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본 연구는 차세대 성장 동력 중의 하나로 손꼽히는 해양수산업을 대상으로 4차 산업혁명관련 기술의 확산정도를 한국정보화진흥원에서 조사하고 있는 『정보화 통계조사』 원시자료를 활용하여 분석하여 보았다. 주요 분석결과를 소개하면 다음과 같다. 수산물 유통업은 다른 산업에 비하여 4차 산업혁명에 가잘 잘 대응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정보화 수준도 높고 4차 산업혁명관련 기술의 활용도도 높아 다른 산업에 비하여 신기술 확산이 원활하게 이루어지고 있다고 판단되며 이는 산업경쟁력과 성장에 긍정적으로 작용할 것으로 기대된다. 해양수산 관련서비스업은 정보화투자 측면에서는 상대적으로 열위에 있으나 업무정보화와 4차 산업혁명 관련기술에서 높은 활용도를 보여 다른 산업에 비하여 우위에 있다고 판단된다. 따라서 해양수산업 중 수산물유통업과 해양수산 관련 서비스업은 다른 산업에 비하여 신기술 활용도나 확산의 측면에서 가장 유리한 위치에 있다고 판단된다. 반면에 해운항만 업, 선박 및 해양플랜트 건조 수리업 그리고 해양수산기자재 제조업은 정보화 및 4차 산업혁명 관련기술의 활용도 모두에서 열위의 수준을 보이고 있어 신기술이 가지고 있는 기술적 잠재성을 활용하는 데 불리한 위치에 있다고 판단된다.

키워드

해양수산업, 4차 산업혁명, 신기술 활용도, 기술 확산

참고문헌(12)open

  1. [보고서] 강종구 / 2017 / 인구 고령화에 따른 우리나라 산업구조 변화

  2. [학술지] 김영식 / 2019 / AI와 고용, 경제성장, 불평등: 최근 문헌 개관과 정책 함의 / 한국경제포럼 12 (3) : 1 ~ 34

  3. [학술지] 김태경 / 2021 / 산업용 로봇보급이 고용에 미치는 영향 / 조사통계월보 : 16 ~ 35

  4. [보고서] 백봉현 / 2018 / 4차 산업혁명과 고령화·저출산 시대, 로봇과 일자리

  5. [학술지] Acemoglu, Daron / 2020 / Robots and Jobs: Evidence from US Labor Markets / Journal of Political Economy 128 (6) : 2188 ~ 2244

  6. [단행본] Acemoglu, Daron / 2011 / Handbook of Labor Economics vol 4 : 1043 ~ 1171

  7. [학술지] Autor, David H. / 2013 / The ‘Task Approach’ to Labor Markets: An Overview / Journal for Labour Market Research 46 (3) : 185 ~ 199

  8. [학술지] Autor, David H. / 2003 / The Skill Content of Recent Technological Change: An Empirical Exploration / Quarterly Journal of Economics 118 (4)

  9. [단행본] Erik Brynjolfsson / 2014 / The second machine age: Work, progress, and prosperity in a time of brilliant technologies / WW Norton & Company

  10. [기타] Georg Graetz / 2018 / Robots at Work / The Review of Economics and Statistics : 753 ~ 768

  11. [보고서] Marcolin, L. / 2016 / Routine jobs, employment and technological innovation in global value chains

  12. [단행본] OECD / 2009 / OECD Employment Outlook 2009: Tackling the Jobs Crisis / OECD Publishi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