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이 글에서는 일본군성노예문제와 관련된 국제교류 중 특히 남북교류에 중심을 두고 이 문제와 관련한 북측의 대응을 다루었다. 1991년을 전후하여 어려운 남북 교류, 특히 일본군성노예제문제가 지속적으로 가능하게 된 데에는 당시의 국내외 정세가 작동하고 있었다. 국제적으로 독일 통일 등 냉전체제가 완화되었고 남북의 유엔 동시가입이 성사되었다. 국내에선 대통령 직선제를 회복하고 민주주의 방향으로 들어섰다. 이와 동반하여 여성운동도 발전하여 성폭력문제를 사회적으로 논의할 수 있는 분위기가 되고 역사적인 문제로 일본군성노예제문제가 제기되었다. 한국의 생존피해자의 등장은 일제의 침략을 받았던 아시아지역의 피해자 커밍아웃으로 이어져 한일문제로 인식하였던 일본군성노예제문제에 대한 인식의 지평을 확장시켰다. 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국제적 연대활동은 북측과도 함께 하였는데 <아시아의 평화와 여성의 역할 토론회>, <아시아연대회의>, <2000년일본군성노예전범여성국제법정> 등이다. 북측은 일본과의 국교수립과 다양한 국제적인 활동의 확장을 겨냥한 측면이 있어 남측과 일본의 NGO가 주도하던 일본군성노예제문제해결운동에 함께 하였다. 활동과정에서 남북간의 갈등도 있었다. <아시아의 평화와 여성의 역할〉서울 토론회에서 한국전쟁과 관련하여, 그리고 <2000년일본군성노예전범여성국제법정>에서는 독립운동의 정통성과 관련하여 의견대립이 있었다. 남북에게 있어 가장 깊은 상흔이며 큰 관점의 차이를 드러낸 주제임에 분명하였으나, 상호 한발씩 물러나 일본군성노예제문제라는 공동의 문제 해결을 위해 협조하였다이 과정에서 드러난 북측의 일본군성노예제를 보는 관점과 북측 <(조선)‘종군위안부’ 및 태평양전쟁 피해자 보상대책위원회> 등의 관련단체 변화도 분석하였다. 남측이 민족과 여성문제로 좀 더 강하게 인식하는데 비해 북측은 민족과 계급문제로 인식하는 차이가 있었다. 하지만 기본적으로는 일본제국주의에서 비롯된 반인도적 범죄이란 점, 나아가 일제시기를 점령기로 보고 전쟁범죄라는 인식도 남북이 공유하였다. 북측 관련단체의 변화도 확인되는데 일단 단체 명칭이 변하였다. 남측에서 제기한 용어를 일본군‘위안부’라는 용어를 수용하였다. 그리고 일본군성노예제와 관련한 남북 등의 교류에서 중심적으로 활동하였던 북측 인물들이 여성들이 증가하고 위 단체의 구성원 수가 증가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신뢰가 쌓이면, 첨예하게 대치되는 문제가 제기되더라도 대화를 통해 극복해 갈 수 있었음을 볼 수 있었다. 또 오래 분단된 남북관계의 팍팍함은 재일동포 등 매개자들이 있음으로써 좀더 유연하고 확장된 인식을 하게 되고 또 그 과정에서 민족동질성을 강화시킬 수 있었다.

키워드

일본군성노예제, 남북교류, 2000년일본군성노예전범여성국제법정, ‘종군위안부’ 및 태평양전쟁 피해자 보상대책위원회

참고문헌(36)open

  1. [보고서] 김재인 / 2000 / 여성비정부기구를 통한 남북한 교류 협력 활성화방안 연구

  2. [단행본] 김진향 / 2015 / 개성공단 사람들 / 내일을여는책

  3. [단행본] 송연옥 / 2012 / 군대와 성폭력 / 선인

  4. [단행본] ‘아세아의 평화와 여성의 역할’ 서울토론회 준비위원회 / 1992 / 평화와 통일 향한 따스한 자매애: 아세아의 평화와 여성의 역할 서울토론회 보고집

  5. [기타] ‘아세아의 평화와 여성의 역할’ 토론회 한국실행위원회 / 1992 / 아세아의 평화와 여성의 역할 평양 토론회 자료집

  6. [보고서] 양애경 / 2012 / 사회발전을 향한 여성통합 30년의 성과와 전망(Ⅱ)

  7. [단행본] 이현숙 / 1992 / 한국교회여성연합회 25년사 / 한국교회여성연합회

  8. [단행본] 조동걸 / 2011 / 우사 조동걸 전집 17권 / 누리미디어

  9. [단행본] 통일부 / 2000 / 북한 기관·단체별 인명집

  10. [기타] 한국정신대문제대책협의회 / 1997 / 정신대 자료집 Ⅵ-일본군‘위안부’문제와 관련한 북한의 입장과 활동

  11. [보고서] 한국정신대문제대책협의회 / 2001 / 2000년 일본군성노예전범여성국제법정보고서

  12. [기타] 한국정신대문제대책협의회 / 2007 / 아시아연대 15년, 앞으로의 과제와 연대를 위하여!: 제8차일본군‘위안부’문제 아시아연대회의 자료집

  13. [기타] 한국정신대문제대책협의회 부설 전쟁과여성인권센터 / 2001 / 일본군‘위안부’ 증언·통계 자료집

  14. [기타] 강성혜 / 1992 / 제3차 평양 토론회 참가보고-종군위안부문제 등 대해 본격 운동 전개키로 / 새가정

  15. [학술지] 강정숙 / 2000 / 남북 기소장과 논고 / 정신대연구소소식 29

  16. [학술대회] 강정숙 / 2013 / 일본군 성노예제 문제해결을 위한 국제교류와 연대-아시아연대회의를 중심으로 , 한국 여성의 글로컬 연대와 교류의 성과와 전망: 국가와 지역을 넘어 / 한국여성정책연구원-한국여성사학회 공동심포지엄 자료집

  17. [학위논문] 김당 / 2002 / 북한의 종군위안부 실태 및 특성

  18. [학술지] 김석향 / 2006 / “남녀평등”과 “여성의 권리”에 대한 북한당국의 공식담론 변화: 1950년 이전과 1979년 이후 조선녀성기사를 중심으로 / 북한연구학회보 10 (1) : 25 ~ 50

  19. [단행본] 김숙임 / 2005 / 한국여성평화운동사 / 한울

  20. [학술지] 김영선 / 2013 / 남북한 여성교류의 다층적 궤적과 학술과제 / 여성과 역사 (19) : 299 ~ 329

  21. [학술지] 김윤옥 / 1992 / 아시아의 평화와 여성의 역할 / 기독교사상 36 (10)

  22. [단행본] 김윤옥 / 2014 / 한국정신대문제대책협의회 20년사 / 한울

  23. [학술지] 김혜원 / 1993 / 제2차 종군위안부 문제 아시아 연대회의 / 한국여성신학 16

  24. [학술지] 문소정 / 2011 / 동아시아 여성평화운동과 일본 여성의 횡단정치학 / 사회와역사(구 한국사회사학회논문집) (89) : 305 ~ 335

  25. [학술지] 문소정 / 2012 / 일본여성운동의 초국적 페미니즘과 민족주의 / 사회와역사(구 한국사회사학회논문집) (95) : 315 ~ 345

  26. [단행본] 조시현 / 2009 / 한일간 역사현안의 국제법적 재조명 / 동북아역사재단

  27. [학술지] 金富子 / 2000 / 南北統一起訴狀’作成で合意-河末淑さん(在中)宋神道さん(在日)も入ることに! / VAWW-NET JAPAN NEWS 9·10

  28. [단행본] ラヂオプレス / 1992 / 朝鮮民主主義人民共和国組織別人名簿 / ラヂオプレス

  29. [단행본] ‘アジアの平和と女性の役割’實行委員會 / 1991 / アジアの平和と女性の役割東京シンポジウム報告集

  30. [인터넷자료] 서울신문 / 日은 과거사 공식사죄·배상을

  31. [인터넷자료] 연합뉴스 / 위안부 문제 아시아연대회의 20일 개막

  32. [인터넷자료] 통일뉴스 / ‘게도 구럭도 놓친’ MB의 남북관계

  33. [인터넷자료] (사)한국정신대문제대책협의회 / 일본군성노예 문제해결을 위한 남북해외여성토론회 중국 심양서 개최-일본군‘위안부’ 피해자 길원옥 할머니 참석

  34. [기타] / 2015 / 김영·김부자 구술, 2015.2.15., 일본 도쿄

  35. [기타] / 2014 / 윤정옥 구술, 2014.8.7. ; 2014.10.12∼13 / 춘천 자택

  36. [기타] / 2015 / 조시현·하종문 구술, 2015.1.22., 조시현교수연구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