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 내서재 .. 알림
소속 기관/학교 인증
인증하면 논문, 학술자료 등을  무료로 열람할 수 있어요.
한국대학교, 누리자동차, 시립도서관 등 나의 기관을 확인해보세요
(국내 대학 90% 이상 구독 중)
로그인 회원가입 고객센터

주제분류

정기구독(개인)

소속 기관이 없으신 경우, 개인 정기구독을 하시면 저렴하게
논문을 무제한 열람 이용할 수 있어요.

회원혜택

로그인 회원이 가져갈 수 있는 혜택들을 확인하고 이용하세요.

아카루트

학술연구/단체지원/교육 등 연구자 활동을 지속하도록 DBpia가 지원하고 있어요.

영문교정

영문 논문 작성에 도움을 드리기 위해, 영문 교정 서비스를
지원하고 있어요.

고객센터 제휴문의

학생 · 학교수준 예측변인과 진로성숙도 결과변인을 중심으로

...

저널정보

저자정보

표지
이용수
내서재
4
내서재에 추가
되었습니다.
내서재에서
삭제되었습니다.

내서재에 추가
되었습니다.
내서재에서
삭제되었습니다.

초록·키워드

오류제보하기
목표를 세우고 그 목표를 이루기 위해 노력하는 생애목표지향은 청소년기 진로발달에 있어 중요하다. 본 연구는 청소년기 생애목표지향의 발달양상과 변화에 대한 예측요인을 탐색하고 생애목표지향의 변화와 진로성숙도의 관계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서울교육종단연구(SELS)의 초등학교 패널자료 중 4∼8차년도 데이터(중1∼고2)를 사용하여 다층성장분석을 실시하였다. 주요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생애목표지향은 학년이 올라감에 따라 비선형적인 변화양상을 나타내며, 생애목표지향의 초기값(중1)을 정적으로 예측하는 변인은 학교유형(특성화고 진학여부), 중학교 1학년 시점에서의 자아개념, 자기통제력, 교내외문화활동참여, 주당독서시간이었다. 둘째, 생애목표지향의 변화율을 정적으로 예측하는 변인은 월가계소득, 자아개념 평균변화량, 자기통제력 평균변화량이었고 부적으로 예측하는 변인은 학교유형이었다. 셋째, 생애목표지향의 전환기효과를 정적으로 예측하는 변인은 학교유형, 고등학교 1학년 시점의 자아개념, 교외문화활동참여, 교내봉사활동참여경험, 교직만족도, 진로교육다양성이었고 부적으로 예측하는 변인은 월가계소득과 주중TV시청시간이었다. 넷째, 생애목표지향의 초기값, 변화율, 전환기효과 모두를 정적으로 예측하는 변인은 자아개념이었다. 마지막으로 생애목표지향의 초기값, 변화율, 전환기효과는 모두 진로성숙도를 긍정적으로 예측해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종합하면 긍정적인 자아개념 등의 학생 및 학교수준 변인이 청소년기 전반에 걸친 생애목표지향의 발달을 위해 중요하며, 이러한 생애목표지향의 발달은 청소년기 성숙한 진로의식을 기르는데 중요한 역할을 한다는 것을 시사한다.

Life-goal directedness, which includes setting goals and striving to achieve goals, is important especially during adolescenc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plore the change of adolescents’ life-goal directedness, its predictors, and its relations to career maturity. For these purposes, a multi-level growth model was analyzed using the Seoul Education Longitudinal Study(SELS) data from the first year of middle school to the second year of high school. The main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adolescents’ life-goal directedness increased nonlinearly over the years. For the initial status of life-goal direction in the first year of middle school, high school type(moving on to vocational school), self-concept, self-control, cultural activities in and out of school, and the weekly readings were positive predictors. Second, the average changes in self-concept and self-control, and monthly household income were positive predictors for the growth rates of life-goal directedness whiled high school type was a negative predictor. Third, high school type, self-concept, out-of-school cultural activities, in-school volunteer activities, teaching profession satisfaction, and diversity in career education at school were positive predictors for the transition effect of life-goal directedness. On the other hand, TV watching time and household income were negative predictors. Fourth, self-concept was a positive predictor for all life-goal directedness variables including initial status, growth rate, and transition effect. Finally, all of initial status, growth rate, and transition effect of life-goal directedness were positive predictors for adolescents’ career maturity. In sum, the study suggested that student- and school-level variables such as positive self-concept would be important for the development of adolescents’ life-goal directedness which, in turn, would play an important role in developing career maturity for adolescents.

목차

Ⅰ. 서론
Ⅱ. 연구방법
Ⅲ. 연구결과
Ⅳ. 논의 및 결론
참고문헌
ABSTRACT

참고문헌 (0)

참고문헌 신청

함께 읽어보면 좋을 논문

논문 유사도에 따라 DBpia 가 추천하는 논문입니다. 함께 보면 좋을 연관 논문을 확인해보세요!

이 논문의 저자 정보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논문

최근 본 자료

전체보기

댓글(0)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