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 내서재 .. 알림
소속 기관/학교 인증
인증하면 논문, 학술자료 등을  무료로 열람할 수 있어요.
한국대학교, 누리자동차, 시립도서관 등 나의 기관을 확인해보세요
(국내 대학 90% 이상 구독 중)
로그인 회원가입 고객센터

주제분류

정기구독(개인)

소속 기관이 없으신 경우, 개인 정기구독을 하시면 저렴하게
논문을 무제한 열람 이용할 수 있어요.

회원혜택

로그인 회원이 가져갈 수 있는 혜택들을 확인하고 이용하세요.

아카루트

학술연구/단체지원/교육 등 연구자 활동을 지속하도록 DBpia가 지원하고 있어요.

영문교정

영문 논문 작성에 도움을 드리기 위해, 영문 교정 서비스를
지원하고 있어요.

고객센터 제휴문의

...

저널정보

저자정보

표지
이용수
내서재
5
내서재에 추가
되었습니다.
내서재에서
삭제되었습니다.

내서재에 추가
되었습니다.
내서재에서
삭제되었습니다.

초록·키워드

오류제보하기
본 연구는 초등학교에서 중학교로 이동하는 전환기를 중심으로 교사, 또래, 부모관계 프로파일의 종단적 변화양상을 탐색하고, 프로파일에 따른 자기결정성 동기와 학업적 자기개념의 차이를 살펴보는데 목적이 있었다. 이를 위해 2013년 한국교육종단연구(KELS)의 2차년도(초6)와 3차년도(중1) 6,544명의 자료를 활용하였다. 잠재프로파일분석을 실시한 결과, 초6 시점에서 4개의 잠재집단(고관계형, 평균관계형, 저관계형, 저교사관계형), 중1 시점에서도 4개의 잠재집단(고관계형, 평균관계형, 저관계형, 저또래관계형)이 도출되었다. 잠재프로파일에 따른 자기결정성 동기 및 학업적 자기개념의 차이를 살펴본 결과 교사, 또래, 부모와의 관계가 모두 높은 수준을 나타낸 고관계형이 확인된 조절, 내재적 조절 및 학업적 자기개념은 높고 무동기와 외적 조절은 낮은 것으로 나타냈다. 잠재전이분석을 통해 교사, 또래, 부모관계 프로파일의 종단적 전이확률을 살펴본 결과, 고관계형, 평균관계형, 저관계형에 속한 학생들 중 약 절반(46%~63%)은 중1 시기에도 동일한 프로파일을 유지하였다. 반면 고관계형의 35%, 평균관계형의 16%의 학생들은 1년 후 각각 평균관계형과 저관계형으로 전이하였고, 저관계형의 40%, 저교사관계형의 22%의 학생들은 평균관계형으로 전이하였다. 본 연구는 중학교 진학과정에서 교사, 또래, 부모관계 프로파일의 종단적 변화의 다양한 양상을 확인하고, 이러한 관계의 잠재프로파일에 따라 자기결정성 동기와 학업적 자기개념의 차이를 확인함으로써 교육 현장에 대한 실천적 함의를 제공하였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The present study aimed to investigate the longitudinal transition an adolescent’s teacher, peer and parents’ relationship profiles, as well as differences in self-determined motivation and academic self-concept among profile groups. The samples consisted of 6544 adolescents in grade 6, who were re-examined in one year, as they made the transition to middle school. The data were part of waves 2 and 3 of the nationally representative Korea Education Longitudinal Study 2013(KELS 2013). A latent profile analysis identified four distinct profiles of teacher, peers and parents’ relationships among students in grade 6(high, average, low, and low-teacher relationships). The four distinct profiles in grade 7(high, average, low, and low-peer relationships). High relationships groups, in both grade 6 and 7, showed the highest level of intrinsic and identified regulation, and academic self-concept, but the lowest level of extrinsic regulation and amotivation. By applying a latent transition analysis, it was found that almost half of the students remained the same profile in one year (about 46~63%), whereas others made transitions to different profiles of either better or worse relationships with teachers, peers, and parents. Implications for future research and intervention were discussed.

목차

Ⅰ. 연구의 필요성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방법
Ⅳ. 연구결과
Ⅴ. 논의 및 결론
참고문헌
ABSTRACT

참고문헌 (75)

참고문헌 신청

함께 읽어보면 좋을 논문

논문 유사도에 따라 DBpia 가 추천하는 논문입니다. 함께 보면 좋을 연관 논문을 확인해보세요!

이 논문의 저자 정보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논문

최근 본 자료

전체보기

댓글(0)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