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KCI 등재

음식료산업의 온실가스 배출량 결정요인 분석: 배출권거래제 참여 기업을 대상으로

Determinants of carbon emissions in the food and beverage industry: Evidence from firms participating emission trading scheme

기업과혁신연구
약어 : JCI
2021 vol.44, no.2, pp.23 - 33
DOI : 10.22778/jci.2021.44.2.23
발행기관 : 조선대학교 지식경영연구원
연구분야 : 무역학
Copyright © 조선대학교 지식경영연구원
3 회 열람

지속적으로 강화되고 있는 환경 규제에 대응하기 위해 국내에서는 2015년 시장 메커니즘을 기반으로 온실가스를 거래하는 배출권 거래제가 도입되었다. 배출권거래제의 도입 및 초기 시행 단계를 거쳐 2021년부터 제 3차 배출권거래제가 본격 시행되면서 배출권거래제를 보다 효율적으로 운영하고 참여 기업들의 한계저감 비용을 줄이기 위해서는 기업들의 탄소 배출에 영향을 미치는 주요 요인을 식별하고 이를 바탕으로 한중장기 온실가스 감축정책의 설계 및 수립이 필요하다. 따라서 본 연구는 그동안 배출권거래와 관련하여 활발한 연구가 진행되지 않았던 음식료 기업들을 대상으로 탄소 배출에 영향을 미치는 잠재적인 요인들을 분석하고 특히 연구개발 투자 등 기업의 혁신 활동과 탄소 배출 간의 관계를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배출권거래제에 참여하고 있는 음식료 관련 기업들의 혁신 활동은 탄소 감축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영향을 주지않았다. 음식료산업에서 기술진보가 빠르게 이루어지는 분야는 신제품⦁신소재 개발, 유통 및 포장 관련 신기술 개발 등 탄소 저감을 위한 기술개발 보다는 제품 및 생산 공정의 효율 향상 분야이다. 따라서 동 산업의 혁신활동은 온실가스 배출량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효과가 없다는 결론이 도출되었다고 판단된다. 반면탄소 집약도와 에너지 집약도의 경우 5% 유의 수준에서 탄소 배출량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것으로 확인되었다. 따라서 음식료산업에서의 효율적인 온실가스 감축을 위해서는 전반적인 혁신활동 활성화를 통한 지원보다는 에너지 소비 및 생산 공정에서의 직접적인 온실가스 저감을 위한 신기술 및 공정 기술 개발 지원이 보다 효과적이라는 결론이 도출되었다.

The To cope with the ever-increasing environmental regulations, Korean emission trading scheme (KETS) has been established based on a market mechanism in 2015. In order to operate the KETS efficiently and reduce the marginal abatement cost of firms, it is essential to analyze the main factors affecting carbon emissions and design valid policies for industries. This study investigates the potential factors affecting carbon emissions and examines the relationship between innovation activity such as R&D investment and emissions based on food and beverage firm-level data participating in the Korean Emission Trading Scheme (KETS). The results show that carbon emissions from food and beverage industry has not influenced by innovation activity. The rapid technological progress in the food and beverage industry is related to improving the efficiency of products and production processes rather than developing technologies to carbon emissions. Therefore, it is concluded that innovation activities in this industry have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effect on carbon emission reductions. On the other hand, it is confirmed that carbon intensity and energy intensity impact on carbon emissions at the 5% significance leve

탄소배출량, 탄소배출량 결정요인, 음식료산업, 패널 분석
Carbon Emissions, Determinants of carbon emissions, Food and Beverage Industry, Panel Analysis

  • 1. [단행본] 민인식 / 2012 / STATA 패널데이터 분석 / 지필미디어
  • 2. [학술지] 박진석 / 2020 / 우리나라 경제성장과 기술진보의 관계에 관한 연구 / 기업과혁신연구 / 43 (3) : 55 ~ 3 kci
  • 3. [학술지] 이준원 / 2019 / R&D 투자를 통한 생산성 변화가 OFDI에 미치는 영향 / 기업과혁신연구 / 42 (2) : 23 ~ 2 kci
  • 4. [학술지] 유종민 / 2017 / 한국 온실가스 감축정책의 효과: 배출권거래제 전후 비교 / 환경정책 / 25 (2) : 231 ~ 2 kci
  • 5. [학술지] 윤상용 / 2020 / 성장기회와 불확실성이 R&D 투자에 미치는 영향 / 기업과혁신연구 / 43 (1) : 71 ~ 1 kci
  • 6. [기타] / 인증 배출량 / 환경부 배출권등록부시스템
  • 7. [기타] 환경부 온실가스정보센터 / 명세서 배출량 통계 에너지 사용량
  • 8. [기타] 특허정보넷 키프리스 / 기업별 특허 통계
  • 9. [학술지] Ambuj D. Sagar / 2006 / Technological innovation in the energy sector: R&D, deployment, and learning-by-doing / Energy Policy / 34 (17) : 2601 ~ 17
  • 10. [학술지] Claudia Nyarko Mensah / 2018 / The effect of innovation on CO2 emissions of OCED countries from 1990to 2014 / Environmental Science and Pollution Research / 25 : 29678 ~
  • 11. [학술지] David Popp / 2005 / Lessons from patents: Using patents to measure technological change in environmental models / Ecological Economics / 54 (2) : 209 ~ 2
  • 12. [학술지] Md. Samsul Alam / 2019 / Does corporate R&D investment affect firm environmental performance? Evidence from G-6 countries / Energy Economics / 78 : 401 ~
  • 13. [학술지] Shen Lin / 2017 / The potential influence of the carbon market on clean technology innovation in China / Climate Policy / 18 (1) : 71 ~ 1
  • 14. [학술지] Weina, D / 2016 / Green inventions and greenhouse gas emission dynamics: a close examination of provincial Italian data / Environ. Econ. Policy Stud. / 18 : 24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