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KCI 등재

드라마 <산후조리원>을 통해 본 과학적 모성의 재현

Representation of scientific motherhood captured in the TV drama Birth care center

여성학연구
약어 : -
2021 vol.31, no.2, pp.69 - 92
DOI : 10.22772/pnujws.31.2.202110.69
발행기관 : 부산대학교 여성연구소
연구분야 : 여성학
Copyright © 부산대학교 여성연구소
8 회 열람

이 연구는 드라마 <산후조리원>에 나타난 과학적 모성의 재현을 통해 현재 한국사회 모성 이데올로기를 읽어내고자 하는 시도다. 드라마 <산후조리원>은 산후조리원을 과학적 모성을 극대화하는 공간으로 설정하여 어떤 엄마가 ‘좋은’ 엄마인지 보여준다. 과학적인 우수성을 강조한 모유수유와 같은 전문적인 육아법은 ‘과학’이라는 이름 아래 주어진 모성의 기본이다. 누가 더 과학적인 모성을 가지고 있으며, 이를 바탕으로 얼마나 아이를 위해 희생할 수 있는지가 조리원 내 계급 구분의 기준이 된다. 이 드라마는 최고급 산후조리원이라는 배경 설정을 통해 과학적 모성을 극적으로 재현했지만, 현실의 산후조리원 문화가 차용됐다는 점에서 한국사회 속 과학적 모성의 위상을 확인할 수 있었다. 과도하게 전문화되고 상품화된 모성 속에서 여성은 지속적인 자기개발을 통해 ‘완벽한 엄마’가 되어야 한다. 이러한 압박은 여성을 통제와 관리의 대상으로 만들며 모성 이데올로기를 강화한다.

This study tries to grasp a woman’s place in the discourse of scientific motherhood in Korea through the TV drama Birth care Center. The drama sets the birth care center as a place that maximizes scientific motherhood and forces women to become “perfect” mothers. The scientific superiority of breastfeeding, various professional methods of child-rearing, and supplementary products supporting rearing are regarded as the mother’s basic responsibilities in the birth care center, forced on mothers under the name of ‘Scientific Motherhood’. The basis for classifying the rank of mothers in the center is based on who has more 'Scientific Motherhood' and how much they can sacrifice for their child. This drama maximized the representation of scientific motherhood through setting of background, the finest birth care center. The real birth care center culture, child-rearing, and products used in this drama can show the status of scientific motherhood in Korea. Women should become ‘perfect mothers’ through continuous self-capacity-building in society where motherhood is excessively commercialized and standardized. This pressure puts women under control and makes them management objects. In this situation, it is necessary to think about where the identity of women as 'mother' exists.

과학적 모성, 모성 이데올로기, 모유수유, 산후조리원
scientific motherhood, mothering, breastfeeding, Birth care Center

  • 1. [단행본] 김보성 / 2014 / 엄마의 탄생: 대한민국에서 엄마는 어떻게 만들어지는가 / 오월의 봄 : 15 ~
  • 2. [학술지] 김수정 / 2018 / 초산모를 위한 모성역할적응 프로그램의 효과 / 여성건강간호학회지 / 24 (3) : 322 ~ 3 kci
  • 3. [학술지] 김연정 / 2012 / 한국 산후조리 문화의 변화에 관한 연구 / 아시아문화연구 / 26 : 217 ~ kci
  • 4. [학위논문] 김윤희 / 2012 / 산후조리원 경혐과 산후조리원 동창생 모임을 통해 본 어머니 되기 의미 고찰 : 서민층 여성들을 중심으로
  • 5. [학술지] 김일옥 / 2009 / 모자동실적용이 초산모의 모유수유율에 미치는 영향 / 여성건강간호학회지 / 15 (1) : 5 ~ 1 kci
  • 6. [학위논문] 김지혜 / 1995 / 모성이데올로기의 수용과 거부에 관한 연구
  • 7. [단행본] 김혜경 / 2006 / 식민지하 근대가족의 형성과 젠더 / 창비
  • 8. [단행본] 김향수 / 2014 / 엄마의 탄생: 대한민국에서 엄마는 어떻게 만들어지는가 / 오월의 봄 : 85 ~
  • 9. [단행본] 네틀턴, 사라 / 1997 / 건강과 질병의 사회학 / 한울아카데미
  • 10. [학술지] Nomura Michiyo / 2016 / 산후조리원에서의 산후조리 민속의 지속과 변용 / 한국민속학 / 63 : 37 ~ kci
  • 11. [단행본] 렘케, 토마스 / 2015 / 생명정치란 무엇인가 / 그린비
  • 12. [기타] 박영숙 / 2010 / 워킹맘을 위한 모유수유 지침서 / 유니세프한국위원회
  • 13. [인터넷자료] 보건복지부 / 전국 산후조리원 현황(2020.12.31. 기준)
  • 14. [보고서] 서영준 / 2009 / 산후조리원의 소비자 가격 실태조사
  • 15. [학술지] 송주은 / 2015 / 포커스 그룹 연구방법을 적용한초산모의 산후조리원 이용 경험 분석 / 여성건강간호학회지 / 21 (3) : 184 ~ 3 kci
  • 16. [단행본] 신경아 / 1999 / 모성의 담론과 현실 / 나남출판 : 389 ~
  • 17. [단행본] 안미선 / 2014 / 엄마의 탄생: 대한민국에서 엄마는 어떻게 만들어지는가 / 오월의 봄 : 39 ~
  • 18. [인터넷자료] 여성가족부 / 모성과 부성: 본능일까 학습일까
  • 19. [단행본] 오찬호 / 2018 / 결혼과 육아의 사회학 / 휴머니스트
  • 20. [단행본] 와츠맨, 주디 / 2001 / 페미니즘과 기술 / 당대 : 149 ~
  • 21. [학술지] 유은광 / 1993 / 여성 건강을 위한 건강증진 행위: 산후조리 의미의 분석 / 간호학탐구 / 2 (2) : 37 ~ 2
  • 22. [단행본] 윤정로 / 1999 / 모성의 담론과 현실 / 나남출판 : 343 ~
  • 23. [단행본] 윤택림 / 2001 / 한국의 모성 / 미래인력연구원
  • 24. [보고서] 이소영 / 2019 / 2018 산후조리 실태조사 결과
  • 25. [단행본] 이연정 / 1999 / 모성의 담론과 현실 / 나남출판 : 21 ~
  • 26. [학술지] 이영자 / 2009 / 소비자본주의와 주부 / 현상과 인식 / 33 (1) : 145 ~ 1 kci
  • 27. [단행본] 이재경 / 2003 / 가족의 이름으로: 한국근대가족과 페미니즘 / 또하나의문화 : 151 ~
  • 28. [학술지] 장미경 / 2007 / 1960~70년대 가정주부(아내)의 형성과 젠더정치: 『여원』, 『주부생활』 잡지 담론을 중심으로 / 사회과학연구 / 15 (1) : 142 ~ 1 kci
  • 29. [학술지] 장현진 / 2021 / 초보 어머니들의 산후조리원 경험 / 육아지원연구 / 16 (1) : 5 ~ 1 kci
  • 30. [단행본] 조주은 / 2004 / 현대가족이야기 / 이가서 : 253 ~
  • 31. [학술지] 최재희 / 2012 / 산후조리원에서의 모유수유 저해 요인 / Perinatology / 23 (3) : 165 ~ 3 kci
  • 32. [단행본] 터너, 브라이언 / 2002 / 몸과 사회 / 몸과마음
  • 33. [학술지] 홍양희 / 2016 / ‘현모양처’의 상징, 신사임당: 식민지시기 신사임당의 재현과 젠더 정치학 / 사학연구 (122) : 155 ~ 122 kci
  • 34. [학술지] 홍지아 / 2009 / TV드라마에 나타난 모성재현의 서사전략과 상징적 경계의 구축 / 한국방송학보 / 23 (6) : 284 ~ 6 kci
  • 35. [학술지] Apple, Rima D / 1995 / Constructing Mothers: Scientific Motherhood in the Nineteenth and Twentieth Centuries / The Society for the Social History of Medicine / 8 (2) : 161 ~ 2
  • 36. [단행본] Conrad, Peter / 2007 / The Medicalization of Society: On the Transformation of Human Conditions into Treatable Disorders / Johns Hopkins University Press
  • 37. [학술지] Lee, Jae Kyung / 1999 / The Glorification of ‘Scientific Motherhood’ as an Ideological Construct in Modern Korea / Asian Journal of Women’s Studies / 5 (4) : 9 ~ 4
  • 38. [단행본] Litt, Jacquelyn S. / 2000 / Medicalized Motherhood: Perspectives from the Lives of African‐American and Jewish Women / Rutgers University Press
  • 39. [인터넷자료] Chu, Marian / Postnatal care centers emerge as lucrative business
  • 40. [학술지] Tapias, M / 2006 / ‘Always Ready and Always Clean’?: Competing Discourses of Breast-feeding, Infant Illness and the Politics of Mother-blame in Bolivia / Body & Society / 12 (2) : 83 ~ 2
  • 41. [학술지] Jeong, Yeonbo / 2014 / Scientific motherhood, responsibility, and hope: umbilical cord blood banking in South Korea / New Genetics and Society / 33 (4) : 349 ~ 4
  • 42. [인터넷자료] 오수미 / “무조건 재밌을 것” ‘산후조리원’ PD 확신하게 만든 장면
  • 43. [인터넷자료] 최승근 / ‘프리미엄’에 꽂힌 MZ세대 맘, 출산율 줄어도 육아용품 시장 껑충
  • 44. [인터넷자료] 최아리 / 분유수유는 나쁜가요?” 모유수유 서약서 받은 동대문구
  • 45. [인터넷자료] tvN / 드라마 <산후조리원> 공식 홈페이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