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KCI 후보

젠더와 공간의 만남을 위한 시론 -젠더평등의 관점에서-

Understanding the Relation between Gender and Space from a Gender Equality Perspective

여성학연구
약어 : -
2011 vol.21, no.2, pp.7 - 37
DOI : 10.22772/pnujws.21.2.201106.7
발행기관 : 부산대학교 여성연구소
연구분야 : 여성학
Copyright © 부산대학교 여성연구소
26 회 열람

이 글의 목적은 젠더의 렌즈로 공간에 담긴 여성과 남성 간의 불균등한 사회적 관계를 드러내는 데 있다. 공간은 종종 객관적이고 중립적인 실재로 간주된다. 그러나 공간은 결코 객관적이거나 중립적이지 않다. 공간은 젠더, 계급 및 인종을 비롯한 다양한 사회적 관계가 응축되어 나타나는 사회적 공간으로서의 성격을 지니며, 이로 인해 정치적이고 이데올로기적일 수밖에 없기 때문이다. 공간의 젠더화된 구조를 가시화하기 위해, 이 글은 먼저 젠더와 공간의 관계에 대한 이론적 논의들을 살펴본다. 그리고 이를 바탕으로 공간의 대표적 스케일로 도시를 설정하고 도시공간을 젠더평등의 차원에서 재구성하고자 하는 여성친화도시 프로젝트들의 가능성과 한계를 분석한다. 나아가 젠더관계의 사회적 구성에서 공적 공간과 사적 공간으로의 구분이 핵심적인 역할을 한다는 점에서, 이 구분이 갖는 문제점을 공간의 1차적 젠더화와 2차적 젠더화의 문제로 나누어 고찰한다. 이처럼 젠더평등의 관점에서 대한민국의 공간을 바라봤을 때, 공적 공간의 중요성에 대한 과대평가와 사적 공간의 중요성에 대한 과소평가가 나타나고 있다. 이는 여성에게 이중노동의 부담을 가져다주었다. 이런 가운데 젠더평등의 문제는 더 이상 여성문제로 이해되어서는 안 되며, 생산노동과 재생산노동의 균형은 남성의 과제로도 인식되어야 한다. 이제 새로운 남자의 탄생을 위한 아이디어들을 공간의 재배치에 담아내야 할 시점이다.

This article aims to bring out the inequal social relationship between men and women in space by looking at it through the lens of gender. Space is often treated as objective and a neutral entity. But space is never objective and neutral, because its character is social. Various social relations like gender, class, and race are condensed in it. Therefore, space has to be understood as a political and ideological subject. In order to make visible the gendered structure of space, this study firstly analyzes the theoretical discussions about the relation between gender and space. Secondly, it examines chances and limits of Women-Friendly City projects which try to reconstruct city spaces on the basis of gender equality. Assuming that the division between public space and private space plays a key role in the social construction of gender relation, this study lastly examines the problems which result from this division, namely the problems of the first and the second genderization of space. When we see the space of Korea from a gender equality perspective, an overestimation of the importance of public space and a underestimation of the importance of private space can be observed. For women this results in a double burden. This means that gender equality and the balance between productive and reproductive work not only have to be conceived as issues concerning women but also as problems of men. Now, it’s time to include new ideas for the birth of new men in a reconstruction of space.

공간, 젠더, 젠더평등, 공적 공간, 사적 공간, 여성친화도시
space, gender, gender equality, public space, private space, women-friendly city

  • 1. [단행본] 강현수 / 2010 / 도시에 대한 권리 - 도시의 주인은 누구인가 / 책세상
  • 2. [학술지] 김현미 / 2008 / 페미니스트 지리학 / 여성이론 : 276 ~
  • 3. [기타] 여성가족부 / 2010 / 8개 지자체, 여성친화도시를 향한 출발선에 서다
  • 4. [보고서] 여성부 / 2009 / 여성친화도시 조성 기준 및 발전 방향
  • 5. [단행본] 이영수 / 2011 / 여성노동의 현실: 막힘과 트임 / 부산대학교 출판부 : 225 ~
  • 6. [단행본] 이재경 / 2010 / 서문: 글로벌 사회의 국가와 젠더 / 도서출판 한울 : 12 ~
  • 7. [학술지] 이현재 / 2010 / 여성주의적 도시권을 위한 시론 차이의 권리에서 연대의 권리로 / 공간과 사회 (34) : 5 ~ 34 kci
  • 8. [단행본] 인권오름 / 2010 / 기획: 청소노동과 청소노동자의 삶
  • 9. [학술대회] 조영미 / 2009 / 여성 친화 도시 만들기 정책의 실제와 과제: 서울시 여행 프로젝트를 중심으로 / 한국여성학회 제25차 춘계학술대회 자료집 : 51 ~
  • 10. [학술지] 정현주 / 2008 / 이주, 젠더, 스케일: 페미니스트 이주 연구의 새로운 지형과 쟁점 / 대한지리학회지 / 43 (6) : 894 ~ 6 kci
  • 11. [단행본] 조주현 / 2009 / 벌거벗은 생명 - 신자유주의 시대의 생명정치와 페미니즘 / 또하나의 문화
  • 12. [단행본] 최병두 / 2002 / 현대사회지리학: 전환기 한국의 도시와 지역 / 한울
  • 13. [단행본] 최병두 / 2009 / 도시 공간의 미로 속에서 / 한울
  • 14. [단행본] 통계청 / 2005 / 경제활동인구연보
  • 15. [단행본] 통계청 / 2010 / 통계로 보는 여성의 삶
  • 16. [단행본] 맥도웰 / 2010 / 젠더, 정체성, 장소: 페미니스트 지리학의 이해 / 한울
  • 17. [단행본] 발렌타인 / 2009 / 사회지리학: 공간과 사회 / 논형
  • 18. [기타] 보건복지부 / 2010 / 아이낳기 좋은세상 만들기 국민운동 실천 캐치프레이즈 개발․발표
  • 19. [단행본] 슈뢰르 / 2010 / 공간, 장소, 경계: 공간의 사회학 이론정립을 위하여 / 에코리브르
  • 20. [단행본] 페인 / 2008 / 사회지리학의 이해 / 푸른길
  • 21. [학술대회] 포셰 / 2010 / 공간, 이데올로기, 그리고 도시의 정치학: 앙리 르페브르의 철학을 소개하며 / 부산대학교 인문한국(HK) 학술 심포지움 및 콜로키움 자료집 : 63 ~
  • 22. [단행본] 프레이저 / 2010 / 지구화 시대의 정의: 정치적 공간에 대한 새로운상상 / 그린비
  • 23. [단행본] Connell,R.W / 2005 / Masculinities. Second Edition / University of CaliforniaPress
  • 24. [단행본] Elshtain / 1981 / Public Man, Private Woman: Women in Social and PoliticalThought / Princeton University Press
  • 25. [학술지] Fenster,Tovi / 2005 / The Right to the Gendered City: Different Formations of Belongingin Everyday Life / Journal of Gender Studies / 14 (3) : 217 ~ 3
  • 26. [인터넷자료] Grundström,Karin / Gender and use of public space
  • 27. [학술지] Johnson, Louise C / 2008 / Re-placing gender? Reflections on 15 years of Gender, Placeand Culture / Gender, Place and Culture / 15 (6) : 561 ~ 6
  • 28. [학술지] Löw,Martina / 2006 / The Social Construction of Space and Gender / European Journalof Women’s Studies / 13 (2) : 119 ~ 2
  • 29. [단행본] Massey,Doreen / 1994 / Space, place, and gender / University of Minnesota
  • 30. [학술대회] Smith,Lisa / 2008 / Gender and Public Space in Divided Cities: dynamics of everydayurban life / Conflict in Cities and the Contested State.September 2008 Workshop
  • 31. [단행본] Sorokin / 1959 / Social and Cultural Mobility / The FreePress
  • 32. [학술지] Wucherpfennig / 2008 / Feministische Geographienund geographische Geschlechterforschung im deutschsprachigen Raum / ACME:An International E-Journal for Critical Geographies / 7 (3) : 350 ~ 3
  • 33. [기타] 박성진 / 2010 / 여대 학군단 7대 1경쟁…숙명여대가 뽑혔다 / 경향신문
  • 34. [기타] 권석천 / 2008 / 축구하고 군대 가는 여대생을 만들겠다 / 중앙일보
  • 35. [기타] 김기태 / 2008 / 1급 공무원은 ‘신의 은총’, 좋아서 ‘죽는 자리’ / 한겨레
  • 36. [기타] 홍강희 / 2009 / 우대받는 전북 익산시 여성들, 청주는 / 충북인뉴스
  • 37. [기타] Bennhold,Katrin / 2010 / The Female Factor: 21st-century fathers. In Sweden, the man canhave it all / International Herald Tribune
  • 38. [인터넷자료] 여수시청 / http://www.yeosu.go.kr
  • 39. [인터넷자료] 익산시청 / http://www.iksan.g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