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KCI 등재

발달지연 유아 어머니의 자기효능감이 양육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 자원보존이론을 중심으로

The Influence of Maternal Self-efficacy on Parenting Stress in Family of Young Children at Risk for Developmental Delays: Based on the Conservation of Resource Theory

한국장애인복지학
약어 : 한장복학
2014 no.24, pp.109 - 130
DOI : 10.22779/kadw.2014..24.109
발행기관 : 한국장애인복지학회
연구분야 : 사회복지학
Copyright © 한국장애인복지학회
20 회 열람

본 연구는 발달장애 징후를 보이기 시작하는 발달지연 유아를 양육하는 부모의 자기효능감과 양육 스트레스의 관계에서 사회적 지지와 지역사회 자원의 매개효과를 검증하고자 한다. Hobfoll(1988)의 자원보존이론을 바탕으로 자기효능감, 사회적 지지와 지역사회자원, 그리고 양육스트레스의 사이의 연관성을 규명하고자 하였고, 구조방정식을 이용하여 연구모형을 분석하였다. 분석결과에 따르면, 첫째, 어머니의 자기효능감은 양육스트레스에 직접적인 부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지역사회 자원은 어머니의 자기효능감과 양육스트레스를 매개함으로써 간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사회적 지지는 어머니의 양육 스트레스에 유의미한 영향관계를 보이지 않았다. 본 연구결과에 기반으로 낮은 자기효능감을 가진 어머니들이 자신을 둘러싼 자원들을 적극적으로 인식하고 활용할 수 있도록 사회적 개입을 제안하고, 거시적 차원에서는 발달장애 유아의 양육편의를 증진하는 지역사회 인프라확충과 현 사회적 지지 체계를 재검토할 필요성을 제안하였다.

This study examines the mediating effects of community resource and social support between mother's self-efficacy and parenting stress in the family of young children at risk for developmental delays. Based on the Conservation of Resource Theory (COR: Hobfoll, 1988), this study hypothesizes the mediating roles of social support and community resource between mother's self-efficacy and parenting stress and analyzes the hypothesized model using structural equation modeling(SEM).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 mother's self-efficacy directly influences the level of parenting stress. Second, community resource mediates the relationship between mother's self-efficacy and parenting stress. Third, social support perceived by the mothers is not significantly related to parenting stress. Based on these results, this study suggests several implications such as developing a social intervention plan to encourage mothers to acknowledge the possible resources and utilize them; developing more family-friendly neighborhoods for families with children with developmental delays or at risk; and conducting a research related to the needs of parents in order to provide social support.

발달지연 유아, 양육 스트레스, 자기효능감, 지역사회 자원, 사회적 지지
young children at risk for developmental delays, self-efficacy, parenting stress, community resource, social suppor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