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KCI 등재

한국어 3중 대립 파열음의 발성 유형의 변화를 고려한 발음 교육 방안 모색

A Study on Teaching Methods of Korean Plosives Considering Recent Changes in the Three-way Phonation Contrast

어문론총
약어 : EMLC
2018 no.76, pp.9 - 33
DOI : 10.22784/eomun.2018..76.9
발행기관 : 한국문학언어학회
연구분야 : 한국어와문학
Copyright © 한국문학언어학회
13 회 열람

본 연구의 목적은 한국어 파열음 체계의 발성 유형의 변화 양상을 조사하고, 한국어 교사 교육 자료와 학습자 교육 자료 조사를 바탕으로 발성 유형에 따른 파열음 유형 교육 현황을 분석하고, 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교수 지역과 교수자의 언어 배경을 고려한 한국어 파열음 교육 방안을 제시하는 것이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먼저 파열음 체계의 발성 유형의 변화 양상을 관찰한 결과, 전통형이 주로 사용되는 지역과 혁신형이 주로 사용되는 지역, 전통형과 혁신형의 중간 형태가 사용되거나 전통형과 혁신형이 혼재하는 지역, 총 세 가지 유형의 지역이 공존하고 있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둘째, 교육 자료 분석을 통해 3중 대립 파열음에 대한 교육 현황을 살펴본 결과, 교사 교육 자료의 경우, 어학적 측면에서나 교육 방안 제시 측면에서나 평음과 격음을 기의 유무나, 기의 정도 차이로 설명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학습자 교육 자료의 경우, 평음과 경음 간 변별 능력 학습에 주의를 기울이는 자료는 있는 데 반해, 평음과 격음 간 변별 능력 학습에 별도의 주의를 기울이는 자료는 관찰되지 않았다. 이러한 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본고는 변화하고 있는 파열음 체계를 교수하는 데에 현재의 교육 방안아 가지는 한계를 기술하고, 그 한계를 보완할 수 있는 교육 방안을 제시하였다.

The purposes of this study are to investigate the changing patterns of phonation types of Korean plosives, to analyze current aspects of teaching plosives based on an analysis of materials both for Korean teachers and for Korean learners, and to suggest a teaching method for Korean plosives considering the language background of teachers and teaching regions. As a result of observing the changing patterns of phonation types of the plosive system, three types of status were found: a region where the innovational type is mainly used, a region where the traditional type is mainly used, and areas where a medium form is used or traditional and innovational types coexist. Based on an analysis of teaching materials, teaching materials for teachers seem to explain the difference between lenis and aspirated with the presence or absence of aspiration or the level of aspiration discussed both theoretically and practically. Teaching materials for learners, on the other hand, seem to focus on building an ability to discriminate between lenis and tense, but no additional attention is paid to discrimination between lenis and aspirated. Based on the results of the analysis, the study finally presents two types of teaching methods for lenis, which change in consideration of the present distribution of traditional and innovational types and the language backgrounds of teachers.

Three-way Plosives, Phonation Types, Variations of Lenis, VOT of Lenis, Teaching Pronunciation

  • 1. [단행본] 고려대학교 한국어문화교육센터 / 2008 / 재미있는 한국어 1~6 / 교보문고
  • 2. [단행본] 권성미 / 2017 / 한국어 발음 교육론 / 한글파크
  • 3. [학술지] 김소야 / 2006 / 한국어 평음/경음/기음에 대한 중국인의 지각적 범주 연구 / 이중언어학 (32) : 57 ~ 32 kci
  • 4. [학술지] 김원보 / 2013 / 제주방언 화자의 세대별(20대/50대/70대) 어두 파열음의 VOT, F0 및 파열강도(burst energy) 변이양상 / 탐라문화 (44) : 123 ~ 44 kci
  • 5. [학위논문] 김은선 / 2014 / 영어와 한국어 무성폐쇄음의 성대진동개방시간과 고저 성조와의 관계 : 경남방언 화자를 중심으로
  • 6. [단행본] 김중섭 / 2014 / 경희대 한국어 듣기 1~6 / 도서출판하우
  • 7. [학술지] 김현기 / 2002 / Experimental Phonetic Study of Kyungsang and Cholla Dialect Using Power Spectrum and Laryngeal Fiberscope / 음성과학 / 9 (2) : 25 ~ 2 kci
  • 8. [학술지] 김현기 / 2006 / 한국어 방언 음성의 실험적 연구 / 음성과학 / 13 (3) : 49 ~ 3 kci
  • 9. [단행본] 박숙희 / 2013 / 한국어 발음 교육론 / 역락
  • 10. [단행본] 박시균 / 2013 / 한국어 음성 음운 교육론 / 한국문화사
  • 11. [학술지] 변희경 / 2016 / 서울 방언 어두 폐쇄음의 후속모음 F0 / 말소리와 음성과학 / 8 (1) : 25 ~ 1 kci
  • 12. [단행본] 서울대학교 언어교육원 / 2009 / 한국어 발음 47 / 랭기지플러스
  • 13. [학술지] 손형숙 / 2011 / 단어 내 위치에 따른 한국어 폐쇄음의 VOT 연구: 대구지역어 화자를 대상으로 / 언어과학연구 (59) : 149 ~ 59 kci
  • 14. [단행본] 신지영 / 2015 / 한국어 발음 교육의 이론과 실제 / 한글파크
  • 15. [학술지] 오재혁 / 2013 / 중국인 한국어 학습자의 발성 유형에 따른 한국어 폐쇄음의 변별 지각 양상 / 한국언어문화학 / 10 (1) : 57 ~ 1 kci
  • 16. [학술지] 이정현 / 2010 / 전남어와 서울어의 폐쇄음 실현 / 언어학 / 18 (1) : 93 ~ 1 kci
  • 17. [학위논문] 장혜진 / 2012 / 국어 어두 장애음의 음향적 특성과 지각 단서
  • 18. [학술지] 장혜진 / 2010 / 어두 폐쇄음의 발성 유형 지각에서 나타나는 방언 간 차이- 서울 방언과 대구 방언의 비교를 바탕으로- / 한국어학 / 49 : 369 ~ kci
  • 19. [학술지] 조민하 / 2003 / 경상 방언과 서울 방언의 VOT 지속 시간에 대한 비교 연구 / 말소리 (46) : 1 ~ 46 kci
  • 20. [학술지] 한경임 / 2014 / 한국어 폐쇄음 VOT: 제주방언과 대구방언 비교 / 코기토 / 75 : 157 ~ kci
  • 21. [단행본] 허용 / 2006 / 외국어로서의 한국어 발음교육론 / 박이정
  • 22. [학술지] Beckman, J. / 2011 / Rate effects on Swedish VOT: Evidence for phonological overspecification / Journal of Phonetics / 39 (1) : 39 ~ 1
  • 23. [학술지] Bijankhan, M. / 2009 / Voice onset time in Persian initial and intervocalic stop production / Journal of the International Phonetic Association / 39 (3) : 335 ~ 3
  • 24. [기타] Chen, L. / 2007 / VOT productions of word-initial stops in Mandarin and English: A cross-language study / ROCLING 2007 Poster Papers : 303 ~
  • 25. [기타] Choi, H. / 2013 / Acoustic Cues for the Korean Stop Contrast: Dialectal Variation / Universitätsbibliothek Johann Christian Senckenberg
  • 26. [학술지] Clynes, A. / 2011 / Standard Malay(Brunei) / Journal of the International Phonetic Association / 41 : 259 ~
  • 27. [학술지] Cruz-Ferreira, M. / 1995 / European Portuguese / Journal of the International Phonetic Association / 25 (2) : 90 ~ 2
  • 28. [학술지] Granlund, S. / 2012 / An acoustic–phonetic comparison of the clears peaking styles of Finnish–English late bilinguals / Journal of Phonetics / 40 : 509 ~
  • 29. [학술대회] Holliday, J. / 2011 / Dialectal variation in the acoustic correlates of Korean stops / Proceedings of the 17th International Congress of Phonetic Sciences : 878 ~
  • 30. [학술지] Holliday, J. / 2014 / The perceptual assimilation of Korean obstruents by native Mandarin listeners / The Journal of the Acoustical Society of America / 135 (3) : 1585 ~ 3
  • 31. [학술지] Kang, K. / 2008 / Clear speech production of Korean stops: Changing phonetic targets and enhancement strategies a / The Journal of the Acoustical Society of America / 124 (6) : 3909 ~ 6
  • 32. [학술지] 강경호 / 2010 / Generational Differences in the Perception of Korean Stops / 말소리와 음성과학 / 2 (3) : 3 ~ 3 kci
  • 33. [학술지] 강경호 / 2013 / F0 Perturbation as a Perceptual Cue to Stop Distinction in Busan and Seoul Dialects of Korean / 말소리와 음성과학 / 5 (4) : 137 ~ 4 kci
  • 34. [학술지] Kang, Y. / 2014 / Voice Onset Time merger and development of tonal contrast in Seoul Korean stops: A corpus study / Journal of Phonetics / 45 : 76 ~
  • 35. [학술지] Keating, P. / 1984 / Phonetic and phonological representation of stop consonant voicing / Language / 60 (2) : 286 ~ 2
  • 36. [학술지] Lisker, L. / 1964 / A cross-linguistic study of voicing in initial stops: Acoustic measurements / Word / 20 : 384 ~
  • 37. [학술지] Lousada, M. / 2010 / Temporal acoustic correlates of the voicing contrast in European Portuguese stops / Journal of the International Phonetic Association / 40 (3) : 261 ~ 3
  • 38. [학술지] Ogut, H. / 2006 / Voice onset times for Turkish stop consonants / Speech Communication / 48 : 1094 ~
  • 39. [학술지] Oh, E. / 2011 / Effects of speaker gender on voice onset time in Korean stops / Journal of Phonetics / 39 (1) : 59 ~ 1
  • 40. [학술지] Rosner, B. / 2000 / Voice-onset times for Castilian Spanish initial stops / Journal of Phonetics / 28 (2) : 217 ~ 2
  • 41. [학술지] Silva, D. / 2006 / Variation in voice onset time for Korean stops: A case for recent sound change / Korean Linguistics / 13 (1) : 1 ~ 1
  • 42. [학술지] Silva, D. / 2006 / Acoustic evidence for the emergence of tonal contrast in contemporary Korean / Phonology / 23 (2) : 287 ~ 2
  • 43. [학술지] Šuštaršič, R. / 1995 / Slovene / Journal of the International Phonetic Association / 25 (2) : 86 ~ 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