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이 글은 국어과 교육과정 분석을 통해 문법교육 내용으로서 ‘문법’과 ‘활동’에 대해 고찰하고 바람직한 문법교육 내용 개선 방향에 대하여 논의하였다. 우선, 문법교육 내용으로서의 문법은 어문규범 지식, 구조주의 문법, 기능주의 문법의 세 가지 유형으로 구분되었고, 문법교육 내용으로서의 활동은 이해 활동, 탐구 활동, 규범적 사용 활동, 생산적 사용 활동, 태도 형성 활동의 다섯 가지 유형으로 분류하였다. ‘문법의 사용’측면에서 교육 내용을 고찰한 결과, 텍스트 층위의 의미·기능 중심 문법을 강조하면서도 구조주의 문법 중심으로 교육 내용이 구조화되었고, 구조주의 문법을 ‘생산적 사용 활동’에 적용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교육내용으로서의 ‘문법’을 ‘생산적 사용 활동’에 직접 연결하기 위해서는 두 가지 문제를 선결해야 한다. 첫째, 모어 화자의 언어사용 과정에서 문법이 담당하는 역할을 인지적으로 규명해야 한다. 둘째, 기능적 관점에서 새롭게 기술된 기능주의 문법의 개발이 시급하다. 기능주의 문법의 조건은 의사소통 단위의 의미·기능 중심 기술, 언어에 대한 외부지향적 시각의 기술, 사용역 및 장르별 언어자질의 특성을 말뭉치 분석 방법을 활용하여 기술된 문법이어야 한다.

키워드

문법교육 내용, 구조주의 문법, 기능주의 문법, 활동, 사용역

참고문헌(30)open

  1. [기타] / 제1차 국어과 교육과정 ~ 2015년 개정 국어과 교육과정

  2. [학술지] 구본관 / 2009 / 패러다임의 변화와 문법 교육의 방향 / 어문학 (103) : 1 ~ 40

  3. [학술지] 구본관 / 2016 / 문법 연구의 변화와 문법 교육의 변화 - 탈문법학 시대의 문법 교육의 새로운 지향 / 국어교육연구 (37) : 197 ~ 254

  4. [단행본] 김광해 / 1997 / 국어지식 교육론 / 서울대학교 출판부

  5. [학위논문] 김명순 / 2003 / 활동 중심 읽기 교육의 내용 연구

  6. [단행본] 김봉주 / 1988 / 개념학 –의미론의 기초- / 한신문화사

  7. [학위논문] 김은성 / 2006 / 국어 문법 교육의 태도 교육 내용 연구

  8. [학술지] 김호정 / 2006 / 담화 차원의 문법 교육 내용 연구 / 텍스트언어학 21 : 145 ~ 177

  9. [학술지] 남가영 / 2007 / 문법교육의 ‘지식의 구조’ 체계화 방향 / 국어교육 (123) : 341 ~ 374

  10. [학술지] 남가영 / 2009 / 문법지식의 응용화 방향 -신문텍스트에 나타난 '-(다)는 것이다' 구문의 의미기능을 중심으로- / 형태론 11 (2) : 313 ~ 334

  11. [학술지] 민현식 / 2008 / 국어학의 성과와 미래 국어교육에의 적용 / 국어교육 (126) : 185 ~ 220

  12. [학술지] 박수자 / 1998 / 구성주의와 언어 학습 경험 / 국어교육연구 5 : 143 ~ 176

  13. [학술지] 유혜령 / 2014 / 텍스트 중심 문법교육의 내용 구축에 대한 제언 / 문법 교육 22 : 63 ~ 90

  14. [학술지] 이관규 / 2007 / 문법 교육 연구의 현황과 새로운 방향 / 국어교육 (123) : 93 ~ 130

  15. [학술지] 이관희 / 2010 / 문법으로 텍스트 읽기의 가능성 탐색 - 신문 텍스트에 쓰인 ‘-도록 하-’와 ‘-게 하-’를 중심으로 / 국어교육연구 (25) : 119 ~ 161

  16. [학술지] 이문규 / 2003 / 국어지식의 가치와 교육방향 / 국어교육연구 35 : 149 ~ 170

  17. [학술지] 이병규 / 2005 / 국어 지식 교육의 성격과 국어과 교육의 영역 체계 / 국어교육학연구 (22) : 243 ~ 274

  18. [학술지] 이병규 / 2006 / 문법영역의 내용 선정 방법 연구 / 문법교육 4 : 95 ~ 130

  19. [단행본] 이홍우 / 2006 / 지식의 구조와 교과 / 교육과학사

  20. [학위논문] 제민경 / 2015 / 장르 문법 교육 내용 연구

  21. [학술지] 주세형 / 2005 / 통합적 문법 교육 내용 설계 -‘의미를 구성하는 문법 지식’을 중심으로- / 이중언어학 (27) : 203 ~ 226

  22. [학술지] 주세형 / 2005 / 문법 교육내용의 설계를 위한 기능 중심성 원리에 대한 연구 / 한국어학 (26) : 327 ~ 362

  23. [학술지] 주세형 / 2006 / 국어지식 영역에서의 지식의 성격과 내용 체계화 방법론 연구 / 국어교육학연구 (25) : 105 ~ 154

  24. [단행본] 최미숙 / 2016 / 국어교육의 이해 / 사회평론

  25. [단행본] 최현섭 / 2005 / 국어교육학개론 / 삼지원

  26. [단행본] Bruner, J. S / 1969 / The Process of Education / 재동문화사

  27. [단행본] Chafe W. / 2006 / 담화와 의식과 시간–언어의식론 / 한국문화사

  28. [단행본] Halliday / 1993 / 언어 과학과 언어 교수

  29. [단행본] Hoff, E / 2006 / 언어발달 / 시그마프레스

  30. [단행본] Stern, H. H / 1995 / 언어교수의 기본 개념 / 도서출판 하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