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 내서재 .. 알림
소속 기관/학교 인증
인증하면 논문, 학술자료 등을  무료로 열람할 수 있어요.
한국대학교, 누리자동차, 시립도서관 등 나의 기관을 확인해보세요
(국내 대학 90% 이상 구독 중)
로그인 회원가입 고객센터

주제분류

정기구독(개인)

소속 기관이 없으신 경우, 개인 정기구독을 하시면 저렴하게
논문을 무제한 열람 이용할 수 있어요.

회원혜택

로그인 회원이 가져갈 수 있는 혜택들을 확인하고 이용하세요.

아카루트

학술연구/단체지원/교육 등 연구자 활동을 지속하도록 DBpia가 지원하고 있어요.

영문교정

영문 논문 작성에 도움을 드리기 위해, 영문 교정 서비스를
지원하고 있어요.

고객센터 제휴문의

...

저널정보

저자정보

표지
이용수
내서재
5
내서재에 추가
되었습니다.
내서재에서
삭제되었습니다.

내서재에 추가
되었습니다.
내서재에서
삭제되었습니다.

초록·키워드

오류제보하기
사회적경제는 시민이 주체가 되어 자발적으로 공동체 속에서 사회문제를 해결하는 방식으로, 오랜 역사 속에서 존재해온 가치이다. 국내 사회적경제는 2000년대 이후 법적·제도적 기반 마련을 토대로 급속한 양적 성장을 이루었으나, 대중의 인식은 여전히 낮게 나타나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지금까지 사회적경제 분야 연구에서 상대적으로 주목받지 못했던 시민의 인식에 관한 연구를 수행하였다. 연구내용은 첫째, 통합적으로 사회적경제 인식을 측정하기 위해 문항을 개발하고, 둘째, 서울 시민을 대상으로 하여 사회적경제 인식이 공동체의식과 임파워먼트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살펴보았다. 연구결과, 사회적경제 인식을 ‘전반적 인지’, ‘조직 인지’, ‘현재 인식’, ‘미래 기대’ 네 가지 하위요인으로 분류할 수 있었다. 또한, 사회적경제에 대한 인식이 높을수록 공동체의식이 상승하고 임파워먼트가 확대되는 긍정적인 영향력을 보였다.
본 연구는 사회적경제 인식 측정도구 개발에 관한 최초의 연구이자, 대규모의 실증 데이터를 활용하여 사회적경제 인식의 영향을 살펴본 연구라는 점에서 의의가 있으며, 추후 사회적경제 인식에 관한 기초 연구자료로 활용이 가능할 것이다.

This study intends to develop an instrument for measuring the perception of Social Economy and explore how it affects the sense of community and empowerment. The sample included 1,302 Seoul citizen through Proportionate Stratified Sampling. Factor Analysis and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is were conducted. 4 sub-factors (General Awareness, Organization Awareness, Current Perception, and Future Expectations) were extracted and Current Perception was the most critical factor. Both the sense of community and empowerment became stronger as the perception got higher. This study is the first research to develop the measurement of the perception of Social Economy and it is unique and meaningful as it investigates the effects of the Social Economy perception on the sense of community and empowerment.

목차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III. 연구방법
IV. 연구결과
V. 결론 및 함의
참고문헌
Abstract

참고문헌 (0)

참고문헌 신청

함께 읽어보면 좋을 논문

논문 유사도에 따라 DBpia 가 추천하는 논문입니다. 함께 보면 좋을 연관 논문을 확인해보세요!

이 논문의 저자 정보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논문

최근 본 자료

전체보기

댓글(0)

0

UCI(KEPA) : I410-ECN-0101-2021-306-00172645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