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본 논문은 1960~70년대 ‘여류시’의 특징과 그 의미 변화를 분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1960년대 여성 시인의 증가로 ‘여류시’는 문단에서 문학적 유파로 존재했지만 별다른 주목을 받지 못했다. 본 논문은 『한국여류문학전집』에 포함된 ‘여류시 전집’을 토대로 문학사에서 거의 다뤄지지 않았던 1960~70년대 ‘여류시’의 특징에 주목했다. 당시 ‘여류시’는 여성의 자유로운 창작 활동을 제한하는 협소한 의미로 통용되었고 ‘여류시’ 비평은 문단에서 소수였던 여성 시인들을 일반화하면서 그 내부의 차이나 변화를 볼 수 없게끔 만들었다. 여성 시인들은 당대의 문학 이념이나 규범으로부터 제약받고 있었기 때문에 비평 담론들과 거리두기를 통해서 자신들의 감정을 옹호하고 긍정하는 태도를 보여주었다. ‘여류시’에서 감상성의 원인으로 지목받았던 ‘여성 화자’는 여성의 현실과 소외를 드러내게 되었다. 여류시는 익숙하고 친숙한 공간과 풍경들을 낯설고 불편하게 만나는 상황들을 포착함으로써 ‘시적인 것’의 의미를 확장시켰다. 이는 당시의 여성지 담론이나 기존의 여성 화자가 지닌 시적 효과와는 다르다는 점에서 이 시기 ‘여류시’의 중요한 성취라 할 수 있다. ‘여류시 전집’에서 ‘여류시’의 의미 변화를 잘 보여준 시인으로 강은교와 노향림을 언급할 수 있다. 강은교는 고대 여성 신화에서 억압당한 여성의 이미지를 찾아 활용했다는 점에서 의미가 있으며, 노향림은 회화적 이미지의 실험을 통해 ‘여류시’의 기존 의미에서 탈피하고 있다.

키워드

1960~70년대 여류시, 한국여류문학전집, 여성 화자, 강은교, 노향림

참고문헌(27)open

  1. [단행본] 한국여류문학인회 / 1977 / 한국대표여류문학전집 4 / 을유문화사

  2. [단행본] 한국여류문학인회 / 1979 / 한국여류문학전집 10 / 한국교양문화원

  3. [기타] / 시문학

  4. [기타] / 사상계

  5. [기타] / 여류문학

  6. [기타] / 여류시

  7. [기타] / 월간문학

  8. [기타] / 청미

  9. [단행본] 강은교 / 2007 / 어느 불면의 백작 부인을 위하여 / 이룸

  10. [단행본] 강은교 / 1974 / 풀잎 / 민음사

  11. [단행본] 강은교 / 2006 / 허무집 / 서정시학

  12. [단행본] 김경복 / 2005 / 강은교의 시세계 / 천년의 시작

  13. [단행본] 김승희 / 2001 / 현대시 텍스트 읽기 / 태학사

  14. [학술지] 김은석 / 2016 / 1960∼70년대 여성 시의 정전화 과정과 ‘센티멘털리즘’의 문제: 『한국여류문학전집』을 중심으로 / 여성문학연구 (39) : 303 ~ 335

  15. [단행본] 김지향 / 2002 / 문단유사 / 월간문학출판부 : 208

  16. [단행본] 노향림 / 1998 / 후투티가 오지 않는 섬 / 창작과비평사

  17. [학술지] 박수경 / 2009 / 강은교초기시에나타나는여성성연구 / 교육이론과실천 (19) : 145 ~ 180

  18. [단행본] 아이리스 매리언 영 / 2017 / 차이의 정치와 정의 / 모티브북

  19. [단행본] 안 뱅상 뷔포 / 2000 / 눈물의 역사 / 동문선

  20. [단행본] 원형갑 / 1975 / 신한국문학전집 38권 / 어문각

  21. [단행본] 이혜령 / 2007 / 한국소설과 골상학적 타자들 / 소명출판

  22. [단행본] 장미혜 / 2017 / 한국여성·가족·사회변화70년 / 한국학중앙연구원출판부

  23. [단행본] 조지 레이코프, M 존슨 / 2006 / 삶으로서의 은유 / 박이정

  24. [단행본] 청미동인회 / 2014 / 청미:50주년 기념 총집 1963~2013 / 마을

  25. [학술지] 최경희 / 2016 / 1960~1970년대 여성지를 통해본 근대화의 젠더 양상 연구 -『여원』, 『여상』, 『주부생활』에 나타난 근대화의 혼종적 성격을 중심으로- / 한국문학이론과 비평 20 (4) : 313 ~ 331

  26. [단행본] 팸 모리스 / 1997 / 문학과 페미니즘 / 문예출판사

  27. [학술지] 한영옥 / 2010 / 노향림 시 이미지의 특성 연구 - 초기 시를 중심으로 / 한국문예비평연구 (31) : 5 ~ 3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