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8.220.65.61
18.220.65.61
close menu
KCI 등재
이상 문학의 시간의식에 관한 연구 ―「얼마 안 되는 변해」에 나타난 ‘입체적 순간’을 중심으로 ―
A study on the Time Consciousness in Lee Sang’s Literature -Focusing on the ‘cubic moment’ in “Some degree of Excuse”-
김혜옥 ( Kim¸ Hye-ok )
현대문학이론연구 83권 111-143(33pages)
DOI 10.22273/SMLT.83.5
UCI I410-ECN-0102-2022-800-000269169

이 논문은 이상 문학에 나타난 ‘순간’의 시간형식이 근대의 보편적 구조체계로부터의 탈출과 극복 차원에서 추동된다는 전제 하에 출발하였다. 20세기 이후 새로운 시간론에서는 과거·현재·미래의 선형적 시간의 흐름이 아니라 ‘순간’이 지닌 강력한 역동성에 주목하는데, 이 글에서 이상 문학의 시간의식을 다루는 데 있어, ‘순간’의 문제를 중점적으로 들여다보려는 것은 그러한 새로운 시간론의 입장과도 관련이 있다. 특히 이상의 수필 「얼마 안 되는 변해」에는 매우 특별한 순간의 지점이 포착되는데, 여기서 ‘순간’은 선형적 차원에서의 시간의 한 점이 아니라는 것을 주지해야 한다. 즉 다양한 순간들의 중첩에 의한 시간의 ‘두께’와 ‘밀도’가 내포되어 있다는 점에서 ‘입체적 순간’으로서의 정체성을 갖는다. 본고에서는 이 텍스트를 중심으로 다음 세 가지 층위에서 ‘순간’의 기능과 그 의미하는 바를 밝혀보고자 하였다. 첫째, 보편적 구조체계가 해체되는 순간의 지점은 작품 개시적 드러냄을 담보해주는데, 이때 육체적 언어의 결정화와 함께 순간의 시간은 영원과 통합된다. 이러한 순간은 그 존재만이 지닌 고유한 시간이라는 점에서 하이데거의 실존적 시간론에서 접근이 가능하다. 둘째, 이상 문학에서의 ‘웃음’ 기호를 니체적 웃음과의 관련성에서 들여다보고자 하였는데, 그 이유는 웃음이 특징짓는 우연성과 돌발성이 대결로써 기능한다는 것에서 공통점을 내포하기 때문이다. 셋째, 보편적인 방향이 해체되는 순간이 과거회귀의 분기점이 되는데, 여기서 중요한 것은 과거로 돌아가는 것이 단순한 추억 회상의 차원이 아니라는 것이다. 즉 주체에 의해 가치 있게 선택된 과거의 한 지점은 현재의 시간과 통합됨으로써, ‘차이’에 의한 주체의 생성적 변화를 이끌어내고 열린 미래를 보장해준다는 것에 그 의미가 있다.

This thesis started on the premise that the time format of ‘the moment’ shown in Lee Sang’s literature is driven in terms of escape from and overcoming the modern universal structure system. The new time theories after the 20th century focus on the powerful dynamics of the moment, not the linear time of past, present, future. In this article, my trying to focus on the problem of the moment in dealing with the time consciousness of Lee Sang’s literature is also related to such a new time horizon. Especially, a very important and unique moment is captured in Lee Sang’s essay, “Some degree of Excuse.” ‘The moment’ here is not a point of time in a planar dimension, but there are many moments in it. That is, the ‘thickness’ and ‘density’ of time by overlapping various moments are implicit in ‘the moment’. In this respect, it means ‘cubic moment’. While paying attention to this context this study tries to clarify the function and meaning of the moment in the following three layers. First, the point of a moment when the universal structural system is dissolved ensures initiating disclosure of the work and this can be associated with Heidegger’s existential time in that it is the intrinsic time retained only by that existence. At this point, the moment is integrated with eternity along with the crystallization of physical language. Second, in Lee Sang’s literature, the laughter symbol was related to Nietzsche’s laughter. Because there is something in common that unexpectedness, the coincidence, suddenness characterized by laughter functions as a confrontation. Third, the moment that the universal direction is dissolved is the turning point of returning to the past. What I care about here is that returning to the past is not simply in the level of recollecting reminiscences. Valuable past integrates with the present moment. It’s meaningful that this leads to a generative change by ‘difference’ and it guarantees an open future.

Ⅰ. 서론: 근대의 선형적 시간의식의 초월이 어떻게 가능한가?
Ⅱ. 탈 역사주의적 소명을 위한 ‘순간’의 요구
Ⅲ. ‘영원’과 통합된 실존적 ‘순간’의 고유성과 작품 개시
Ⅳ. 파괴적 ‘웃음’의 순간과 방향 굴절의 분기점
Ⅴ. 과거·현재 통합의 순간과 창조적 열린 미래
Ⅵ. 결론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