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스토리텔링은 사회적 트라우마를 경험한 사회에서 입장 차이가 극명한 집단간의 이해를 돕고 신뢰를 회복하기 위한 도구로서 활용되어 왔다. 각 사회의 트라우마나 갈등의 종류는 다르지만 스토리텔링은 과거에 대한 새로운 의미부여 및 재구조화, 공동체 및 개인의 새로운 정체성 형성을 가능하게 한다는 점에서 개인과 사회의 치유, 통합에 긍정적인 영향을 가져왔으며, 남북 주민들을 위해서도 충분히 적용 가치가 있다. 그러나 국내에서는 남북 주민들을 위한 스토리텔링 연구가 시작 단계에 있고, 적용 사례 역시 많지 않다. 또한 성공적인 스토리텔링을 위해서는 각 사회가 가지고 있는 특성이 잘 반영되어야 하는데, 계속적인 개선이 필요한 상황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통일 과정에서 발생할 수 있는 남북 주민들 간의 심리적 갈등 해소와 화해를 위한 새로운 기법으로서 ‘스토리텔링’을 제안하고, 통일 한국에서의 스토리텔링 프로그램 적용 가능성과 지향점을 제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키워드

사회적 트라우마, 사회치유, 스토리텔링, 심리적 갈등 해소, 남북 심리적 통합

참고문헌(43)open

  1. [학술지] 김광욱 / 2008 / 스토리텔링의 개념 / 겨레어문학 (41) : 249 ~ 276

  2. [학술지] 김명희 / 2015 / 세월호 이후의 치유: 제프리 알렉산더의 ‘외상 과정’ 논의를 중심으로 / 문화와 사회 19 : 11 ~ 53

  3. [인터넷자료] 김보근 / 통일이 대박 되려면 남북이 마음 먼저 열어야

  4. [학위논문] 김영숙 / 2014 / 스토리텔링을 활용한 상담사례개념화 방법연구

  5. [인터넷자료] 김정안 / ‘난 전직 슈타지’ 눈물 고백 … 피해자들 가슴열고 화해

  6. [학술지] 김종군 / 2011 / 구술을 통해 본 분단 트라우마의 실체 / 통일인문학 51 : 37 ~ 65

  7. [학술지] 나지영 / 2014 / 탈북 청소년의 구술생애담 속 가족의 해체와 탈북 트라우마 / 통일인문학 60 : 97 ~ 133

  8. [학술지] 박영균 / 2016 / 인문학적 통일 패러다임의 사회적 적용: 하나의 사례로서 ‘DMZ 디지털스토리텔링’ / Oughtopia (오토피아) 31 (1) : 129 ~ 153

  9. [단행본] 손운산 / 2008 / 용서와 치료 / 이화여자대학교 출판부

  10. [단행본] 신보경 / 2016 / 캄보디아 킬링필드를 통하여 보는 인간 치유의 길 / 한반도 평화연구원

  11. [인터넷자료] 신유리 / <인터뷰> 한국판 ‘동서 포럼’ 이끄는 정병호 교수

  12. [단행본] 양유성 / 2004 / 이야기치료 : 이야기를 통한 인간이해와 심리치료 / 학지사

  13. [인터넷자료] 이삼열 / 분단시대 동 ․ 서독인의 삶 이야기 — 「동서포럼」 전기대화. FES Information Series

  14. [단행본] 이수정 / 2016 / 분단된 마음 잇기 — 남북의 접촉지대 / 사회평론아카데미

  15. [학술대회] 이우영 / 2014 / 북아일랜드의 평화과정을 보는 지혜 / 통일세미나 — 통하라 한반도 14회

  16. [학술지] 이재승 / 2011 / 화해의 문법 ― 시민정치의 관점에서 ― / 민주법학 (46) : 123 ~ 158

  17. [학술대회] 임정택 / 2015 / 예술과 사회치유 / 제44회 한반도평화연구원 평화포럼

  18. [학술지] 전우택 / 2015 / 통일은 치유다 : 분단과 통일에 대한 정신의학적 고찰 / 신경정신의학 54 (4) : 353 ~ 359

  19. [학술대회] 전우택 / 2015 / 사회 치유의 본질과 방법 / 제44회 한반도평화연구원 평화포럼

  20. [학술대회] 전우택 / 2016 / 북아일랜드의 스토리텔링(Storytelling)과 치유 / 제51회 한반도평화연구원 평화포럼

  21. [학술대회] 전우택 / 2016 / 사회적 트라우마와 치유: 캄보디아 사례를 중심으로 / 제50회한반도평화연구원 평화포럼

  22. [학위논문] 정민지 / 2013 / 과도기적 정의(Transitional Justice) 구현 과정에서의 형법적 정의와 회복적 정의간의 조화 : 르완다와 남아공 사례를 중심으로

  23. [인터넷자료] 정병호 / 2013년도 시민 인문강좌지원사업 결과보고서

  24. [학술지] 정영호 / 2015 / 사회갈등지수 국제비교 및 경제성장에 미치는 영향: Social Conflict Index and Economic Growth: Evidence from a Cross-section of 7 Countries / 보건복지포럼 : 44 ~ 55

  25. [학술지] 천자현 / 2015 / 다음 세대를 위한 한일 관계의 새로운 패러다임: 화해, 그리고 회복적 정의 / 일본비평 7 (1) : 26 ~ 49

  26. [단행본] 최성경 / 2016 / 사회적 트라우마와 인간치유 / 한반도 평화연구원

  27. [인터넷자료] Anna, Kaminsky / 과거청산을통한 통합

  28. [인터넷자료] Axel Schmidt, Göodelitz / 독일 통일 후 내적통합 —성과, 도전 그리고 전망. 크리스토프 폴만 ․ 박상희 편. FES Information Series

  29. [단행본] Fassin, Didier / 2016 / 트라우마의 제국 / 바다출판사

  30. [단행본] Herman, Judith / 2007 / 트라우마 : 가정폭력부터 정치적 테러까지 / 플래닛

  31. [단행본] Achilles, Mary / 2001 / Restorative Community Justice: Repairing Harm and Transforming Communities / Anderson Publishing Co

  32. [학술지] Agger, Inger / 2012 / Testimony Ceremonies in Asia: Integrating Spirituality in Testimonial Therapy for Torture Survivors in India, Sri Lanka, Cambodia, and the Philippines / Transcultural Psychiatry 49 (3-4) : 568 ~ 589

  33. [인터넷자료] Alicia / Storytelling always leads to healing and reconciliation

  34. [학술지] Bar-On, Dan / 2004 / Storytelling as a Way to Work Through Intractable Conflicts: The German-Jewish Experience and Its Relevance to the Palestinian-Israeli Context / Journal of Social Issues 60 (2) : 289 ~ 306

  35. [단행본] Enright, Robert D. / 2001 / Forgiveness Is a Choice: A Step-by-Step Process for Resolving Anger and Restoring Hope / American Psychology Association

  36. [학술지] Hackett, Claire / 2009 / The Burden of Memory: Victims, Storytelling and Resistance in Northern Island / Memory Studies 2 (3) : 355 ~ 376

  37. [단행본] Kelman, Herbert C. / 1999 / After the Peace: Resistance and Reconciliation / Lynne Rienner

  38. [학술지] 김윤영 / 2016 / A storytelling program to promote the social integration of multicultural groups in South Korea / KEDI Journal of Educational Policy 13 (1) : 3 ~ 22

  39. [학술지] Milojevic, Ivana / 2014 / Creating Alternative Futures through Storytelling: A Case Study from Serbia / Futures 57 : 51 ~ 61

  40. [인터넷자료] Moore, Christopher W. / The Mediation Process: Trainee’s Manual Community Mediation Programme

  41. [단행본] O’Hagan, Liam / 2014 / Training Manual — Toward Understanding and Healing / Yes!Publications

  42. [단행본] Shaw, Jan / 2013 / Storytelling: Critical &Creative Approaches / Palgrave Macmillan

  43. [단행본] Staub, Ervin / 2003 / Handbook of Political Psychology / Oxford University Pres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