi)” and “Universal Geography of the Taiping Era [976-983](Taiping Huanyu Ji)” were published and they indicated the improvement of geographical knowledge.「Geographical Map」 contains the most abundant content so it is useful to understand not only other maps at the same age but also the ones of later. Presently some foreign scholars studied 「Geographical Map」 but examination for the name of the places which is the keys of map is not sufficient. For this reason, would like to focus on understanding the 「Geographical Map」 by clearly re-drawing and studying the present location of nearly 800 places with old names on it.

지리도, 황상, 왕치원, 구역수령도, 우적도, 화이도, 고금화이구역총요도, 역대지리지장도, 여지도
Geographical Map(Di Li Tu), Huang Shang, Wang Zhiyuan, Administrative Map of Nine Districts(Jiu Yu Shou Ling Tu), Map of the Tracks of Yu the Creat(Yu Ji Tu), Map of China and Barbarian Countries(Hua Yi Tu), Essential map of ancient and present China and the Barbarian countries(Gu Jin Hua Yi Qu Yu Zong Yao Tu), Atlas of the Past Dynasties(Lidai Dili Zhizhangtu), Terrestnal Map(Yu Di Tu).

  • 1. [기타] 증공량 / 무경총요武經總要
  • 2. [단행본] 曹婉如 / 1999 / 中國古代地圖集(戰國-元) / 文物出版社
  • 3. [단행본] 담기양 / 1982 / 중국역사지도집(수, 당, 오대, 북송-요, 남송-금)
  • 4. [단행본] 진순신 / 2011 / 이야기중국사 4~5권 / 살림
  • 5. [단행본] 성지문화사 / 2005 / 중국전도(1:6,000,000) / 성지문화사
  • 6. [단행본] 錢正 / 1999 / 中國古代地圖集(戰國~元)
  • 7. [학술지] 靑山正雄 / 1940 / 南宋淳祐の石刻地理圖について / 東方學報
  • 8. [학술지] 靑山正雄 / 1940 / 栗棘庵所藏の輿地圖について / 東方學報 / 37
  • 9. [인터넷자료] / 위키백과
  • 10. [인터넷자료] / 百度百科
  • 11. [인터넷자료] / 中國古代地名大事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