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KCI 등재

2015 개정 과학과 교육과정의 에너지 관련 내용에 대한 과학적 관점에서의 접근- 초등학교 3∼6학년 군을 중심으로 -

Perspectives on scientific understanding of energy-related contents in the 2015 revised national science curriculum of third to sixth grade

에너지기후변화교육
약어 : 에기교
2021 vol.11, no.3, pp.321 - 333
DOI : 10.22368/ksecce.2021.11.3.321
발행기관 : 에너지기후변화교육학회
연구분야 : 교육학
Copyright © 에너지기후변화교육학회
6 회 열람

오늘날 에너지는 자연 현상과 과학 개념이나 이론을 이해하는 주요 개념 중 하나이다. 본 연구는 2015 개정 과학과 교육과정 중 초등학교 3∼6학년 군을 중심으로 과학 교과에서 강조하고 있는 열에너지, 빛에너지, 운동 에너지, 위치 에너지, 전기 에너지, 화학 에너지 등 6종류의 에너지를 중심으로 에너지의 형태, 에너지의 근원, 에너지의 전환, 에너지 보존, 에너지의 효율의 범주에 따라 과학적 관점에서 학생들의 어려움이나 한계 등을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하나의 용어가 서로 다른 의미로 활용됨으로써 오해의 소지가 발생할 우려가 있었다. 또한 개념이나 용어, 이론의 설명 과정에서 선수 학습으로 다루어야 할 개념이나 용어가 충분하지 못해 학습 순서가 조정이 필요해 보이는 경우가 존재하였다. 또한 명시적으로 에너지의 의미나 형태에 대한 설명이 명시적으로 제시되지 않아 일상적 맥락에서의 용어와 혼동할 수 있는 가능성이 존재하였다. 이에 따라 본 연구에서는 에너지 관련 교육의 측면에서 교육과정 차원에서 고려해야 할 여러 시사점을 제공하였다.

Energy is a crucial concept to understand natural phenomena and fundamental theories of science. This study addresses various points of improvement for better understanding of science based on the analysis of the primary level of the 2015 revised national science curriculum. The problems and limitations of energy-related curricular statements are analyzed following the categories reported from the previous studies, including the forms of energy, source of energy, energy transfer, energy conservation, and efficient energy usage. We found that each concept of energy has a different meaning in different contexts; thus, the concept of energy is ambiguous among students. Additionally, some concepts should be rearranged according to the progression of concepts, such as heat and temperature. The inadequate explanation of the forms and transformation of energy results in ambiguity among students. Therefore, this study highlights some implications that should be considered in energy education in primary schools.

초등 과학, 에너지, 교육과정, 개념이해, 학습 진전
primary science, energy, curriculum, conceptual understanding, learning progress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