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 내서재 .. 알림
소속 기관/학교 인증
인증하면 논문, 학술자료 등을  무료로 열람할 수 있어요.
한국대학교, 누리자동차, 시립도서관 등 나의 기관을 확인해보세요
(국내 대학 90% 이상 구독 중)
로그인 회원가입 고객센터

주제분류

정기구독(개인)

소속 기관이 없으신 경우, 개인 정기구독을 하시면 저렴하게
논문을 무제한 열람 이용할 수 있어요.

회원혜택

로그인 회원이 가져갈 수 있는 혜택들을 확인하고 이용하세요.

아카루트

학술연구/단체지원/교육 등 연구자 활동을 지속하도록 DBpia가 지원하고 있어요.

영문교정

영문 논문 작성에 도움을 드리기 위해, 영문 교정 서비스를
지원하고 있어요.

고객센터 제휴문의

...

저널정보

저자정보

표지
이용수
내서재
3
내서재에 추가
되었습니다.
내서재에서
삭제되었습니다.

내서재에 추가
되었습니다.
내서재에서
삭제되었습니다.

초록·키워드

오류제보하기
콘텐츠산업은 고도의 기술력과 창의성을 기반으로 하여 고부가가치 산업으로 인식되고 있으며 선진국들의 경제에서도 큰 비중을 차지하고 있다. 또한 콘텐츠산업은 경제성을 넘어 인간의 라이프생활을 바꾸는 등 다양한 방면에서 중요성이 부각됨에 따라 높은 관심을 받고 있다.
본 연구는 EC에서 제공하는 국가별 산업연관표와 세계산업연관표를 바탕으로 한·미·일의 콘텐츠산업에 대한 경제적 파급효과를 비교분석하였다. 연구결과, 미국과 일본의 콘텐츠 생산에 있어 한국의 중간재투입비중은 시간이 지날수록 점차 증가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한국의 콘텐츠산업은 미국과 일본보다 높은 생산유발효과를 가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지만 부가가치유발효과는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부가가치유발효과가 낮게 나타나는 것은 수입의 비중이 높아 부가가치가 해외로 유출되는 것을 의미한다. 이와 같은 현상은 장기적인 관점에서 봤을 때 국내 콘텐츠산업의 성장을 저조하게 만드는 원인이 될 수 있으므로 생산성 유출현상을 감소시키기 위한 국내 콘텐츠산업의 기술력 향상과 인력개발에 대한 대책이 절실히 요구된다.

The contents industry is understood as high value-added industries based on advanced technological prowess and creativity, and accounts for a large proportion of the economy of developed countries. In addition, contents industry is receiving increased attention since it emphasizes the importance in a variety of areas, including culture, lifestyle, and economy.
This study analyzes the economic ripple effect on the contents industry of Korea, U.S., and Japan, using national input-output tables and world input-output tables during 2000~2014 provided by the EC. As a result, Korea’s proportion of intermediate inputs in the U.S. and Japanese contents production is gradually increasing over time. Furthermore, although the Korean contents industry has a higher production inducement coefficient than the U.S. and Japan, the value added inducement coefficient is low. The low value added inducement coefficient means that the value added is leaked abroad due to a high import ratio. This indicates that, while the Korean contents industry is highly productive in both domestic and overseas, this phenomenon can slow down the growth of Korean contents industry from a long-term point of view. Therefore, in order to prevent declining productivity, it is required to improve the technology of the contents industry as well as to take measures against human capital development.

목차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방법
Ⅳ. 분석결과
Ⅴ. 결론
참고문헌
Abstract

참고문헌 (20)

참고문헌 신청

함께 읽어보면 좋을 논문

논문 유사도에 따라 DBpia 가 추천하는 논문입니다. 함께 보면 좋을 연관 논문을 확인해보세요!

이 논문의 저자 정보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논문

최근 본 자료

전체보기

댓글(0)

0

UCI(KEPA) : I410-ECN-0101-2018-323-00312118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